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무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무로는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한 지역으로, 조선 시대에는 명례방, 회현방 등의 지역이었으며 비가 오면 길이 질어 진고개로 불리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에는 본정(本町)으로 불렸으며, 광복 이후 이순신의 시호인 충무공에서 이름을 따 현재의 지명이 되었다. 1955년 대한극장이 개관하면서 영화의 거리로 알려졌으며, 현재는 한국 영화 산업을 상징하는 지역으로 여겨진다. 또한 애완동물 관련 업종이 밀집되어 '충무로 애견거리'로도 불리며, 명동과 퇴계로 사이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거리 - 신사동 가로수길
신사동 가로수길은 1980년대 미술관 유치를 시작으로 예술가와 디자이너들의 활동, 상업시설 유입을 거쳐 형성되어 '디자이너 거리'로 명성을 얻고 쇼핑과 문화를 즐기는 명소가 되었으나,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한 임대료 상승과 소규모 상점 폐업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거리 - 문정로데오거리
- 서울 중구의 행정 구역 - 명동
명동은 조선 시대 주택가에서 일제강점기 상업 지구를 거쳐 광복 후 서울의 대표적인 번화가이자 관광 명소로 발전했으며, 쇼핑, 문화, 상업 시설과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시설이 밀집해 있다. - 서울 중구의 행정 구역 - 충정로 (서울)
충정로는 서울 서대문구 아현삼거리에서 서대문역을 잇는 도로로, 민영환의 시호에서 유래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다케조에마치로 불렸다가 1946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 1984년 도로 구간 단축, 2010년 2개 이상 자치구 도로 고시, 2014년 버스전용차로 개통 등의 변화를 거쳤다. - 대한민국의 광장 - 광화문광장
광화문광장은 광화문 앞 사직로에서 시작하여 세종대로 사거리에서 끝나는 광장으로, 역사 회복, 육조거리 재현, 도시문화 공간 등의 역할을 하며, 주변에 주요 시설과 지하철역이 위치하고, 광장 사용과 관련한 논란과 대중문화 등장 등의 특징을 보인다. - 대한민국의 광장 - 송상현광장
송상현광장은 부산진구에 위치한 광장으로, 송상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문화 행사와 휴식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3개의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충무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한글 표기 | 충무로 |
한자 표기 | 忠武路 |
로마자 표기 | Chungmuro |
상세 정보 | |
위치 | 서울특별시 |
특징 | 한국 영화 산업의 중심지 |
관련 기관 | 충무로역 |
역사 | |
명칭 유래 | 충무공 이순신의 시호에서 유래 |
문화 | |
영화 산업 | 과거 한국 영화 산업의 중심지 한국 영화의 상징적인 장소 |
축제 | 충무로 영화제 |
2. 역사
조선 시대에는 땅이 질어 진고개라 불리던 지역이었으나,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모여 살면서 경성부의 '본정'(本町|혼마치일본어)이라는 일본식 이름으로 불렸다.[7][8][4] 광복 후인 1946년에는 이순신 장군의 시호 '충무'를 따서 현재의 '충무로'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6] 1950년대 이후 대한극장 등이 들어서면서 충무로는 한국 영화 산업의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많은 영화 관련 시설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한국 영화계를 상징하는 환유로 사용되고 있다.[5] 또한 애완동물 관련 상점들이 모여 있는 '충무로 애견거리'로도 알려져 있다.
2. 1. 조선 시대 ~ 일제강점기
조선 말기까지는 한성부 남부(南部) 또는 남서(南署) 관할의 명례방(明禮坊)·회현방(會賢坊)·훈도방(熏陶坊)·낙선방(樂善坊)·명철방(明哲坊) 지역에 속했다. 당시 이 지역은 비가 오면 땅이 질어서 다니기 힘들어 진고개라고도 불렸다.일제강점기인 1914년, 이곳에 일본인들이 모여 살기 시작하면서[7] 기존의 방(坊) 관할 아래 있던 여러 계(契)와 동(洞)이 통합되었다. 이 지역은 경성부 소속으로 편입되었고, 일본식 이름인 본정(本町|혼마치일본어)으로 불리며 1정목(一丁目)부터 5정목(五丁目)까지 나뉘었다.[8] 이 이름은 일제강점기 동안 널리 사용되었다.[4]
2. 2. 광복 이후 ~ 현재
일제강점기에 '본정'(本町, 혼마치)으로 불렸던[4] 이곳은 광복 이후인 1946년 10월 1일, 일본식 동명 정리 사업의 일환으로 이순신의 시호인 '충무'(忠武)를 따 현재의 이름인 '충무로'로 변경되었다.[6] 이순신의 생가로 추정되는 곳이 충무로 인근에 있으며, 약 300m 떨어진 충무로 보도에는 충무공 이순신 생가터 표석이 세워져 있다.[6]1955년 충무로 4가에 대규모 영화관인 대한극장이 들어서면서 영화 산업과의 인연이 시작되었다. 이후 충무로 주변에는 영화 제작사 본사와 여러 영화관이 밀집하여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영화의 거리'로 명성을 떨쳤다. 비록 많은 영화 스튜디오들이 강남구 등 서울의 다른 지역으로 이전했지만, 충무로는 여전히 한국 영화 산업 전체를 상징하는 환유로서 그 의미를 유지하고 있다.[5] 현재까지도 '충무로'는 한국 영화계를 대표하는 대명사로 사용된다. 2006년부터는 관할 중구 주최로 '''충무로국제영화제'''가 열리고 있다.
한편, 충무로에는 애완동물 가게, 동물병원, 애완동물 미용실 등 관련 상점들이 모여 있는 구역이 있어 '''충무로 애견거리'''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3. 특징
충무로는 명동8나길에서 퇴계로49길 사이의 지역을 아우르며, 주요 경유지로는 서울 중앙우체국, 한성화교소학교, 계성여고, 중부경찰서, 스카라극장, 진양상가, 충무초등학교 등이 있다. 북쪽으로는 명동거리, 남쪽으로는 퇴계로에 둘러싸여 있으며, 서쪽은 명동 상업 지역의 일부를 구성한다.
- 충무로1가: 명동의 중심가로 유동 인구가 많아 서울에서 가장 번화한 곳 중 하나이며, 대한민국 전체에서 공시지가가 가장 높은 지역이기도 하다.
- 충무로3가, 4가: 편집디자인 기획사와 출력소들이 밀집되어 있다.
- 충무로4가: 대한민국 영화 산업의 상징적인 곳으로, 대한극장, 극동극장 등 여러 극장이 모여 극장가를 이루고 있다. 이 영향으로 인쇄업과 출판업 관련 업체도 많이 자리 잡고 있다.
일제강점기 경성부 시절에는 일본인 거리를 동서로 관통하는 길이었으며, 당시에는 '''본정(本町)'''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광복 이후인 1946년, 이순신의 시호인 '''충무공'''에서 이름을 따와 현재의 '충무로'로 변경되었다. 이순신의 생가로 추정되는 곳이 충무로 인근에 있으며, 약 300m 떨어진 충무로 보도에는 충무공 이순신 생가터 표석이 세워져 있다.[6]
1955년 충무로4가에 대규모 영화관인 대한극장이 생겼다. 충무로 주변에는 영화사 본사와 영화관이 많이 모여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영화의 거리로 알려지게 되었다. 많은 영화사가 이전한 현재에도 '충무로'는 한국영화계를 상징하는 대명사로 사용된다. 2006년부터는 지역 중구 주최로 '''충무로국제영화제'''가 개최되고 있다.
또한, 충무로에는 애완동물 가게, 동물병원, 애완동물 전용 미용실 등 관련 업종이 집중된 구역이 있어 '''충무로 애견거리'''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교통 면에서는 서울 지하철 3호선이 지나가며, 인근에 종로3가역, 을지로3가역, 충무로역이 있다. 종로3가역은 1호선, 5호선과, 을지로3가역은 2호선과, 충무로역은 3호선과 환승이 가능한 교통의 요지이다.
3. 1. 법정동 별 행정동
4. 문화
충무로3가와 4가 일대에는 편집디자인 기획사들과 출력소들이 밀집되어 있으며, 특히 충무로4가에는 인쇄업과 출판업 관련 업체들이 많이 자리 잡고 있다.
4. 1. 영화 산업
일제강점기 경성부 시절 '본정(本町)'이라 불렸던 이곳은 광복 이후 이순신의 시호인 '충무공'을 따 '충무로'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6] 1955년, 충무로 4가에 대규모 영화관인 대한극장이 들어서면서 영화 산업과의 인연이 시작되었다.1970년대와 1980년대에 걸쳐 충무로 일대에는 영화사 본사와 여러 영화관들이 밀집하면서 자연스럽게 '영화의 거리'로 명성을 얻게 되었다. 충무로4가 일대는 대한민국 영화를 상징하는 곳으로, 대한극장, 극동극장 등 여러 극장이 자리 잡고 있으며, 영화 산업의 영향으로 인쇄업과 출판업 관련 업체들도 많이 들어서 있다.
비록 많은 영화 스튜디오들이 강남구를 비롯한 서울의 다른 지역으로 이전했지만,[5] 충무로는 여전히 한국 영화 산업 전체를 상징하는 환유적 표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5] 2006년부터는 관할 중구가 주최하는 '''충무로국제영화제'''가 열리고 있다.
4. 2. 애완동물 거리
충무로에는 애완동물 가게, 동물병원, 애완동물 전용 미용실 등 관련 업종이 모여있는 구역이 있다. 이 곳은 충무로 애견거리라는 별칭으로 불린다.참조
[1]
웹사이트
충무로 忠武路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5-07
[2]
뉴스
Chungmuro Celebrates Soul of Korean Cinema
https://www.koreatim[...]
2008-05-07
[3]
웹사이트
Chungmuro films dominating Asian cinema scene
http://www.korea.net[...]
The Korean Overseas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KOIS)
2007-09-25
[4]
이미지
Image
https://i.pinimg.com[...]
[5]
논문
Sympathy for Lady Vengeance review
http://www.asiaarts.[...]
UCLA Asia Institute
2005-08-01
[6]
웹사이트
오늘 이순신 장군 탄신일…그동안 몰랐던 생가터 알고보니
https://www.yna.co.k[...]
2017-04-28
[7]
일반텍스트
[8]
법령
조선총독부 경기도 고시 제7호
s:조선총독부 경기도 고시 제7호
1914-04-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넷플릭스 '애마' 8월 22일 공개…'애마부인' 만드는 이하늬
열화상카메라엔 시뻘겋게 물든 도심…전국 펄펄 끓었다
'정약용면' 추진…지명 관행 깬다
백의의 종로와 흑의의 혼마치…‘음악광 시대’ 모던 경성의 구별 짓기 [.txt]
어디까지 갈까 … 불 뿜은 삼양식품 주가
삼양식품, 충무로로 본사 이전…직원 600여명 수용 빌딩 매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