맨위로가기

국가사회민주전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사회민주전선은 1969년 남베트남에서 결성된 정당 연합으로, 민주당을 해산하고 여러 반공주의 정당 및 단체들을 통합하여 만들어졌다. 이 전선은 베트남 전쟁 시기에 활동했으며, 1973년 사회민주동맹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1975년 사이공 함락 이후에는 미국으로 이주한 전 구성원들이 베트남 민주 동맹을 결성하여 베트남의 민주주의 회복을 목표로 했다. 주요 인물로는 응우옌반티에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5년 해산된 정당 - 독립노동당
    독립노동당은 1893년 영국에서 노동자 계급의 정치적 대표성 확보와 사회 개혁을 목표로 결성된 사회주의 정당으로, 노동당 결성에 기여했으나 이후 노선 차이로 갈등을 겪으며 쇠퇴했다.
  • 베트남의 금지된 정당 - 베트남 국민당
    베트남 국민당은 1927년 응우옌 타이 혹이 하노이에서 결성한 베트남 최초의 혁명 정당으로, 프랑스 식민 통치로부터 독립을 목표로 민족주의, 민주주의, 사회주의적 경제 통제를 원칙으로 삼았으며, 옌바이 봉기 실패 후 쇠퇴, 남베트남에서 활동하다 해산, 현재는 해외에서 반공주의 조직으로 남아있다.
  • 베트남의 금지된 정당 - 근로인격혁명당
    1930년대 말 베트남 중부에서 응오 딘 지엠 형제를 중심으로 결성된 반공주의 정치 조직인 근로인격혁명당(깐라오당)은 개인주의를 이념으로 삼아 남베트남 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응오 딘 지엠 정권 강화에 기여했으나, 쿠데타 이후 해체되어 베트남 인격주의 혁명당으로 계승되었다.
  • 베트남의 반공주의 정당 - 베트남 국민당
    베트남 국민당은 1927년 응우옌 타이 혹이 하노이에서 결성한 베트남 최초의 혁명 정당으로, 프랑스 식민 통치로부터 독립을 목표로 민족주의, 민주주의, 사회주의적 경제 통제를 원칙으로 삼았으며, 옌바이 봉기 실패 후 쇠퇴, 남베트남에서 활동하다 해산, 현재는 해외에서 반공주의 조직으로 남아있다.
  • 베트남의 반공주의 정당 - 근로인격혁명당
    1930년대 말 베트남 중부에서 응오 딘 지엠 형제를 중심으로 결성된 반공주의 정치 조직인 근로인격혁명당(깐라오당)은 개인주의를 이념으로 삼아 남베트남 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응오 딘 지엠 정권 강화에 기여했으나, 쿠데타 이후 해체되어 베트남 인격주의 혁명당으로 계승되었다.
국가사회민주전선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명칭 (베트남어)Mặt trận Quốc gia Dân chủ Xã hội (마쩐 꿕자 전쭈 싸호이)
약칭 (베트남어)Liên minh Dân chủ Xã hội (리엔민 전쭈 싸호이)
국가사회민주전선 기
국가사회민주전선 기
개요
지도자응우옌반티에우 (명예직), 응우옌반히에우 (사실상)
창립일1967년
해산일1975년
본부사이공
이념베트남 민족주의
반공주의
정치 성향빅 텐트
상징색빨강
하양
금색
합병 대상전진민주당
국가혁명운동
국가진보운동
민주평화세력 동맹
베트남 국민당
베트남 민주사회당
베트남 공화국 재향군인회
농민노동자당
기타
전신민주진보당
슬로건"자유—민주—진보—부강" (Tự do—Dân chủ—Tiến bộ—Phú cường)

2. 역사

응우옌반티에우는 남베트남의 총통에 당선되자마자 국가사회민주전선을 창당했고, 반공주의적, 민족주의적 정책을 펴며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북베트남의 집권 정당인 베트남 공산당 호치민과 대항하였다.[5]

1969년 5월, 베트남 전쟁이 격화되면서 민주당은 해산하고 여러 반공주의 정당들과 연합하여 '''국가사회민주전선'''을 결성했다.[7] 참여한 단체는 다음과 같다.[7]

단체명성향 및 역할
로마 가톨릭교도북베트남에서 탈출한 박해받는 사람들
베트남 공화국 재향 군인회군사 통치 지지
베트남 국민당국민당처럼 공산주의에 이념적으로 반대
민주 사회당불교 사회주의를 위해 공산주의자들의 무신론 거부
대월 민족주의당 (및 그 무장 조직인 국가 급진 운동)베트남을 재통일하되 공산주의자 아래에서는 안 된다고 주장
인격주의 혁명당깐 라오 당의 후계자
농민노동자당농촌의 이익을 지지하고 베트콩의 게릴라전에 반대


2. 1. 민주진보당 창당 (1967년)

응우옌반티에우는 남베트남의 총통에 당선되자마자 반공주의적, 민족주의적 정책을 폈던 정당을 창당했고,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북베트남의 집권 정당 베트남 공산당 호치민과 대항하였다.[5]

1967년 응우옌반티에우에 의해 '''민주진보당'''(Đảng Dân-chủ Tiến-bộvi) 또는 간단히 '''민주당'''(Đảng Dân-Chủ|vi)으로 창당되었다. 이 당은 북베트남의 동명의 정당과는 연관이 없었으며, 베트민공산당과 연계되어 있었다.[5]

민주당은 농민, 노동자 및 소규모 상인을 대표한다고 주장하며 1967년 대통령 선거에 참여하여 응우옌반티에우 대통령과 그의 군사 통치를 지지했다. 또한 이 당은 민족혁명운동의 깃발과 1945년 프랑스 식민 통치에 대항하는 8월 혁명에 참여한 청년 단체인 전위청년의 깃발을 채택했다.[6]

2. 2. 국가사회민주전선으로 확대 (1969년)

베트남 전쟁이 격화되면서 민주당은 다른 반공주의 정당들과 연합을 구축하려 했다. 1969년 5월, 민주당은 해산하고 새로운 정당인 '''국가사회민주전선'''을 결성했다.[7] 이 정당은 여러 조직과 정당의 연합으로 빠르게 발전했는데, 참여한 단체는 다음과 같다.[7]

단체명성향 및 역할
로마 가톨릭교도북베트남에서 탈출한 박해받는 사람들
베트남 공화국 재향 군인회군사 통치 지지
베트남 국민당국민당처럼 공산주의에 이념적으로 반대
민주 사회당불교 사회주의를 위해 공산주의자들의 무신론 거부
대월 민족주의당 (및 그 무장 조직인 국가 급진 운동)베트남을 재통일하되 공산주의자 아래에서는 안 된다고 주장
인격주의 혁명당깐 라오 당의 후계자
농민노동자당농촌의 이익을 지지하고 베트콩의 게릴라전에 반대


2. 3. 사회민주동맹으로 개칭 (1973년)

응우옌반티에우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정당 연합은 1973년에 '''사회민주동맹'''으로 이름을 변경했다.[1] 그러나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이 채택한 베트남화 정책으로 인해 남베트남은 불가피하게 붕괴되기 시작했다.[1] 1973년 파리 평화 협정은 전쟁의 전환점이었으며 미국의 베트남 개입을 종식시켰다.[1] 공산주의 북베트남과 자본주의 남베트남 간의 평화 협정에도 불구하고, 1975년 북베트남은 평화를 깨고 남베트남 점령을 시작했다.[1] 미국이 또 다른 개입을 거부했기 때문에, 사이공 함락 이후 남베트남은 붕괴되었고, 공산주의 통치하의 베트남 재통일을 초래했다.[1]

2. 4. 베트남 민주 동맹 결성 (1981년)

사이공 함락 이후, 전선 및 남베트남 정부의 많은 구성원들이 베트남에서 탈출하여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1981년, 전선의 전 구성원들은 캘리포니아에 기반을 둔 의회 밖 야당 단체인 '''베트남 민주 동맹'''을 결성하였다.[1] 이들은 베트남에 자유와 민주주의를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1] 다원주의적 성격을 가진 단체였다.[1]

3. 주요 인물

이름설명
응우옌반티에우남베트남의 군인이자 정치인. 국가사회민주전선을 창당하고 남베트남의 대통령을 역임.[1] 1960년 군사 쿠데타를 기도했으나 실패, 1963년 군사 쿠데타에 응우옌까오끼와 함께 참여하여 정권 장악.[1] 1967년 대통령 당선, 1971년 재선.[1]
응우옌까오끼남베트남의 군인이자 정치인. 응우옌반티에우와 협력 및 경쟁.[1] 1963년 군사 쿠데타에 응우옌반티에우와 함께 참여.[1]
응우옌 바 깐[1]
응우옌 바 르엉[1]
응우옌 후 코[1]
응우옌 응옥 휘[1]
응우옌 톤 호안[1]
응우옌 반 하오[1]
응우옌 반 히에우[1]
응우옌 반 키에우[1]
응우옌 쑤언 오안[1]
판 꽝 단[1]
톤 탓 딘[1]
쩐 티엔 키엠[1]
쩐 반 도[1]
쩐 반 돈[1]
쩐 반 흐엉[1]
쩐 반 람[1]
쩐 반 투옌[1]
쩐 반 치에우[1]
쩐 쭝 둥[1]
쯔엉 딘 즈[1]
보 롱 찌에우[1]
브엉 반 박[1]
부이 지엠[1]
도 마우[1]
호 응옥 느안[1]
황 득 냐[1]
레 민 트리[1]


4. 응우옌반티에우 집권 시기

응우옌반티에우는 남베트남의 대통령에 당선되자마자 국가사회민주전선을 창당했고, 반공주의적, 민족주의적 정책을 폈으며,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북베트남의 집권 정당 베트남 공산당호찌민과 대항하였다.[1]

대통령 집권 후반


그러나 개전 초기에 100만 명이 넘는 병력 중 절반 이상이 탈영하여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혼란을 겪었다. 그는 미국을 설득하였으나, 미국은 주월미군 철수 정책을 꾸준히 강행하였고, 그는 이를 막지 못했다. 1971년 선거에서 만장일치로 재선되었다.[1]

1973년 파리 평화 협정으로 주월미군 철수가 결정되자, 남베트남 정부와 반공주의 단체들은 불만을 표했지만, 그는 협정안을 수락했다.[1]

4. 1. 총통 취임 (1967년)

응우옌반티에우는 1960년 군사 쿠데타를 기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1960년 남베트남 육군 제7사단장, 1961년 제1사단장이 되었다. 그 뒤 1963년에 발생한 군사 쿠데타에 응우옌까오끼와 함께 베트남 공화국의 실권을 잡아, 1964년 응우옌카인 정권에서 육군 제4군단장을 거쳐 남베트남의 육군 총참모장, 1965년 판후이꾸앗 정부의 부수상 겸 국방총장을 지냈다. 1965년 6월 판후이꾸앗 정부 붕괴 후 군사 정권에서 국가영도위원회 주석(국가원수)으로 취임했다.[1]

국가영도위원회 주석 시절


베트남 전쟁 당시 그의 브리핑 지도


국가영도위원회 주석 취임 직후부터 미국 등 각지에 사절을 파견하여 베트남 전쟁 파병 지원을 적극 요청하였다. 그 후, 베트남 전쟁 중인 1967년 군사 정권이 공표한 새 헌법에 따라 1967년 9월 3일에 실시된 총통 선거에서 38%의 득표를 얻어 총통 선거에서 당선되었으며, 1971년 선거에서는 만장일치로 재선되었다.[1]

4. 2. 집권 초반 (1967년 ~ 1969년)

응우옌반티에우는 남베트남의 대통령에 당선되자마자 국가사회민주전선을 창당했다. 그는 열렬한 반공주의자로서, 재임 기간 동안 반공 정책을 시행하여 북베트남 및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과 대립했다.[1] 그러나 그의 정권은 부정부패가 만연하여 남베트남군의 규율과 사기가 매우 낮았다.[1] 미국 군사력에 대한 과도한 의존으로 인해, 베트콩과의 군사 대결에서 계속 밀리는 상황이었다.[1]

티에우 정권의 등장과 함께 미국은 베트남 전쟁에 본격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다.[1] 티에우는 표현의 자유를 통제하고 사회주의 찬양을 금지하는 등 권위주의적인 정책을 펼쳤지만, 린든 B. 존슨 대통령과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지지를 받았다.[1]

1968년 5월, 티에우는 한국을 방문하기도 했다.[1] 1969년 1월, 그는 파리 평화 회담에서 "월남 정부가 베트콩을 하나의 정부로 인정한다"고 선언하고, 같은 해 5월 베트콩의 10대 평화 방안을 제시하는 등 평화 정책을 실시했다.[1]

4. 3. 미국과의 회담 (1969년)

1969년 6월 8일, 응우옌반티에우는 미국 하와이 북서쪽의 미드웨이 섬에서 닉슨 미국 대통령과 미드웨이 회담을 가졌다.[1] 여기서 티에우는 닉슨을 설득하여 베트콩이 제안한 과도연정 구상을 거부하게 하고, 미국의 원조 강화와 베트남 문제의 자율적 해결 등 몇 가지 원칙을 확인했다.[1] 그러나 닉슨은 미군 투입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당시 54만 명에 달하던 주월미군을 단계적으로 철수하기로 결정했고, 티에우는 이를 번복시키지 못했다.[1] 회담에서 티에우는 미군 2만 5,000명을 감축하고 연말까지 추가 감축을 추진하는 데 합의했다.[1]

4. 4. 베트남 패망 전후 (1973년 ~ 1975년)

1973년 파리 평화 협정으로 주월미군이 철수하게 되면서, 남베트남 정부와 반공주의 단체들은 불만을 표했지만, 응우옌반티에우는 이 협정을 수락했다.[1] 그러나 베트콩은 남베트남 사회와 시민단체에 침투하여 반정부 여론을 계속 조장했고, 티에우의 권위주의적 정책은 이러한 여론을 더욱 악화시켰다.[1]

1973년 미군 철수 후 북베트남군이 남하를 시작하자, 티에우는 미국에 군사 원조를 요청했지만 거부당했다.[1] 1975년 초, 북베트남군이 남베트남 북부 국경 지역을 장악하자 티에우는 부대를 사이공으로 철수시켜 수도를 방어하려 했으나, 이는 오히려 북베트남군이 사이공을 포위하는 결과를 초래했다.[1]

결국 티에우는 북베트남 측의 외교적 해결 제안을 수용하여 1975년 4월 21일 대통령직에서 사임했다.[1] 사이공 함락 직전, 티에우가 대량의 금괴를 가지고 도망쳤다는 일화가 있지만, 진위는 불분명하다.[1]

5. 선거 역사

국가사회민주전선은 1967년과 1971년 남베트남 대통령 선거에 참여했다. 1967년 1967년 남베트남 대통령 선거에서는 응우옌반티에우 후보가 응우옌까오끼를 러닝메이트로 하여 당선되었고, 1971년 1971년 남베트남 대통령 선거에서는 응우옌반티에우 후보가 쩐반흐엉을 러닝메이트로 하여 당선되었다.

5. 1. 1967년 남베트남 대통령 선거

1967년 남베트남 대통령 선거에서 응우옌반티에우 후보가 응우옌까오끼를 러닝메이트로 하여 출마, 1,649,561표(34.83%)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정당 후보러닝메이트득표수득표율결과
응우옌반티에우응우옌까오끼1,649,56134.83%당선


5. 2. 1971년 남베트남 대통령 선거

1971년 남베트남 대통령 선거에서 응우옌반티에우 후보는 쩐반흐엉을 러닝메이트로 하여 5,971,114표를 얻어 100%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참조

[1] 서적 Nationalism and Revolution in Vietnam: The Rise of Nationalism in Vietnam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2] Youtube PRESIDENT THIEU ATTENDS DEMOCRATIC PARTY CONVENTION 1973 https://www.youtube.[...]
[3] Youtube PRESIDENT NGUYEN VAN THIEU ATTENDS REVIEW PARADE 1973 https://www.youtube.[...]
[4] Youtube INAUGURATION OF PRESIDENT THIEU'S DEMOCRATIC PARTY 1973 https://www.youtube.[...]
[5] 웹사이트 TỔNG THỐNG NGUYỄN VĂN THIỆU : CÔNG VÀ TỘI https://ongvove.word[...] Ongvove Wordpress 1973-01-01
[6] 웹사이트 http://www.truclamye[...]
[7] 서적 New Perceptions of the Vietnam War: Essays on the War, the South Vietnamese Experience, the Diaspora and the Continuing Impact McFarland 2015-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