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경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경원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수비수로 활약하고 있다. 2010년 전북 현대 모터스에 지명되어 프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알 아흘리, 톈진 취안젠 FC, 상주 상무 FC, 성남 FC, 감바 오사카 등을 거쳐 2024년 수원 FC에 입단했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2017년 A매치 데뷔 후 2022년 FIFA 월드컵에 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명고등학교 동문 - 김수현 (역도 선수)
김수현은 아시안 게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아시아 역도 선수권 대회 등에서 활약하며 대한민국 역도의 위상을 높인 역도 선수로, 2023년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여자 76kg급 인상 은메달,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 여자 76kg급 동메달 등을 획득했다. - 구로구 출신 - 김정난
대한민국의 배우 김정난은 1991년 드라마 《형》으로 데뷔하여 드라마, 영화, 연극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신사의 품격》, 《SKY 캐슬》 등 다수의 인기 작품에 출연, 연기대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 구로구 출신 - 김지원 (배우)
1992년 서울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배우 김지원은 2010년 광고로 데뷔하여 여러 드라마 주연을 맡아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선보이며, 특히 드라마 '눈물의 여왕'으로 국내외에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 구산중학교 (서울) 동문 - 김원균 (축구 선수)
김원균은 고려대학교 출신으로 2015년 FC 서울에 입단하여 K리그 클래식 우승을 경험하고 강원 FC 임대와 입단을 거쳐 K리그 통산 77경기 2득점을 기록한 대한민국 축구 선수이다. - 구산중학교 (서울) 동문 - 조영욱 (축구 선수)
조영욱은 FC 서울에서 공격수로 뛰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U-20 월드컵 최다 출전 기록 보유, 2023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획득, 2016년 대한축구협회 올해의 젊은 선수상 수상 등 다양한 기록과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 권경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출생일 | 1992년 1월 31일 |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 키 | 1.88m |
| 포지션 | 중앙 수비수, 수비형 미드필더 |
| 현재 소속팀 | 코르 파칸 |
| 등번호 | 3 |
| 클럽 경력 | |
| 유소년 클럽 | 2001-2003: 서울오류초등학교 2004: 경신중학교 2005: 구산중학교 2005-2006: 장안중학교 2007: 계명고등학교 2008-2009: 전주영생고등학교 (유스) |
| 대학교 | 2010-2012: 동아대학교 |
| 클럽 | 2013-2014: 전북 현대 모터스 (25경기, 0골) 2015-2017: 알 아흘리 (45경기, 4골) 2017-2020: 톈진 취안젠 (62경기, 1골) 2019: 전북 현대 모터스 (임대) (13경기, 2골) 2020-2021: 상주 / 김천 상무 (군 복무) (23경기, 1골) 2021: 성남 FC (18경기, 1골) 2022-2023: 감바 오사카 (36경기, 3골) 2024: 수원 FC (21경기, 1골) 2024-: 코르 파칸 (4경기, 0골) |
| 국가대표 경력 | |
| 청소년 국가대표 | 2013-2014: 대한민국 U-23 (4경기, 0골) |
| 국가대표 | 2017-: 대한민국 (32경기, 2골) |
| 수상 내역 | |
| 메달 | 2017 일본 팀 (금메달) 2019 대한민국 팀 (금메달) 2022 일본 팀 (은메달) |
| 기타 정보 | |
| 별칭 | 디에고 |
| 주요 발 | 왼발 |
2. 클럽 경력
2010 K리그 드래프트에서 전북 현대 모터스에 지명되었으나[3] 동아대학교에 입학했고, 2013 K리그 클래식 시즌 시작 전에 전북에 합류했다. 2015년 2월 알 아흘리 두바이와 3년 계약을 맺었고, 2017년 1월 톈진 천하이 F.C.와 5년 계약을 맺었다. 두 번의 계약 모두 구단의 아시아 선수로 지정되었다. 2019년 7월 3일, 전북 현대 모터스로 임대 이적하여 2019 시즌 종료까지 활동했다. 2022년 1월 1일, J1리그 클럽 감바 오사카와 계약을 체결했다.
2. 1. 전북 현대 모터스 (1기)
서울 구로구 오류동에서 태어나 서울오류초등학교 2학년 때 축구를 시작했다. 2010년 전북 현대 모터스에 지명된 뒤 동아대학교에 진학하여 2년 간 활동하다가 2013 시즌을 앞두고 전북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이로써 전주 영생고등학교 1년 후배 김현에 이어 두 번째 영생고 출신 선수가 되었다.[14]프로 입문 후 경남 FC와의 2013년 K리그1 3라운드 원정 경기에서 프로 데뷔전을 치렀다. 이후 2013 시즌 공식전 25경기에 출전하여 2013년 K리그1 3위, 2013년 FA컵 준우승 등에 기여하며 잠재력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2014 시즌에는 이재성, 김남일, 그리고 여름 이적 시장을 통해 새로 합류한 신형민과의 주전 경쟁에서 밀려나면서 공식전 9경기 출장에 그쳤다.
2. 2. 샤바브 알아흘리
2015 시즌을 앞두고 두바이 전지 훈련 연습 경기 상대였던 UAE 프로리그의 샤바브 알아흘리 클럽의 러브콜을 받고 해당 클럽에 입단했다.[3] 2014-15 시즌 중반부터 2016-17 시즌 전반기까지 공식전 75경기 5골을 기록하며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준우승, 2015-16 시즌 리그 우승, 2016-17 시즌 UAE 리그컵 우승, UAE 슈퍼컵 2회 우승(2014, 2016) 등에 공헌했으며 2015-16 시즌 리그 베스트 11에도 선정되었다. 2015년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알 아흘리의 결승 진출에 기여하여 "2015 AFC 챔피언스 리그(ACL) 드림팀" 베스트 11에 이름을 올렸다. 2016년에는 현대자동차 아랍에미리트(UAE) 대리점 홍보 대사로 임명되었다.2. 3. 톈진 톈하이
2017년 당시 대한민국 축구 선수 역사상 2위에 해당되는 132억원의 이적료와 37억원의 연봉으로 중국 슈퍼리그의 톈진 톈하이와 5년 계약을 체결했다.[3] 톈진 톈하이 소속으로 2019년 여름 이적 시장 전까지 공식전 76경기에 출전하며 중국 슈퍼리그 2017 3위, 중국 FA컵 2017 8강, 2018년 AFC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등에 기여했다.2. 4. 전북 현대 모터스 (2기)
2019년 6월 29일 장쑤 FC와의 경기를 끝으로 톈진 톈하이를 잠시 떠나 친정팀인 전북 현대 모터스로 임대 이적했다. 2019 시즌 리그 13경기 2골 1도움을 기록하면서 팀의 리그 3연패 및 통산 7번째 우승에 기여했다.[15]2. 5. 상주 / 김천 상무
2019 시즌을 마친 후 상무에 입대했다. 2020 시즌에는 리그 23경기 1골을 기록하면서 2020년 K리그1 수비수 센터백 부문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3] 그러나 2021 시즌에는 개막을 앞두고 부상을 당하면서 전역할 때까지 단 한 경기도 뛰지 못했고 심상민에게 주장 자리를 인계해야 했다.2. 6. 성남 FC
2021년 7월 15일, 권경원은 군 복무를 마치고 성남 FC와 6개월 단기 계약을 체결했다. 권경원의 원 소속팀이었던 톈진 톈하이 F.C.는 2019 시즌을 끝으로 해체되었기 때문이다. 같은 해 8월 1일 광주 FC와의 2021년 K리그1 22라운드 원정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성남 데뷔전을 성공적으로 치렀다. 이날 권경원은 공백기가 무색할 정도의 뛰어난 수비력을 선보였다. 이후 2021 시즌 종료까지 공식전 18경기에서 1골 1도움을 기록했다.[3]2. 7. 감바 오사카
2022년 첫날 울산 현대로 이적한 김영권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일본 J1리그의 감바 오사카와 2년 계약을 체결했다. 이로 인해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동료이자 카잔의 기적 주역인 주세종과 함께 뛰게 되었다.2022 시즌에는 리그 16경기 2골을 포함해 공식전 19경기 3골을 기록했고, 쇼지 겐과 주전 경쟁을 벌였다. 2022 시즌 종료 후 쇼지 겐이 가시마 앤틀러스로 이적하면서 주전 자리를 확보했고, 팀의 부주장으로 선임되었다. 2023년 12월 2일, 계약 만료가 발표되었다.
2. 8. 수원 FC
권경원은 2024년 2월 2일 수원 FC로 이적했다.[3]3. 국가대표팀 경력
권경원은 2017년 10월 7일 러시아와의 국제 친선 경기(VEB 아레나)에서 A매치 데뷔전 및 데뷔골을 기록했다.[4] 2018년 5월 러시아에서 열리는 2018년 FIFA 월드컵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예비 명단에 포함되었으나,[4] 최종 명단에는 포함되지 못했다.[5]
이후 2017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19 AFC 아시안컵, 2019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22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 및 3차 예선, 2022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22 FIFA 월드컵,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 예선에 참가했다.
3. 1. 대한민국 U-23 대표팀
대한민국 U-23 대표팀 소속으로 2013년부터 2014년까지 4경기에 출전했고, 특히 2014년 AFC U-22 챔피언십 본선 엔트리에 합류하여 팀의 4강 진출에 기여했다.3. 2.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2017년 8월 14일 우즈베키스탄과의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A조 최종전을 앞두고 대한민국 대표팀에 첫 발탁되었으나 출전 기회는 없었다.[17][18] 10월 8일 러시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후반 41분경 이청용의 크로스를 헤더골로 연결하며 A매치 데뷔골을 기록했다.[4] 2개월 후 열린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서 2경기에 출전, 국가대표팀 첫 우승을 경험했다.2018년 FIFA 월드컵에서는 신태용 감독의 선택을 받지 못해 출전이 무산되었으나, 장현수가 병역 서류 위조 사건으로 국가대표팀 자격 영구 박탈 징계를 받은 후 2018년 11월 국가대표팀에 다시 합류했다. 2019년 AFC 아시안컵 본선 엔트리에 합류했지만 김영권, 김민재 등에 밀리고 부상까지 겹치면서 출전하지 못했다.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최종 엔트리에 이름을 올렸고, 홍콩과의 1차전에서 김영권 대신 선발 출전하여 김민재와 호흡을 맞추며 무실점 승리를 이끌었다. 이후 팀은 동아시안컵 3연패를 달성했다.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에 출전하며 대한민국의 월드컵 10회 연속 본선 진출에 기여했다.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일본과의 최종전에서는 백패스 실수 등으로 패배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했다.
2022년 FIFA 월드컵 본선 엔트리에 합류, 가나와의 H조 조별리그 2차전에서 후반 막바지에 김민재를 대신해 교체 투입되며 첫 월드컵 무대를 밟았다. 포르투갈과의 최종전에서는 김민재 대신 선발로 출전하여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를 전담 마크하며 12년만의 월드컵 16강 진출에 기여했다.[5]
4. 수상 내역
| 클럽 | |||
|---|---|---|---|
| 구단명 | 대회 | 우승/준우승 | 시즌 |
| 알 아흘리 | UAE 프로 리그 | 우승 | 2015-16 |
| UAE 리그 컵 | 우승 | 2016-17 | |
| UAE 슈퍼 컵 | 우승 | 2014, 2016 | |
| 전북 현대 모터스 | K리그1 | 우승 | 2019 |
| 국가대표팀 | |||
| 대한민국 | |||
| EAFF 동아시안컵 | 우승 | 2017, 2019 | |
| 개인 | |||
| 수상 내역 | 연도 | ||
| AFC 챔피언스 리그 드림 팀 | 2015[19] | ||
| UAE 프로 리그 드림 팀 | 2015-16[20] | ||
| K리그1 베스트 11 | 2020[21] | ||
4. 1. 클럽
| 구단명 | 대회 | 우승/준우승 | 시즌 |
|---|---|---|---|
| 전북 현대 모터스 | K리그1 | 우승 | 2019 |
| FA컵 | 준우승 | 2013 | |
| 샤바브 알아흘리 클럽 | UAE 프로리그 | 우승 | 2015-16 |
| UAE 리그컵 | 우승 | 2016-17 | |
| AFC 챔피언스리그 | 준우승 | 2015 | |
| UAE 슈퍼컵 | 우승 | 2014, 2016 |
4. 2. 국가대표팀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서 2017년, 2019년 우승, 2022년 준우승을 기록했다.4. 3. 개인
| 수상 내역 | 연도 |
|---|---|
| AFC 챔피언스 리그 드림 팀 | 2015[19] |
| UAE 프로 리그 드림 팀 | 2015-16[20] |
| K리그1 베스트 11 | 2020[21] |
5. 통산 기록
| 총 통산 | 36 | 3 | 5 | 0 | 1 | 0 | 42 | 3 | |||
|---|---|---|---|---|---|---|---|---|---|---|---|
- J리그 첫 출장 - 2022년 4월 17일 J1 9라운드 vs 쇼난 벨마레 (파나소닉 스타디움 스이타)
- J리그 첫 득점 - 2022년 5월 8일 J1 12라운드 vs 비셀 고베 (파나소닉 스타디움 스이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