쩐반흐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쩐반흐엉은 메콩 삼각주 출신의 베트남 정치인으로, 교사 경력을 거쳐 사이공 시장을 두 차례 역임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보수적인 성향을 보였으며, 응오딘지엠 정권 시기 반정부 활동으로 투옥되기도 했다. 1964년과 1968년에 두 차례 총리를 지냈으며, 1971년 부통령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 직전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그는 북베트남과의 평화 회담을 추진했으나 실패했고, 결국 즈엉반밍에게 권력을 이양한 후 가택 연금 상태에서 생을 마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 공화국의 반체제자 - 판칵스우
판칵스우는 까오다이교 창립 멤버이자 프랑스 식민 통치 시대부터 베트남 독립 운동에 참여한 정치인으로, 1964년부터 1965년까지 베트남 공화국의 국가원수를 역임하며 청렴함으로 이름을 알렸다. - 베트남 공화국의 반체제자 - 쯔엉딘주
쯔엉 딘 주는 베트남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1967년 베트남 공화국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2위를 차지했으나 부정선거 의혹으로 체포되었으며, 이후 사회봉사 활동과 반정부 활동을 전개했다. - 빈롱성 출신 - 쯔엉티낌뚜옌
쯔엉티낌뚜옌은 베트남 인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생성되었으나 현재 내용이 없는 문서이다. - 빈롱성 출신 - 팜훙
팜훙은 베트남의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당 지도자 활동, 토지 개혁 등을 거쳐 1987년 총리에 취임했으나 재임 중 사망했다. - 베트남 정치와 정부 - 응우옌푸쫑
응우옌푸쫑은 1944년 하노이에서 태어나 2011년부터 2024년 사망할 때까지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을 역임하며 베트남의 최고 지도자였으며, 반부패 운동을 주도하고 보수적인 정책을 펼쳤다. - 베트남 정치와 정부 - 응오딘지엠
응오딘지엠은 명문 가톨릭 가문 출신으로 반공주의를 펼치며 남베트남의 초대 대통령을 지냈으나, 독재 통치와 불교 탄압으로 국민적 반발을 사 결국 쿠데타로 암살당한, 베트남 전쟁에 큰 영향을 미친 복합적인 인물이다.
쩐반흐엉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쩐반흐엉 |
로마자 표기 | Trần Văn Hương |
출생일 | 1902년 12월 1일 |
출생지 | 프랑스령 코친차이나 빈롱 성 짜우타인 현 롱쩌우 코뮌 |
사망일 | 1982년 1월 27일 |
사망지 | 베트남 호찌민 시 |
직업 | 교육자, 정치인 |
학력 | 콜레주 샤슬루-로바, 하노이 사범학교 |
배우자 | 류티찌에우 |
자녀 | 2남 |
서명 | Signature_of_Trần_Văn_Hương.svg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르네상스당 (1953년–1963년) 무소속 (1963년–1971년) 국가사회민주전선 (1971년 이후) |
대통령 | |
제3대 대통령 | 남베트남 |
임기 시작 | 1975년 4월 21일 |
임기 종료 | 1975년 4월 28일 |
부통령 | 공석 |
총리 | 응우옌바깐 |
이전 대통령 | 응우옌반티에우 |
다음 대통령 | 즈엉반민 |
부통령 | |
제3대 부통령 | 남베트남 |
임기 시작 | 1971년 10월 31일 |
임기 종료 | 1975년 4월 21일 |
대통령 | 응우옌반티에우 |
총리 | 쩐티엔키엠 응우옌바깐 |
이전 부통령 | 응우옌까오키 |
다음 부통령 | 응우옌반후옌 |
총리 | |
제3대 총리 | 남베트남 |
임기 시작 | 1968년 5월 25일 |
임기 종료 | 1969년 8월 22일 |
대통령 | 응우옌반티에우 |
부총리 | 쩐티엔키엠 |
이전 총리 | 응우옌반록 |
다음 총리 | 쩐티엔키엠 |
제7대 총리 | |
임기 시작 | 1964년 11월 4일 |
임기 종료 | 1965년 1월 27일 |
국가 원수 | 판칵스우 |
부총리 | 응우옌쑤언오안 응우옌루우비엔 |
이전 총리 | 응우옌카인 |
다음 총리 | 응우옌쑤언오안 (대행) 판후이깟 |
국방부 장관 | |
임기 시작 | 1964년 11월 4일 |
임기 종료 | 1965년 1월 18일 |
총리 | 자신 |
이전 국방부 장관 | 응우옌카인 |
다음 국방부 장관 | 쩐반민 (외교관) |
2. 생애
쩐반흐엉은 메콩 삼각주 빈롱성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나 어릴 적 양부모에게 맡겨졌다. 이후 교사가 되었으며,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프랑스 연합과 베트민 모두에 반대하는 보수적인 성향을 보였다.[1] 베트민에 가담해 150명의 전투원을 이끌기도 했지만, 공산주의자들이 권력을 장악하자 떠났다. 프랑스 식민 체제에서 교직으로 돌아가는 것을 거부하고 약국에서 일했으며, 자전거를 타고 마을을 돌아다녔다.[2]
1954년 베트남 분할 이후, 흐엉은 응오딘지엠 총리와 협력하여 사이공 시장을 두 번 역임했으나, 완고한 성격으로 인해 몇 년 후 사이가 틀어졌다.[1] 1960년에는 카라벨 선언에 서명하여 3년간 투옥되었다.[2] 1963년 남베트남 쿠데타로 지엠이 암살당했을 때, 흐엉은 쿠데타 장군들의 행동에 대해 "지엠과 그의 형제를 살해하기로 결정한 최고위 장군들은 겁에 질렸다."라며 비판했다.[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쩐반흐엉은 메콩 삼각주 빈롱성의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나 어릴 적 양부모에게 맡겨졌다. 이후 교사가 되었다.[2]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흐엉은 프랑스 연합과 이에 맞서 싸운 공산주의 지배 하의 베트민 모두에 반대하며 보수적인 성향을 드러냈다.[1] 그는 처음에 베트민에 가담하여 150명의 전투원들을 이끌고 자라 벌판에서 활동했지만, 공산주의자들이 권력을 장악하자 떠났다. 그는 프랑스 식민 체제하에서 교직으로 돌아가는 것을 거부하고 약국에서 일했다.[2] 자전거를 타고 마을을 돌아다녔다고 알려져 있다.[2]2. 2. 정치 입문
쩐반흐엉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프랑스 연합과 공산주의 지배 하의 베트민 모두에 반대하며 보수적인 성향을 보였다.[1] 그는 베트민에 가담하여 150명의 전투원을 이끌기도 했지만, 공산주의자들이 권력을 장악하자 떠났다. 프랑스 식민 체제에서 교직으로 돌아가는 것을 거부하고 약국에서 일했다.[2]1954년 베트남 분할 이후, 흐엉은 응오딘지엠 총리의 협력을 받아 사이공 시장을 역임했다.[1] 그러나 완고한 성격으로 인해 지엠과 갈등을 빚었다.[1] 1960년에는 지엠 비판 성명인 카라벨 선언에 서명하여 3년간 투옥되었다.[2] 1963년 남베트남 쿠데타 당시, 흐엉은 쿠데타 주도 세력이 지엠을 암살한 것에 대해 "겁에 질렸다"며 비판했다.[3]
2. 3. 총리 재임 (1964-1965, 1968-1969)
1964년, 미국의 압력으로 응우옌칸 군사 정부가 민정 이양을 추진하면서, 고등국가평의회(HNC)에 의해 국가 원수로 선출된 판칵스으에 의해 총리로 임명되었다.[5][6] 취임 연설에서 "공공 질서 존중"과 "국가 규율"을 강조하며, 베트콩에 대한 강경 노선을 천명했다.[1][2] 틱찌꽝을 공산주의자로 비난하는 등 불교계와 갈등을 빚었고, 군대를 동원하여 시위를 진압했다.[8]응우옌칸과 일부 젊은 장군들은 25년 이상 복무한 장교들을 강제 예편시키려 했으나, HNC는 이를 거부했다. 1964년 12월 19일, 장군들은 HNC 회원 일부를 체포하여 HNC를 해산시켰다.[9][10] 이로 인해 미국과 갈등을 빚었다. 맥스웰 테일러 대사는 흐엉에게 HNC 해산을 거부할 것을 촉구했으나, 흐엉은 HNC의 업무를 인수하겠다고 답했다. 테일러는 미국이 군사 통치에 반대하며 원조를 줄일 수 있다고 경고했지만, 흐엉은 베트남 사람들이 "법률적인 접근 방식보다 감정적인 접근 방식을 취한다"고 말했다.[12]
젊은 장군들은 언론 기자회견을 열어 HNC 해산을 발표하고 판칵스으와 흐엉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다.[16] 미국은 남베트남에 많은 돈을 썼기 때문에 군사 통치 문제로 공산주의자들에게 나라를 잃을 수 없었다.[19] 군부는 1965년 1월 6일 흐엉에게 선거를 조직하도록 요청하고, 체포된 사람들을 석방하기로 했다.[20][21]
1965년 1월, 흐엉은 군사력 강화를 위해 징집 확대를 추진했고, 이는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야기했다.[22] 후에에서는 5,000명의 시위대가 미국 정보 서비스 도서관을 공격하여 8,000권의 책을 불태웠다.[23] 1월 27일, 응우옌칸은 응우옌짜인티, 응우옌까오키 등의 지원을 받아 쿠데타를 일으켜 흐엉을 제거했다.[22][24]
1967년 남베트남 대통령 선거에서 흐엉은 474,100표(10.0%)를 얻어 4위를 차지했다.[32]
1968년 5월, 응우옌반티에우 대통령은 흐엉을 총리로 임명했다. 흐엉은 기술 관료 중심의 내각을 구성하고, 농촌개발 및 평화화 장관을 겸임했다.[33] 1969년 3월, 흐엉은 암살 시도를 겪었으나, 무사히 피했다.[34]
흐엉의 영향력은 제한적이었고, 응우옌반티에우와 군부가 실질적인 권력을 유지했다. 1969년 8월, 응우옌반티에우는 흐엉을 쩐티엔키엠 장군으로 대체했다. 흐엉은 천식과 류머티즘으로 고생하고 있었고, 국회는 흐엉의 재정 및 부패 방지 정책을 비판했다.[35]
2. 4. 부통령 및 대통령 재임 (1971-1975)
1971년 10월, 쩐반흐엉은 응우옌반티에우 대통령에 의해 응우옌까오끼를 대신하여 부통령으로 임명되었다.[36] 1975년 4월 21일, 사이공 함락 직전 티에우가 대통령직에서 사퇴하면서 쩐반흐엉에게 대통령직을 넘겨주었다.[36] 그는 티에우를 중화민국(타이완)으로 탈출시키고, 북베트남과의 평화 회담을 추진했으나 휴전을 달성하지 못했다.[36] 대통령 취임 일주일 만인 4월 28일, 쩐반흐엉은 해방전선 측의 요구에 따라 대통령직에서 사퇴하고, 베트남 공화국의 항복을 지휘했던 즈엉반밍에게 대통령직을 넘겨주었다.[36]2. 5. 사이공 함락 이후
1975년 4월 28일, 대통령 취임 후 불과 일주일 만에 쩐반흐엉은 대통령직에서 사퇴하고, 베트남 공화국의 항복을 주도한 즈엉반민에게 권력을 넘겼다.[36]사이공 함락 이후에도 망명하지 않고 베트남에 남았다. 이후 가택 연금 상태에서 여생을 보냈으며, 1982년 자택에서 사망했다.[36]
3. 한국과의 관계
쩐반흐엉은 남베트남의 총리, 부통령, 대통령을 역임하면서 한국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특히, 베트남 전쟁 당시 대한민국 국군의 파병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협력했다.[1]
참조
[1]
서적
[2]
잡지
South Viet Nam: A Tightwire Man
https://content.time[...]
2021-01-26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잡지
South Viet Nam: The U.S. v. the Generals
1965-01-01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Elections in Asia: A data handbook, Volume II
[33]
잡지
South Viet Nam: Some Old, Some New
https://content.time[...]
2021-01-27
[34]
잡지
South Viet Nam: Assassination Attempt
https://content.time[...]
2021-01-27
[35]
잡지
South Viet Nam: Limiting the Leadership
https://content.time[...]
2021-01-27
[36]
서적
Corfield
[37]
웹사이트
Lao trung lãnh vận - Trần Văn Hương
http://www.tranvanba[...]
2022-06-30
[38]
웹사이트
South Vietnam
https://www.worldsta[...]
Worldstatemen.org
2021-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