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K리그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1년 K리그1은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2021년 2월 27일에 개막하여, 12개 팀이 정규 라운드(1~33라운드)와 파이널 라운드(34~38라운드)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전북 현대 모터스가 우승을 차지하여 2022년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에 진출했고, 울산 현대는 준우승, 대구 FC는 3위를 기록하여 AFC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강원 FC는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광주 FC는 K리그2로 강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리그1 시즌 - 2020년 K리그1
2020년 K리그1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축소 운영되었으며 전북 현대 모터스가 우승하고 상주 상무와 부산 아이파크가 강등된, 12개 팀이 참가한 대한민국 프로 축구 리그 38번째 시즌이다. - K리그1 시즌 - 2024년 K리그1
2024년 K리그1은 12개 팀이 참가하여 울산 HD의 우승과 포항 스틸러스의 코리아컵 우승으로 마무리되었으며, 정규 라운드와 파이널 라운드 진행 및 개인상 시상이 있었다. - 2021 축구 리그 - 2021년 K리그2
2021년 K리그2는 김천 상무의 합류, 부산 아이파크의 강등, 그리고 10개 팀의 4라운드 로빈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어 김천 상무가 우승하며 K리그1으로 승격하고, 플레이오프를 통해 강원 FC가 K리그1에 잔류했다. - 2021 축구 리그 - 2021년 K3리그
2021년 K3리그는 15개 팀이 참가하여 천안시가 정규 리그 1위를 했지만, 챔피언 결정전에서 김포 FC가 우승하며, 김포 FC의 프로 전환으로 당진시민축구단이 승격한 리그이다. - 2021년 대한민국 - 대한민국의 코로나19 범유행
대한민국의 코로나19 범유행은 2020년 1월 20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현재까지 이어지는 감염병 유행으로, 신천지 대구교회 집단 감염, 델타 및 오미크론 변이 확산 등의 과정을 거쳐 2023년 6월 위기경보 단계가 하향 조정되었으며,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방역 정책을 추진하여 K-방역으로 주목받았으나 논란도 있었다. - 2021년 대한민국 - 2021년 KBO 리그
2021년 KBO 리그는 SSG 랜더스가 창단되고, KT 위즈가 창단 첫 정규 시즌 우승과 한국시리즈 우승을 동시에 달성했다.
2021년 K리그1 | |
---|---|
기본 정보 | |
![]() | |
시즌 | 2021 |
대회 | 하나1Q K리그1 |
기간 | 2021년 2월 27일 ~ 2021년 12월 5일 |
우승 | 전북 현대 모터스 (9번째 우승) |
강등 | 광주 FC |
경기 수 | 228 |
총 득점 | 563 |
리그 득점왕 | 주민규 (22골) |
최다 점수차 홈 승리 | 울산 5–0 강원 (2021년 3월 1일) |
최다 점수차 원정 승리 | 대구 0–5 제주 (2021년 10월 31일) |
최다 득점 경기 | 서울 3–4 전북 (2021년 9월 5일) |
최다 연승 | 대구 FC (6경기) |
최다 무패 | 전북 현대 모터스 (13경기) |
최다 무승 | FC 서울 (11경기) |
최다 연패 | FC 서울 대구 FC (각 5경기) |
이전 시즌 | 2020 |
다음 시즌 | 2022 |
AFC 챔피언스리그 | |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팀 | 전북 현대 모터스 울산 현대 대구 FC |
AFC 챔피언스리그 |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권 |
수상 | |
최우수 선수 | 홍정호 |
2. 운영 방식
코로나19 유행 상황에도 불구하고, 2021년 시즌 K리그1은 2021년 2월 27일(토)에 개막하기로 확정되었다. 시즌 운영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정규 라운드''' (1~33라운드): 12개 팀이 3차례에 걸쳐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 '''파이널 라운드''' (34~38라운드): 정규 라운드 성적을 기준으로 상위 6개 팀(파이널 A)과 하위 6개 팀(파이널 B)으로 나누어, 각 그룹 내에서 싱글 라운드 로빈 토너먼트 방식으로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코로나19 유행 상황이지만 유관중 경기로 진행될 예정이다.
시즌 종료 후 순위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권'''
- 리그 우승팀: 2022년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직행.
- 리그 2위, 3위팀: 2022년 AFC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진출.
- (예외) 리그 3위 이내 팀이 2021년 FA컵 우승 시: 리그 4위 팀이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승계한다.
- '''승강 결정'''
- 리그 11위팀: K리그2 2021 승격 플레이오프 최종 승자와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2021에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대결하여 잔류 또는 강등 여부를 결정한다.
- 리그 12위팀: K리그2 2022로 자동 강등된다.
2020년에는 리그 경기 수가 단축되었으나, 2021년에는 평년과 같이 정규 라운드 33경기와 파이널 라운드 5경기를 합쳐 총 38경기가 치러진다.
3. 참가 구단
2021 시즌 K리그1에는 지난 시즌 결과에 따라 제주 유나이티드와 수원 FC가 승격하고, 김천 상무(상주 상무에서 연고 이전 및 재창단)와 부산 아이파크가 강등되어 총 12개 팀이 참가한다.
클럽 | 지난 시즌 순위 | 첫 리그 참가 | 총 시즌 |
---|---|---|---|
강원 FC | 7위 | 2009 | 10 |
광주 FC | 6위 | 2011 | 7 |
대구 FC | 5위 | 2003 | 16 |
FC 서울 | 9위 | 1984 | 38 |
성남 FC | 10위 | 1989 | 31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8위 | 1996 | 26 |
울산 현대 | 2위 | 1984 | 38 |
인천 유나이티드 | 11위 | 2004 | 18 |
전북 현대 모터스 | 1위 | 1994 | 28 |
포항 스틸러스 | 3위 | 1983 | 39 |
제주 유나이티드 | K리그2 우승 | 1983 | 38 |
수원 FC | K리그2 2위(승격 P.O. 승자) | 2016 | 2 |
3. 1. 팀 변화
'''K리그2로 강등''''''K리그2에서 승격'''
- 제주 유나이티드
- 수원 FC
3. 2. 경기장
다음은 2021 시즌 K리그1 참가팀들의 홈구장 목록이다.[1]클럽 | 연고지 | 홈구장 | 수용좌석 |
---|---|---|---|
강원 FC | 강원도 | 춘천송암레포츠타운 강릉종합경기장 | 20,000 21,416 |
광주 FC | 광주 | 광주축구전용구장 | 10,051 |
대구 FC | 대구 | DGB대구은행파크 | 12,415 |
FC 서울 | 서울 | 서울월드컵경기장 (~10월 3일) 서울올림픽주경기장 (파이널 라운드 기간: 10월말~11월) | 66,806 69,950 |
성남 FC | 성남 | 탄천종합운동장 | 16,146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수원 | 수원월드컵경기장 | 43,959 |
울산 현대 | 울산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 44,474 |
인천 유나이티드 | 인천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20,300 |
전북 현대 모터스 | 전북 | 전주월드컵경기장 | 42,477 |
포항 스틸러스 | 포항 | 포항스틸야드 | 18,960 |
제주 유나이티드 | 제주 | 제주월드컵경기장 | 29,791 |
수원 FC | 수원 | 수원종합운동장 (3월~8월 4일) 수원월드컵경기장 (8~11월) | 11,808 43,959 |
3. 3. 감독, 주장, 유니폼 스폰서
wikitext클럽 | 감독 | 주장 | 유니폼 스폰서 | 메인 스폰서 |
---|---|---|---|---|
강원 FC | 최용수 (대한민국) | 임채민 (대한민국) | 애플라인드 | 하이원리조트 |
광주 FC | 김호영 (대한민국) | 김원식 (대한민국) | 켈미 | 광주광역시 (앞), 중흥 S-클래스 (뒤) |
대구 FC | 이병근 (대한민국) | 김진혁 (대한민국) | 골 스튜디오 | 대구은행, 아진산업 |
FC 서울 | 안익수 (대한민국) | 기성용 (대한민국) | 르꼬끄 | 자이 |
성남 FC | 김남일 (대한민국) | 서보민 (대한민국) | 엄브로 | 성남시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박건하 (대한민국) | 김민우 (대한민국) | 푸마 | 삼성전자 (앞), 도이치모터스 (뒤) |
수원 FC | 김도균 (대한민국) | 정동호 (대한민국) | 험멜 | 수원시 |
울산 현대 | 홍명보 (대한민국) | 이청용 (대한민국) | 험멜 | 현대오일뱅크 |
인천 유나이티드 | 조성환 (대한민국) | 김도혁 (대한민국) | 마크론 | 인천광역시, 인천국제공항, 신한은행 |
제주 유나이티드 | 남기일 (대한민국) | 주민규 (대한민국) | 푸마 | SK 에너지 |
전북 현대 모터스 | 김상식 (대한민국) | 홍정호 (대한민국) | 험멜 | 현대자동차 |
포항 스틸러스 | 김기동 (대한민국) | 오범석 (대한민국) | 푸마 | 포스코 |
3. 4. 감독 변화
wikitext구단 | 전임 감독 | 형태 | 사임/경질일 | 당시 순위 | 신임 감독 | 선임일 |
---|---|---|---|---|---|---|
대구 FC | 이병근 (대행) | 정식감독 승진 | 2020년 11월 6일 | 5위 | 이병근 | 2020년 11월 6일 |
FC 서울 | 박혁순 (대행) | 감독 대행 종료 | 2020년 11월 13일 | 9위 | 이원준 (대행) | 2020년 11월 13일 |
광주 FC | 박진섭 | 계약 해지 | 2020년 12월 1일 | 6위 | 김호영 | 2020년 12월 22일 |
FC 서울 | 이원준 (대행) | 감독 대행 종료 | 2020년 12월 4일 | 9위 | 박진섭 | 2020년 12월 4일 |
전북 현대 모터스 | 조제 모라이스 | 계약 만료 | 2020년 12월 6일 | 1위 | 김상식 | 2020년 12월 22일 |
울산 현대 | 김도훈 | 계약 만료 | 2020년 12월 20일 | 2위 | 홍명보 | 2020년 12월 24일 |
FC 서울 | 박진섭 | 사임 | 2021년 9월 6일 | 12위 | 안익수 | 2021년 9월 6일 |
강원 FC | 김병수 | 경질 | 2021년 11월 4일 | 11위 | 김현준 (대행) | 2021년 11월 6일 |
강원 FC | 김현준 (대행) | 감독 대행 종료 | 2021년 11월 16일 | 11위 | 최용수 | 2021년 11월 16일 |
3. 5. 외국인 선수
각 팀은 외국인 선수를 최대 5명까지 보유할 수 있으며, 이 중 아시아 축구 연맹(AFC) 소속 국가 국적 선수 1명과 아세안 축구 연맹(AFF) 소속 국가 국적 선수 1명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팀은 AFC 소속 선수를 최소 1명 포함하여 경기당 최대 5명의 외국인 선수를 기용할 수 있다. 포항 스틸러스의 사무엘 푼치는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여 국내 선수로 간주되었다.선수 이름은 K리그 등록명을 기준으로 한다. '''굵게''' 표시된 선수는 시즌 중 이적 시장에서 등록되었다.
클럽 | 선수 1 | 선수 2 | 선수 3 | AFC 선수 | ASEAN 선수 |
---|---|---|---|---|---|
강원 FC | 블라디미르 실라지 | 츠베타노프 | 마티야 류이치 | 루스탐 아슈르마토프 | |
광주 FC | 레즈 | 알렉산다르 안드레예비치 | 조나탄 | ||
대구 FC | 세징야 | 에드가 | 라마스 | 니시 쓰바사 | |
FC 서울 | 오스마르 | 알렉산다르 팔로체비치 | 가브리엘 | 코너 채프먼 | |
성남 FC | 리하르트 빈트비흘러 | 페이살 물리치 | 세르지우 부슈 | 잠시드 이스칸데로프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도닐 헨리 | 우로시 제리치 | 니콜라오 두미트루 | ||
수원 FC | 라스 | 무릴로 | 타르델리 | 라클란 잭슨 | |
울산 현대 | 불투이스 | 바코 | |||
인천 유나이티드 | 스테판 무고샤 | 엘리아스 아길라르 | 네게바 | 델브리지 | |
제주 유나이티드 | 자와다 | 제르소 | |||
전북 현대 모터스 | 바로우 | 구스타보 | 스타니슬라프 일류첸코 | 구니모토 다카히로 | 사살락 |
포항 스틸러스 | 마누엘 팔라시오스 | 마리오 크베시치 | 보리스 타쉬치 | 알렉스 그랜트 |
4. 시즌 결과
코로나19 유행 속에서도 2021년 시즌 K리그1은 2021년 2월 27일에 개막하여 유관중 경기로 진행되었다. 2020년 단축 시즌과 달리, 2021년에는 예년과 같이 팀당 총 38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리그는 12개 팀이 참가하여 정규 라운드(1~33라운드)를 치른 후, 상위 6팀(파이널 A)과 하위 6팀(파이널 B)으로 나뉘어 파이널 라운드(34~38라운드)를 통해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시즌 결과에 따라 2022년 AFC 챔피언스리그 진출팀과 차기 시즌 K리그2 강등팀이 결정되었다.
4. 1. 최종 순위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자격 및 강등 |
---|---|---|---|---|---|---|---|---|---|---|
1 | 전북 현대 모터스 (C) | 38 | 22 | 10 | 6 | 71 | 37 | +34 | 76 |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진출 |
2 | 울산 현대 | 38 | 21 | 11 | 6 | 64 | 41 | +23 | 74 | AFC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진출 |
3 | 대구 FC | 38 | 15 | 10 | 13 | 41 | 48 | -7 | 55 | AFC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진출 |
4 | 제주 유나이티드 | 38 | 13 | 15 | 10 | 52 | 44 | +8 | 54 | |
5 | 수원 FC | 38 | 14 | 9 | 15 | 53 | 57 | -4 | 51 | |
6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38 | 12 | 10 | 16 | 42 | 50 | -8 | 46 | |
▼ 파이널 B | ||||||||||
7 | FC 서울 | 38 | 12 | 11 | 15 | 46 | 46 | 0 | 47 | |
8 | 인천 유나이티드 | 38 | 12 | 11 | 15 | 38 | 45 | -7 | 47 | |
9 | 포항 스틸러스 | 38 | 12 | 10 | 16 | 41 | 45 | -4 | 46 | |
10 | 성남 FC | 38 | 11 | 11 | 16 | 34 | 46 | -12 | 44 | |
11 | 강원 FC (O) | 38 | 10 | 13 | 15 | 40 | 51 | -11 | 43 |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 |
12 | 광주 FC (R) | 38 | 10 | 7 | 21 | 42 | 54 | -12 | 37 | K리그2 2022로 강등 |
- '''순위 결정 방식''': 1) 승점, 2) 다득점, 3) 골득실차, 4) 다승, 5) 승자승 순서.
- '''리그 방식''': 총 12개 팀이 참가하여 각 팀이 다른 모든 팀과 3번씩, 팀당 33경기의 정규 라운드를 치른다. 이후 상위 6개 팀(파이널 A)과 하위 6개 팀(파이널 B)으로 리그를 분할하여 팀당 5경기씩 스플릿 라운드를 치른 후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 '''(C)''' = 우승, '''(R)''' = 강등, '''(O)''' = 승강 플레이오프 승리 후 잔류.
4. 2. 라운드별 순위
2021년 시즌 K리그1은 코로나19 유행 속에서도 2021년 2월 27일에 개막하여 유관중 경기로 진행되었다. 리그는 총 12개 팀이 참가하여, 팀당 38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먼저 1라운드부터 33라운드까지 각 팀이 서로 세 번씩 맞붙는 '''정규 라운드'''를 진행했다. 이후 정규 라운드 성적을 기준으로 상위 6개 팀(1위~6위)은 '''파이널 A'''로, 하위 6개 팀(7위~12위)은 '''파이널 B'''로 나뉘었다. 파이널 A와 파이널 B에 속한 팀들은 각각 그룹 내 다른 5개 팀과 한 번씩 더 경기를 치르는 '''파이널 라운드'''(34~38라운드)를 통해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시즌 중 일부 경기가 연기되기도 하였다. 자세한 라운드별 순위 변동 및 경기 결과는 아래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