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석 (생명공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오석은 대한민국의 생명공학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와 예일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 과정을 거쳤다.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며, 질병 및 미세먼지와 같은 위해요소를 검지, 분석하는 나노 소재 기반 진단기기를 개발하고 있다. 빌 & 멀린다 게이츠 재단의 지원을 받아 말라리아 진단키트를 개발하는 연구도 수행했다. 감염균 및 바이러스 등 생물학적 위해 요소와 화학적 위해 요소를 검지하고 분석하는 기술, 신개념 나노구조체 개발, 바이오컨텐츠 인터페이싱 및 모니터링 기술 개발 등을 연구했으며, 관련 분야에서 다수의 수상 경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생명공학자 - 허영섭
허영섭은 GC녹십자 사장 및 회장을 역임하며 필수의약품 국산화에 기여하고 한국혈우재단을 설립한 바이오제약 경영인이다. - 대한민국의 생명공학자 - 박종화 (교육인)
박종화는 생명공학 및 경제학 분야의 학자로서, 유전체학 권위자이며, 여러 대학교의 교수 및 연구소 소장, 기업의 CEO와 CSO를 겸임하고 있다. - 서울대학교 동문 - 김태권
김태권은 서울대학교에서 미학과 서양고전학을 전공한 대한민국의 만화가이자 작가로, 2002년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로 데뷔하여 역사, 인문학, 사회 비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인문학적 깊이와 풍자, 해학을 통해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작품들을 발표해왔다. - 서울대학교 동문 - 박주선
박주선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검사, 대통령비서실 법무비서관을 거쳐 국회의원, 국회 부의장, 당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대한석유협회 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동문 - 길버트 뉴턴 루이스
길버트 뉴턴 루이스는 열역학, 화학 결합, 산-염기 반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긴 미국의 물리화학자이다.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동문 - 정몽준
정몽준은 현대중공업 대표이사 사장, 7선 국회의원, 대한축구협회 회장, FIFA 부회장을 역임하고 2002년 FIFA 월드컵 유치에 기여했으며, 아산나눔재단을 설립하여 사회 공헌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축구 행정가이다.
권오석 (생명공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권오석 (생명공학자) | |
![]() | |
기본 정보 | |
분야 | 생명공학 |
소속 학회 | 한국생물공학회 |
고용주 | 서울대학교 |
주요 연구 | 유전체 편집 단백질 공학 합성생물학 |
주요 성과 | 크리스퍼 유전체 편집 기술 개발 대사 공학 기반 생물 시스템 개발 항체 공학 기술 개발 |
수상 | 젊은 과학자상 (2019) 한국생물공학회 학술상 (2021) |
학력 | |
교육 | 서울대학교 학사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박사 |
2. 생애
권오석은 2013년 서울대학교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2][3][4][5]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예일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포스닥) 과정을 거쳤다.[1][2][3][4][5]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1][2][3][4][5] 질병, 미세먼지와 같은 위해요소를 검지, 분석하는 나노 소재 기반 진단기기를 개발하고 있다.[1][2][3][4][5] 2017년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빌 & 멀린다 게이츠 재단의 지원을 의뢰받아 말라리아 진단키트를 개발하고 있다.[6]
2. 1. 학력 및 경력
권오석은 2013년 서울대학교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2][3][4][5]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예일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포스닥) 과정을 거쳤다.[1][2][3][4][5]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1][2][3][4][5] 질병, 미세먼지와 같은 위해요소를 검지, 분석하는 나노 소재 기반 진단기기를 개발하고 있다.[1][2][3][4][5] 2017년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빌 & 멀린다 게이츠 재단의 지원을 의뢰받아 말라리아 진단키트를 개발하고 있다.[6]2. 2. 주요 연구 활동
3. 연구 분야
3. 1. 주요 연구 분야
권오석은 감염균 및 바이러스 등 생물학적 위해 요소와 화학적 위해 요소를 검지하고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7] 또한, 신개념 나노구조체를 개발하고 바이오컨텐츠 인터페이싱 및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했다.4. 연구 성과
4. 1. 주요 연구 성과
그래핀, 탄소나노튜브와 같은 전도성 나노구조체를 활용하여 반도체 소자 제작 기술을 통해 바이오/화학 센서를 개발하였고,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미국 화학 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가 발간하는 Chemical Reviews에 논문을 게재하였다.[8] 신규 유기 화합물 개발을 통해 나노 재료의 사이즈 조절과 특성 변화 및 전극 표면의 안정적인 작용기 도입을 통해 센서의 성능을 향상시켰다.[9]태양광의 사용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낮은 에너지를 갖는 빛을 상향변환시키는 유기 염료를 활용하여 형광(삼중항-삼중항 소멸 상향변환) 나노캡슐을 제작하였고, 개발된 상향변환 나노캡슐의 형광을 이용하여 유해물질의 위치 추적 및 다중 암 진단 등의 연구에 활용하였다.[12]
기존 중합효소연쇄반응(PCR) 장비의 에너지원을 광원으로 변경하여 장비 크기를 소형화함으로써, 감염병 및 바이러스 검출 장비 개발에 기여하였다. 또한 빌 & 멀린다 게이츠 재단의 지원을 통해 현장진단키트(LFA)의 성능을 제고하였다.[13]
생명연, 스마트IT융합시스템연구단, 전남대학교 고분자융합소재공학부 연구진과 공동으로 차량용 공기청정기 필터, 스마트 마스크, 윈도우 필터 등에 적용 가능한 나노섬유 기반 초미세먼지 필터를 개발하였다.[14][15][16]
5. 수상
- 2020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상 및 표창장을 수상하였다.
- 2020년 이달의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인으로 선정되었다.
- 2018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 2018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었다.
- 2018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 2018년 나노기술연구협의회 젊은연구자상을 수상하였다.
- 2017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었다.
- 2013년 서울대학교 젊은장학생으로 선정되었다.
- 2013년 한국고분자학회 우수학위논문상을 수상하였다.
- 2012년 미국재료학회(Materials Research Society) 대학원생상 은상을 수상하였다.[17]
5. 1. 수상 내역
- 2020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상 및 표창장을 수상하였다.
- 2020년 이달의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인으로 선정되었다.
- 2018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 2018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었다.
- 2018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 2018년 나노기술연구협의회 젊은연구자상을 수상하였다.
- 2017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었다.
- 2013년 서울대학교 젊은장학생으로 선정되었다.
- 2013년 한국고분자학회 우수학위논문상을 수상하였다.
- 2012년 미국재료학회(Materials Research Society) 대학원생상 은상을 수상하였다.[17]
참조
[1]
웹인용
나노 진단장비 개발 권오석 한국생명공학연구원
http://weekly.chosun[...]
주간조선
2020-03-26
[2]
웹인용
권오석 프로필
https://web.archiv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권오석
2020-03-26
[3]
웹인용
권오석 근황
https://www.ibric.or[...]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권오석
2020-03-26
[4]
웹인용
빌 게이츠재단이 찍은 첫 국내 과학자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20-03-26
[5]
웹인용
생명공학연구원, 유해물질 모니터링·위치 추적 가능한 나노캡슐 개발
http://www.hellot.ne[...]
첨단 헬로티
2020-03-26
[6]
기타
[7]
기타
[8]
웹인용
신약 검사 패러다임 바꿀까…단백질 기반 분석기술 개발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4-06
[9]
웹인용
나노캡슐로 몸속 유해물질 진단한다
https://www.edaily.c[...]
이데일리
2020-04-06
[10]
기타
[11]
기타
[12]
웹인용
몸속 유해물질 측정하는 나노캡슐 위치 추적 기술 개발
https://www.sciencet[...]
TheScienceTimes
2020-04-06
[13]
웹인용
'말라리아 퇴치' 젊은 똘끼로 도전한다
https://hellodd.com/[...]
대덕넷
2020-04-06
[14]
웹인용
과학자 시선 '국민' 보았더니 '미세먼지 대항마' 성과로
https://hellodd.com/[...]
대덕넷
2020-04-06
[15]
웹인용
다큐S 프라임 114회 방송정보 (미세먼지를 분석하라!)
https://science.ytn.[...]
YTN science
2020-04-06
[16]
웹인용
산업일반 초 미세먼지 제거 효율 25% 높인 필터제조
http://www.newsworks[...]
뉴스웍스
2020-04-06
[17]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