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주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주군은 황해북도 북서부에 위치한 행정 구역이다. 언진산맥과 정방산맥이 뻗어 있고, 황주천이 군 중앙부를 관류하며, 준평원 지대와 테라로사 토양으로 벼농사가 성행한다. 고조선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어 고려 시대에는 황주목이 설치되었고, 조선 시대에는 황해도 중심 도시 중 하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황주군에 13면이 설치되었으며, 해방 이후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현재는 1읍 28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잡곡과 사과 생산이 활발하고, 철광 등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평부선과 송림선이 지나가며, 황주역이 위치해 있다. 정방산성, 성불사 등 명승고적이 있으며, 황주 공군기지와 미사일 기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주군 - 황주 미사일 기지
황주 미사일 기지는 조선인민군 전략군이 운영하는 미사일 기지로, 황해북도 황주군에 위치하며 1991년에서 1993년 사이에 건설이 시작되었고, 2016년에는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가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 황주군 - 긴등역
- 황해북도의 군 - 평산군
평산군은 황해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멸악산맥과 례성강이 지나고, 고구려 시대에는 대곡군으로 불렸으며, 신숭겸과 유금필의 본관이며, 우라늄 제련 시설 관련 논란이 있었고, 평부선, 청년이천선, 평양-개성 고속도로가 통과하는 지역이다. - 황해북도의 군 - 린산군
린산군은 황해북도에 위치하며, 1952년 평산군과 서흥군 일부를 통합하여 신설되었고, 1개의 읍과 19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행정 구역 개편과 황해도의 분할에 따라 역사적 변화를 겪어왔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황주군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황주군 |
원어 이름 | 황주군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 Hwangju-gun |
로마자 표기 (개정) | Hwangju-gun |
한자 표기 | 黃州郡 |
국가 | 북한 |
도 | 황해북도 |
행정 구역 종류 | 군 |
인구 정보 | |
총인구 | 155,215명 |
인구 조사 년도 | 2008년 |
면적 정보 | |
면적 | 517.10 km² |
인구 밀도 | 300.16 명/km² |
행정 구역 | |
읍 | 1개 |
리 | 28개 |
2. 지리
황해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평양직할시 중화군, 동쪽으로는 연탄군, 서쪽으로는 송림시, 남쪽으로는 봉산군과 접한다.[4] 언진산맥과 정방산맥이 뻗어 있으며, 자비산(691m), 군장봉(534m), 정방산(480m) 등 여러 산이 솟아 있다.[4] 황주천(99.6km)이 군 중앙부를 서쪽으로 관류하여 대동강에 합류한다.[4]
고조선 시대에는 함자현(含資縣), 낙랑군 시대에는 함자현, 고구려 시대에는 동홀(冬忽)로 불렸다. 신라 헌덕왕 때 취성군으로 개칭되었고, 고려 초에 황주로 개칭되었다. 983년(고려 성종 2년) 십이목 중 하나인 황주목(黃州牧)이 설치되었고, 절도사가 설치되어 황주 천덕군(天德軍)이라 칭해졌다.[4] 고려 현종 때 안무사로 개칭되었다가 다시 목이 되어 서해도에 속했다.[4] 고려 원종 때 원의 동녕부에 속했다가 고려 공민왕 때 수복되었다.[4]
남부 언진산맥을 제외하면 준평원 지대이며, 테라로사 토양이 분포하여 벼농사가 성행한다.[4] 연평균 기온은 10.2°C, 1월 평균 기온은 -7°C, 8월 평균 기온은 25.6°C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1,100mm이다.[4]
3. 역사
조선 세조 때 진을 두어 2도호부 6군 5현을 관할했다.[4] 1895년 평양부 소관으로, 1896년 황해도로 환원되었다.[4] 조선 시대에는 해주와 함께 황해도의 중심 도시 중 하나였다.
=== 일제강점기 ===
1914년 4월 1일 군면병합에 따라 황해도 '''황주군'''에 흑교면, 구성면, 청수면, 삼다면, 영풍면, 제안면, 주남면, 천주면, 청룡면, 구락면, 도치면, 인교면, 송림면 등 13면이 설치되었다.[2] 1929년 제안면이 황주면으로 개칭되었고, 1939년 10월 1일 황주면이 황주읍으로 승격되었다.[2] 1930년 황주군의 읍이었던 송림시(당시 겸이포)가 읍으로 승격되고 금오포(겐지호/Kenjiho일본어)로 개명되면서 황주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2] 일본은 그곳에 제철소를 건설했다.[2] 1931년 겸이포가 송림시로 분리, 승격되었다.[5] 1942년 4월 1일 송림면 및 구성면, 삼다면의 각 일부가 합병하여 겸이포읍이 발족되었다.[2]
=== 해방 이후 ===
1945년 광복 직후 황주읍과 겸이포읍이 각각 황주면과 송림면으로 강등되었다.[2] 1947년 송림시가 황주군에서 분리되었다.[7] 1952년 12월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황주군 황주면, 주남면, 청룡면, 삼다면, 영풍면, 구성면, 청수면, 흑교면 및 천주면의 일부, 평안남도중화군 중화면의 일부 지역을 합쳐 황주군이 재편성되었다. 이때 황주읍, 운성리, 신상리, 산봉리, 순천리, 심촌리, 구포리, 청룡리, 삼다리, 철도리, 장천리, 삼이리, 대동리, 석산리, 용궁리, 청운리, 삼가포리, 석이리, 흑교리, 고연리, 용천리, 금사리, 내외리, 삼훈리, 천주리가 설치되었다.[2] 1954년 10월 황해도 분할에 따라 황해북도 황주군이 되었다.[2]
3. 1.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군면병합에 따라 황해도 '''황주군'''에 흑교면, 구성면, 청수면, 삼다면, 영풍면, 제안면, 주남면, 천주면, 청룡면, 구락면, 도치면, 인교면, 송림면 등 13면이 설치되었다.[2] 1929년 제안면이 황주면으로 개칭되었고, 1939년 10월 1일 황주면이 황주읍으로 승격되었다.[2] 1930년 황주군의 읍이었던 송림시(당시 겸이포)가 읍으로 승격되고 금오포(겐지호/Kenjiho일본어)로 개명되면서 황주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2] 일본은 그곳에 제철소를 건설했다.[2] 1942년 4월 1일 송림면 및 구성면, 삼다면의 각 일부가 합병하여 겸이포읍이 발족되었다.[2]
3. 2. 해방 이후
1945년 광복 직후 황주읍과 겸이포읍이 각각 황주면과 송림면으로 강등되었다.[2] 1947년 송림면이 송림시로 승격되어 황주군에서 분리되었다.[2] 1952년 12월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황주군 황주면, 주남면, 청룡면, 삼다면, 영풍면, 구성면, 청수면, 흑교면 및 천주면의 일부, 평안남도중화군 중화면의 일부 지역을 합쳐 황주군이 재편성되었다. 이때 황주읍, 운성리, 신상리, 산봉리, 순천리, 심촌리, 구포리, 청룡리, 삼다리, 철도리, 장천리, 삼이리, 대동리, 석산리, 용궁리, 청운리, 삼가포리, 석이리, 흑교리, 고연리, 용천리, 금사리, 내외리, 삼훈리, 천주리가 설치되었다.[2] 1954년 10월 황해도 분할에 따라 황해북도 황주군이 되었다.[2]
4. 행정 구역
현재 황주군은 1읍(황주읍)과 신상리, 선봉리, 순천리, 침촌리, 구포리, 포남리, 청룡리, 대동리, 삼전리, 철도리, 장천리, 삼정리, 석산리, 룡궁리, 청운리, 석정리, 인포리, 광천리, 장사리, 금석리, 흑교리, 룡천리, 고연리, 내외리, 외상리, 삼훈리, 천주리, 은성리 등 28리로 구성되어 있다.[4] 1952년 북한은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황주군을 황해북도에 편입시키고, 금봉리·칠봉리는 연탄군에, 문현리는 봉산군에 편입시켰다.[1]
한글 | 한자 |
---|---|
황주읍 | 黃州邑중국어 |
장천리 | 長川里중국어 |
장사리 | 長沙里중국어 |
침촌리 | 沈村里중국어 |
철도리 | 鐵島里중국어 |
청룡리 | 靑龍里중국어 |
청운리 | 靑雲里중국어 |
천주리 | 天柱里중국어 |
흑교리 | 黑橋里중국어 |
인포리 | 仁浦里중국어 |
고연리 | 高淵里중국어 |
금석리 | 金石里중국어 |
구포리 | 九浦里중국어 |
광천리 | 光川里중국어 |
내외리 | 內外里중국어 |
외상리 | 外上里중국어 |
포남리 | 浦南里중국어 |
룡천리 | 龍川里중국어 |
룡궁리 | 龍宮里중국어 |
삼훈리 | 三勳里중국어 |
삼전리 | 三田里중국어 |
삼정리 | 三井里중국어 |
신상리 | 新上里중국어 |
석정리 | 石井里중국어 |
석산리 | 石山里중국어 |
선봉리 | 仙峰里중국어 |
순천리 | 順天里중국어 |
대동리 | 大東里중국어 |
운성리 | 雲城里중국어 |
5. 산업
황주군은 도내에서 두 번째로 밭 면적이 넓으며, 조, 콩, 밀, 수수, 팥 등 전국적인 잡곡 산지이고, 쌀 생산량도 적지 않다.[4] 특히 사과는 국내 각지는 물론 일본, 만주에 다량 수출되었다.[4] 축산물로는 체구가 큰 우량 소의 산지로 유명하고 그 밖에 돼지, 닭의 사육도 성하다.[4]
철광, 중정석, 석고, 방해석, 공작석 등의 지하자원이 풍부하며, 특히 황주광산에서 황철광이 많이 생산된다.[4] 침철광은 송림시, 황주, 흑교 등 광산에서 산출이 많고, 방해석은 송림, 구성에서, 공작석은 송림시에서, 석고는 천주에서, 중정석은 구성에서 각각 산출된다.[4]
공업은 송림시에 거대한 제철소가 있어 제철, 제강, 각종 강재, 코크스, 황산 암모니아 등 공업이 발달하였고, 황주에서는 사과주 양조가 이루어진다.[4]
6. 교통
평부선이 지나며, 황주역이 있다. 송림선이 황주역에서 분기하여 장천리역까지 연결된다. 황주읍을 통과하는 고속도로가 있다.
7. 군사
황주 공군기지가 위치하며, 5 km 떨어진 곳에 황주 미사일 기지가 있다.
8. 관광
명승고적으로는 정방산성과 성불사, 화주 유물포사탑(遺物包舍塔), 심원사 보광전(心源寺普光殿), 황주성지, 기자묘, 지석군 등이 있다. 성불사 극락전과 응진전, 화주 유물포사탑, 심원사 보광전은 국보로 지정되었다.
9. 출신 인물
황보림(1333~1394)은 고려말 조선초의 무신이었다. 창선군(?~1471)은 의안대군 이화의 손자이며 순천군의 차남이었다. 조동순(1901(?)~1937)은 황해도 평의원이자 사업가였다.
참조
[1]
웹사이트
북한네트 | Joins
https://web.archive.[...]
2009-12-24
[2]
웹사이트
황해북도 황주군 역사
http://www.cybernk.n[...]
[3]
웹사이트
북한통계>인구일제조사>2008>인구>도, 시/구역/군, 도시/농촌별, 성별인구
http://kosis.kr/stat[...]
국가통계포털
2017-08-07
[4]
글로벌2
황해도 - 황주군
[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69호
1939-09-30
[6]
간행물
邑面及邑面長ニ關スル規程中改正
http://www.dlibrary.[...]
관보
2017-08-04
[7]
웹사이트
황해북도 황주군 역사
https://terms.naver.[...]
2017-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