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립목포해양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목포해양대학교는 1950년 목포수산상선고등학교로 개교하여, 목포해양고등학교, 목포해양고등전문학교, 국립목포해양전문대학을 거쳐 199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대한민국 해양 특성화 국립대학교이다. 해사대학, 해양공과대학, 일반대학원 및 해양산업대학원을 운영하며, 2018년 세계 최대 크기의 실습선 세계로호를 인도받았다. 2019년 졸업생 기준 80.6%의 취업률을 기록했으며, 해양수산 분야 공무원을 다수 배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라남도의 대학교 - 전남대학교
    전남대학교는 1952년 광주에 설립되어 광주농업학교 등을 통합하고 2006년 여수대학교와 통합한 거점국립대학교로서,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시발점이며 현재 5·18 연구소를 운영하고 광주, 여수, 화순에 캠퍼스를 두고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국제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 전라남도의 대학교 - 세한대학교
    세한대학교는 1993년 설립되어 교명이 변경되었으며, 충청남도 당진시에 캠퍼스를 두고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과거 재정 지원 제한 대학이었으나 역량강화대학으로 선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국립 대학 - 전북대학교
    전북대학교는 1947년 설립되어 전북특별자치도에 여러 캠퍼스를 둔 거점국립대학교로, 다양한 단과대학과 대학원을 운영하며 QS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우수한 순위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의 국립 대학 - 서울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는 1946년 경기공립사범학교로 설립되어 1993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초등교육 교사 양성을 목표로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4년제 국립대학교이다.
국립목포해양대학교
기본 정보
정문에 설치된 모형 (2019년 6월)
교훈진리탐구, 성실봉사, 해양개척
설립일1950년 4월 5일
유형국립
총장박성현
위치목포시
국가대한민국
좌표34.792, 126.365
학생 수2,911명 (2018년)
마스코트돌고래
웹사이트목포해양대학교
한국어 명칭
한글 표기목포해양대학교
한자 표기木浦海洋大學校
로마자 표기Mokpo Haeyang Daehakgyo
일본어 표기もくほかいようだいがっこう (히라가나), モクポヘヤンデハッキョ (가타카나)
학교 정보
설립 주체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
개교1950년
캠퍼스전라남도 목포시 해양대학로 91
교직원 수전임교원: 123명 (2022년), 기타교원: 81명 (2018년)
학부생 수2,530명 (2022년)
대학원생 수111명 (2018년)
취업률85.4%
웹사이트목포해양대학교 홈페이지

2. 연혁

1950년 4월 5일, '''목포수산상선고등학교'''가 개교하였다.(항해과 15명) 1952년 4월 15일, 도립 '''목포상선고등학교'''로 문교부 장관 정식인가를 받았다.(항해과 50명, 어로과 50명) 1956년 7월 14일, '''대통령 제116호'''에 따라 '''목포해양고등학교'''로 변경되었다. 1964년 12월 31일, '''대통령령 제201호 국립학교 설치령 개정'''에 따라 목포해양고등학교가 폐교되고 목포해양고등전문학교로 개편되었다.(항해, 기관, 통신)

1973년 9월 29일, 대통령령 6881호 국립학교설치령 개정에 따라 2년제 국립전문학교로 개편되면서 목포해양고등전문학교는 폐교되었다. 1979년 3월 1일, '''대통령령 제9288호 국립학교설치령'''에 의하여 '''국립목포해양전문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93년 3월 1일, '''대통령령 13.859호(국립학교설치령)에 의하여 4년제 대학'''인 '''국립목포해양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94년 3월 1일, '''대통령제 14179호 [1994. 2. 28]'''에 따라 '''국립목포해양대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1995년 3월 1일, 해양전자공학과 및 조선해양공학과가 신설되고, 기관 학과를 기관공학과로 변경하면서 학부제 도입에 따른 학과 통폐합 및 학부제가 운영되었다. 1997년 3월 1일, '''일반대학원'''이 신설되었다. 1999년 3월 29일, 국방부로부터 해군 학군무관후보생과정(N-ROTC)이 지정되었다. 2000년 1월 1일, 국립목포해양대학교 학생군사교육단이 창설되었다.

2001년 7월 26일,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산업대학원 신설이 승인되었다.(입학정원 30명) 2003년 4월 25일, 실습선 새누리호 (4,701톤)가 취항하였다. 2011년 3월 1일, 단과대학(해사대학, 해양공과대학)이 신설되었다. 2018년 12월 27일, 전세계 최대 크기의 해양대학교 실습선 세계로호 (9,196 톤)가 인도되었다. 2021년 8월 17일, 대학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대학으로 선정되었다.

2. 1. 학교 연혁

1950년 4월 5일, '''목포수산상선고등학교'''가 개교하였다.(항해과 15명) 1952년 4월 15일, 도립 '''목포상선고등학교'''로 문교부 장관 정식인가를 받았다.(항해과 50명, 어로과 50명) 1956년 7월 14일, '''대통령 제116호'''에 따라 '''목포해양고등학교'''로 변경되었다. 1964년 12월 31일, '''대통령령 제201호 국립학교 설치령 개정'''에 따라 목포해양고등학교가 폐교되고 목포해양고등전문학교로 개편되었다.(항해, 기관, 통신)

1973년 9월 29일, 대통령령 6881호 국립학교설치령 개정에 따라 2년제 국립전문학교로 개편되면서 목포해양고등전문학교는 폐교되었다. 1979년 3월 1일, '''대통령령 제9288호 국립학교설치령'''에 의하여 '''국립목포해양전문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93년 3월 1일, '''대통령령 13.859호(국립학교설치령)에 의하여 4년제 대학'''인 '''국립목포해양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94년 3월 1일, '''대통령제 14179호 [1994. 2. 28]'''에 따라 '''국립목포해양대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다.

1995년 3월 1일, 해양전자공학과 및 조선해양공학과가 신설되고, 기관 학과를 기관공학과로 변경하면서 학부제 도입에 따른 학과 통폐합 및 학부제가 운영되었다. 1997년 3월 1일, '''일반대학원'''이 신설되었다. 1999년 3월 29일, 국방부로부터 해군 학군무관후보생과정(N-ROTC)이 지정되었다. 2000년 1월 1일, 국립목포해양대학교 학생군사교육단이 창설되었다.

2001년 7월 26일,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산업대학원 신설이 승인되었다.(입학정원 30명) 2003년 4월 25일, 실습선 새누리호 (4,701톤)가 취항하였다. 2011년 3월 1일, 단과대학(해사대학, 해양공과대학)이 신설되었다. 2018년 12월 27일, 전세계 최대 크기의 해양대학교 실습선 세계로호 (9,196 톤)가 인도되었다. 2021년 8월 17일, 대학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대학으로 선정되었다.

2. 2. 주요 시설 확충

2001년 7월 26일 산업대학원이 설립되었다. 2002년 11월 9일에는 해양전자통신공학부에 컴퓨터공학과가 신설되었다. 2003년 4월 25일 훈련선 새누리호가 출항하였고, 같은 해 7월 7일에는 MMU 평생교육원이 설립되었다. 2004년 8월 3일 기숙사가 완공되었다.

2005년 6월 16일 해양시뮬레이션센터가 설립되었고, 2006년 1월 5일에는 MMU 호남해양수산연구소가 설립되었다. 2007년 1월 7일 MMU 외국어교육원이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10월 1일 MMU 신본관이 준공되었다. 2008년 10월 28일에는 해양시문비석공원이 개원하였다.

2009년 1월 30일 대학역사관이 개관하였고, 5월 14일에는 한국해양기자재연구원 전남지부가 개소하였다. 2011년 3월 1일 해양과학대학과 해양공학대학이 설립되었으며, 8월 31일에는 총 10층, 연면적 8,953m2, 420실 규모의 생도 기숙사가 신축 완료되었다. 9월 23일에는 전남 요트면허시험장이 개장하였다.

2012년 3월 1일 해양과학대학은 3개 학부, 해양공학대학은 6개 학과로 조직이 개편되었고, 여성학교 부대가 설립되었다. 2013년 7월 11일에는 6년 연속 교육역량강화사업 지원대학으로 선정되었다. 2014년 7월 11일 3층 및 지하 1층, 연면적 4,800m2 규모의 새 도서관 건물이 완공되었다.

2015년 6월 29일에는 4층 및 지하 1층, 연면적 6,834m2 규모의 해양공학대학 해양대학 해양공학관이 완공되었다. 2016년 4월 7일 교육부로부터 해군장교과학부 설립 승인을 받았다. 2017년 3월 15일 소형선박 정거장 시설이 완공되었다.

2018년 3월 1일 국제화 역량 인증 교육 대학으로 선정되었으며, 6월 19일에는 대학 부지에 북항 항만시설 예비지(2필지, 160,821m2)를 확보하였다. 8월 31일에는 4층, 연면적 5,373m2 규모의 학생회관이 건립되었다. 12월 27일에는 훈련선 세게로(SEGERO)가 인도 및 진수되었다.

2019년 6월 26일 연면적 2,913m2 규모의 선박 수리 지원 센터 건설이 시작되어, 2020년 2월 11일 완공되었다.

3. 조직

3. 1. 대학 본부

국립목포해양대학교의 대학 본부는 학사지원처, 입학처 및 학생지원처, 기획처, 행정처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처는 교수 인사, 교수 성과 관리, 학술/연구 지원, 교수 자격증 발급, 교육 과정 및 학사 일정 운영, 수업 및 학적 관리, 학위 수여 등을 담당하는 교무팀과 학생처 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학처 및 학생지원처는 우수한 학생 선발 및 재학생의 학교 생활 지원을 담당한다.

기획처는 21세기 교육 환경의 내실화, 개방화, 특성화를 준비하기 위해, 대학 발전을 위한 종합 계획을 수립하고, 대학 운영에 대한 다양한 평가 및 시스템 개선과 정부 재정 지원 사업의 추진을 통해 대학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행정처는 인사 및 서비스 관리, 교수진 급여 및 복지, 예산 집행, 물품 구매 및 관리, 시설 건설 및 유지 관리 등 교육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각 행정 부서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3. 2. 부속 기관

국립목포해양대학교의 부속 기관은 다음과 같다.

  • 산학협력단: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특수법인으로, 대학의 산학협력 연구 및 사업을 촉진 및 개발하고, 대학의 산학협력 사업 관리 및 산학협력 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 교육훈련처: 국제해사기구(IMO)가 설정한 표준(STCW 협약)에 따라, 학생들의 승선 실습 및 훈련 지원, 훈련선의 안전 운항 지원, 그리고 학생들의 취업 지원을 담당한다.
  • 국제교류교육원: 국제화 시대에 발맞춰 학생들의 외국어 능력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글로벌 캠퍼스 구축을 위해 외국인 학생들에게 한국 문화를 교육하는 언어 훈련을 담당하고 있다.
  • LINC+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단)
  • 창업지원단
  • 교원양성지원센터
  • 인권센터
  • 해사정책연구소
  • 도서관
  • 정보전산원
  • 훈련선
  • 생도숙소
  • 기숙사
  • GPS전문인력개발원
  • 상담센터
  • 평생교육원
  • 해양시뮬레이션센터
  • 해양공작실
  • 해양레포츠센터
  • 지역협력센터
  • 박물관
  • 해양산업연구소
  • 기계전자연구소
  • 해군 ROTC

4. 학과

4. 1. 해사대학

국립목포해양대학교의 해사대학에는 항해학부, 해상운송학부, 항해정보시스템학부, 기관시스템공학부, 해양경찰학부, 해양메카트로닉스학부, 해군사관학부가 있다.

4. 2. 해양공과대학

국립목포해양대학교 해양공과대학에는 컴퓨터공학과, 조선해양공학과, 환경생물공학과, 해양토목공학과, 해양컴퓨터공학과, 해양건설공학과가 있다.

4. 3. 대학원

국립목포해양대학교 일반대학원에는 해양교통시스템학과, 해양공학과, 해양경찰학과, 해양시스템공학과, 해양전자통신컴퓨터공학과가 있다. 특수대학원으로는 해양산업대학원이 있다.

5. 주요 성과

국립목포해양대학교는 2019년 졸업생 기준 80.6%의 취업률을 기록했다. 해양수산 분야 공무원을 다수 배출하고 있으며, 교육 국제화 역량 인증 대학 및 대학 기본역량 진단 자율개선대학으로 선정되었다. 교원양성과정 인증을 받았으며, 교육부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2단계 사업에 선정되었다. 북항시설 부지(2필지, 160,821m²)를 대학 부지로 확보하였고, 2주기 대학기관평가인증을 획득했다.

6. 실습선

국립목포해양대학교는 새누리호와 세계로호, 총 2척의 실습선을 보유하고 있다. 해사대학 학생들의 승선 실습 및 해상안전훈련 시설로 활용하는 것이 주 목적이며, 실습감을 주축으로 하는 지도교수 및 조교가 지정되어 있고, 운항을 담당하는 선장을 비롯한 승조원들이 배치되어 있다. 승선 실습을 통해 연안 실습뿐만 아니라 미국, 싱가포르, 필리핀, 중국, 러시아, 일본, 대만, 인도네시아, 태국, 인도, 호주 등의 주요 항구를 방문한다.

7. 사진

국립목포해양대학교 실습선 세계로호


국립목포해양대학교 본관

8. 학교 동문

국립목포해양대학교의 동문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분류:목포해양대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