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랜트 그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랜트 그린은 미국의 재즈 기타리스트이다. 1935년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태어난 그는 13세에 가스펠 음악 앙상블에서 전문적으로 활동을 시작했고, 20대에는 재즈와 R&B 밴드에서 연주했다. 1959년 루 도날드슨에게 발탁되어 뉴욕으로 이주한 그린은 블루 노트 레코드와 전속 계약을 맺고 1961년부터 1965년까지 많은 앨범을 발표하며 이름을 알렸다. 1966년 블루 노트를 떠난 후 다른 레이블에서도 활동했으나, 1979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블루 노트 레코드 음악가 - 오넷 콜먼
오넷 콜먼은 미국의 재즈 작곡가이자 색소폰, 바이올린, 트럼펫 연주자이며, 프리 재즈의 선구자로서 하모로딕스라는 독자적인 음악 이론을 제시하고 퓰리처상과 그래미 평생 공로상을 수상했다. - 블루 노트 레코드 음악가 - 버디 리치
버디 리치는 뛰어난 테크닉과 에너지 넘치는 연주로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드러머" 중 한 명으로 널리 알려진 미국의 재즈 드러머이자 밴드 리더로, 유명 밴드 활동과 TV 프로그램 출연을 통해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 미국의 재즈 기타 연주자 - 프랭크 자파
프랭크 자파는 1940년 미국에서 태어나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음악 활동을 펼쳤으며, 마더스 오브 인벤션을 결성하고 솔로 활동을 통해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였고, 사회, 정치 활동에도 참여하다 1993년 사망했다. - 미국의 재즈 기타 연주자 - 찰리 크리스천
찰리 크리스천은 전기 기타의 가능성을 확장하고 재즈 기타의 새 장을 연 미국의 재즈 기타리스트이자 비밥의 선구자로서, 베니 굿맨 밴드 활동과 미턴스 플레이하우스에서의 비밥 연주를 통해 혁신적인 연주 스타일을 확립하여 후대 기타리스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나, 26세의 나이로 요절했음에도 불구하고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는 등 음악적 업적을 인정받고 있다. - 세인트루이스 출신 - 랜디 오턴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이자 배우인 랜디 오턴은 3대째 프로레슬링 가문 출신으로 WWE에서 "레전드 킬러", "바이퍼" 등의 별명으로 활동하며 WWE 챔피언십 10회,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4회 등 총 14회의 월드 챔피언, 트리플 크라운 및 그랜드 슬램, 로열럼블 우승 2회, 머니 인 더 뱅크 우승, WWE 최다 페이퍼뷰 경기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세인트루이스 출신 - 존 굿맨
존 굿맨은 미국의 배우이자 성우로, 《로잔느》의 댄 콘너 역으로 골든 글로브상 등을 수상하고 코엔 형제 영화 출연, 《몬스터 주식회사》의 설리반 역 등 다수의 작품에서 활약했다.
| 그랜트 그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그랜트 그린 |
| 출생지 | 미국미주리주세인트루이스 |
| 사망지 | 미국뉴욕 |
| 국적 | 미국 |
| 활동 기간 | 1959년 - 1978년 |
| 악기 | 기타 |
| 장르 | 재즈 비밥 하드 밥 소울 재즈 재즈 펑크 |
| 직업 | 음악가 작곡가 |
| 레이블 | 블루 노트 레코드 버브 레코드 쿠두 레코드 |
| 관련 활동 | 루 도널드슨 래리 영 빅 존 패튼 이드리스 무하마드 |
2. 생애
그랜트 그린은 재즈 기타리스트로서, 그의 음악 경력은 여러 단계를 거치며 발전했다. 초기에는 블루스와 가스펠 음악의 영향을 받았고, 블루 노트 레코드와의 협업을 통해 비밥 스타일을 확립했다. 이후 펑크와 소울 재즈로 음악적 영역을 넓혔으며, 말년에는 건강 문제와 싸우면서도 음악 활동을 계속했다. 재즈 평론가 데이브 헌터는 그린의 연주에 대해 "유연하고 느슨하며, 약간 블루지하고, 제대로 그루비하다"고 평했다.[13] 1960년대의 블루 노트 레코드를 대표하는 기타리스트로, 정통 비밥부터 소울 재즈(펑키 재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주 스타일을 선보여, 재즈 팬뿐만 아니라 다른 장르의 팬들에게도 널리 청취되었다. 1960년대 후반 이후에는 제임스 브라운의 영향을 받은 펑크 스타일의 연주를 하기도 했다. 1980년대 말의 레어 그루브 붐을 계기로 그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그의 연주 스타일은 시기에 따라 변화를 보였다.
| 시기 | 스타일 | 주요 앨범 |
|---|---|---|
| 1960년대 초반 | 비밥 | 'Grants First Stand, Grantstand'' |
| 1960년대 말 ~ 1970년대 | 펑크 | Alive!, Grant Green Live at the Lighthouse |
그는 싱글 코일을 탑재한 깁슨 기타를 주로 사용했으며, 싱글 코일 특유의 음색이 그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다. 펜타토닉 스케일을 활용한 접근법과 같은 프레이즈를 반복하여 솔로를 고조시키는 기법을 자주 사용했다. 또한, 코드 솔로나 옥타브 주법을 주로 사용한 웨스 몽고메리와는 달리, 싱글 노트(단음)를 중심으로 연주했다.
2. 1. 초기 생애 및 활동 (1935-1959)
그랜트 그린은 1935년 6월 6일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존 그린과 마사 그린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노동자이자 세인트루이스 경찰관이었다.[4]그린은 초등학교에 다니는 동안 기타를 배우기 시작했다.[5] 그는 아버지로부터 초기에 기타 연주를 배웠으며,[6] 아버지는 블루스와 포크 음악을 연주했다. 포레스트 알콘과 1년 동안 공부했지만, 주로 독학으로 음반을 들으면서 배웠다.
13세에 가스펠 음악 앙상블의 멤버로 전문적인 무대에 처음 섰으며,[6][1] 20대에는 재즈와 R&B 밴드의 멤버였다.[6] 찰리 크리스찬, 찰리 파커,[6] 레스터 영, 지미 레이니에게 영향을 받았다. 그린의 스타일은 코드보다는 단음표를 연주하는 등 색소폰 연주자를 모방했다.[6]
28세에 지미 포레스트 테너 색소폰 연주자와 함께 세인트루이스에서 유나이티드 레이블에서 처음 녹음했는데, 이때 그린은 드러머 엘빈 존스와 함께 연주했다. 1960년대 중반에 존스와 함께 여러 앨범을 녹음했다. 1959년, 루 도날드슨은 세인트루이스의 한 술집에서 연주하는 그린을 발견하고 그의 순회 밴드에 고용했다. 1959-60년 사이에 뉴욕으로 이주했다.
2. 2. 블루 노트 레코드와의 만남 (1959-1966)
루 도날드슨은 세인트루이스의 한 술집에서 연주하는 그랜트 그린을 발견하고 자신의 순회 밴드에 고용했다. 그린은 1959년에서 1960년 사이에 뉴욕으로 이주했다.[6]도날드슨은 그린을 블루 노트 레코드의 알프레드 라이언에게 소개했다. 1961년부터 1965년까지 그는 블루 노트의 전속 기타리스트였다.[6] 블루 노트의 관례대로 그린을 사이드맨으로 사용하는 대신, 라이언은 그가 그룹 리더로서 녹음하도록 준비했다. 그러나 그린의 자신감 부족으로 인해 첫 번째 녹음 세션은 2001년에야 ''First Session''으로 발매되었다.[7][8]
첫 세션이 보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린과 블루 노트의 녹음 관계는 1960년대 내내,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지속되었다. 1961년부터 1965년까지 그린은 리더 또는 사이드맨으로서 다른 누구보다 블루 노트 앨범에 더 많이 출연했다. 그의 첫 리더 앨범은 ''Grant's First Stand''였다. 이 앨범에 이어 같은 해에 ''Green Street''와 ''Grantstand''가 발매되었다. 그린은 1962년 ''다운 비트'' 평론가 투표에서 최고의 신인 스타로 선정되었다. 그는 행크 모블리, 아이크 퀘벡, 스탠리 터렌타인, 오르간 연주자 래리 영을 포함한 블루 노트의 다른 음악가들을 종종 지원했다.
''Sunday Mornin' '', ''The Latin Bit'' 및 ''Feelin' the Spirit''은 모두 컨셉 앨범으로, 각각 가스펠, 라틴, 스피리추얼과 같은 음악적 테마 또는 스타일을 취하고 있다. 그린은 이 시기에 상업적인 공연을 예술적으로 성공적으로 해냈는데, 조 헨더슨과 바비 허처슨이 참여한 ''Idle Moments'' (1963)[9]와 ''Solid'' (1964)[10]는 재즈 평론가들에 의해 그린의 최고의 녹음 중 하나로 묘사된다.
그린의 많은 녹음은 생전에 발매되지 않았다. 여기에는 1961년에서 1962년에 녹음된 피아니스트 소니 클락과의 여러 앨범이 포함되어 있으며, 1997년 모자이크에서 발매한 ''The Complete Grant Green & Sonny Clark''에 포함되어 있다.[11] 또한 1964년에 존 콜트레인 쿼텟의 맥코이 타이너와 엘빈 존스가 참여한 두 개의 앨범 (''Matador'' 및 ''Solid'')이 있다.
1966년 그린은 블루 노트를 떠났다.[6]
2. 3. 블루 노트 이후의 활동과 사망 (1966-1979)
1966년 그랜트 그린은 블루 노트를 떠나[6] 버브 등 다른 레이블에서 녹음했다. 1967년부터 1969년까지는 개인적인 문제와 헤로인 중독의 영향으로 활동이 중단되었다.[6] 1969년 블루 노트로 돌아왔지만, 주로 R&B 환경에서 연주했다.[6] 이 시기에 녹음된 작품으로는 상업적으로 성공한 ''Green Is Beautiful''과 영화 ''The Final Comedown''의 사운드트랙이 있다.1978년 그린은 많은 시간을 병원에서 보냈고,[6] 의사의 조언에도 불구하고 돈을 벌기 위해 다시 순회 공연을 했다. 조지 벤슨의 브리진 라운지에서 공연하기 위해 뉴욕에 갔다가 1979년 1월 31일, 차 안에서 심장 마비로 쓰러져 사망했다. 그는 고향인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의 그린우드 묘지에 묻혔으며, 기타리스트인 아들 그랜트 그린 주니어를 포함하여 6명의 자녀를 두었다.
3. 연주 스타일 및 특징
재즈 평론가 데이브 헌터는 그린의 연주에 대해 "유연하고 느슨하며, 약간 블루지하고, 제대로 그루비하다"고 평했다.[13] 1960년대의 블루 노트 레코드를 대표하는 기타리스트로, 정통 비밥부터 소울 재즈(펑키 재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주 스타일을 선보였다. 이 때문에 그린의 레코드는 재즈 팬뿐만 아니라 다른 장르의 팬들에게도 널리 청취되었다. 1960년대 후반 이후에는 제임스 브라운의 영향을 받은 펑크 스타일의 연주를 하기도 했다. 1980년대 말의 레어 그루브 붐을 계기로 그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1960년대 전반에는 주로 비밥 스타일로 연주했다. 1961년 블루 노트에서의 첫 앨범 『Grant's First Stand』, 두 번째 앨범 『Grantstand』 등에서 그의 뛰어난 밥 프레이즈를 들을 수 있다.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에 걸쳐서는 펑키한 플레이를 들을 수 있다. 라이브 앨범인 『Alive!』와 『Grant Green Live at the Lighthouse』 등에서는 펑키한 솔로를 선보였다.
연대와 함께 플레이 스타일을 바꾼 그린은, 일관되게 싱글 코일을 탑재한 깁슨 기타를 사용했으며, 싱글 코일 특유의 음색이 그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다.
그의 연주 스타일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4. 디스코그래피
그랜트 그린은 블루 노트 레코드를 비롯한 여러 레이블에서 음반을 발매했다. 대표적인 음반으로는 블루 노트 레코드에서 발매한 ''Grant's First Stand'', ''Green Street'', ''Sunday Mornin''', ''Grantstand'' 등이 있으며, Verve에서 발매한 ''His Majesty King Funk'' 등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그랜트 그린 음반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블루 노트 레코드
| 레코딩 연도 | 타이틀 | 발매 연도 |
|---|---|---|
| 1960-61 | First Session | 2001 |
| 1961 | 'Grants First Stand'' | 1961 |
| 1961 | Green Street | 1961 |
| 1961 | 'Sunday Mornin'' | 1962 |
| 1961 | Grantstand | 1962 |
| 1961 | Remembering | 1980 |
| 1961 | 'Goodens Corner'' | 1980 |
| 1962 | Nigeria | 1980 |
| 1962 | Oleo | 1980 |
| 1962 | Born to Be Blue | 1985 |
| 1962 | The Latin Bit | 1963 |
| 1962 | 'Goin West'' | 1969 |
| 1962 | 'Feelin the Spirit'' | 1963 |
| 1963 | Blues for Lou | 1999 |
| 1963 | Am I Blue | 1964 |
| 1963 | Idle Moments | 1965 |
| 1964 | Matador | 1979 |
| 1964 | Solid | 1979 |
| 1964 | 'Talkin About!'' | 1965 |
| 1964 | Street of Dreams | 1967 |
| 1965 | I Want to Hold Your Hand | 1966 |
| 1969 | 'Carryin On'' | 1970 |
| 1970 | Green Is Beautiful | 1970 |
| 1970 | Alive! | 1970 |
| 1971 | Live at Club Mozambique | 2006 |
| 1971 | Visions | 1971 |
| 1971 | Shades of Green | 1971 |
| 1971 | The Final Comedown | 1972 |
| 1972 | Live at The Lighthouse | 1972 |
4. 2. 기타 레이블
5. 사용 장비
그린은 초기에 깁슨 ES-330을 사용했고, 이후 깁슨 맥카티 픽가드/픽업이 장착된 깁슨 L7, 에피폰 엠페러(같은 픽업 사용)를 거쳐, 마지막으로 맞춤 제작된 다퀴스토를 사용했다. 그의 제자이자 동료 기타리스트인 조지 벤슨에 따르면, 그린은 앰프의 베이스와 트레블 설정을 끄고, 미드레인지를 최대로 높여 자신만의 톤을 얻었다고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는 특유의 펀치감 있고 날카로운 톤을 만들어냈다.
참조
[1]
웹사이트
Grant Green Biography, Songs, & Albums
https://www.allmusic[...]
2023-10-02
[2]
웹사이트
Get that Tone
http://www.gibsongui[...]
2018-01-25
[3]
서적
Grant Green: Rediscovering the Forgotten Genius of Jazz Guitar
Backbeat
1999
[4]
문서
Green (1999), p. 31.
[5]
서적
The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Jazz
http://archive.org/d[...]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6]
서적
The Jazz Singers
Backbeat
2008
[7]
웹사이트
Grant Green - First Session
https://www.allmusic[...]
2023-10-02
[8]
웹사이트
Grant Green - An Introduction
http://www.audio-ide[...]
2015-04-02
[9]
웹사이트
Grant Green - Idle Moments
https://www.allmusic[...]
2023-10-02
[10]
웹사이트
Grant Green - Solid
https://www.allmusic[...]
2023-10-02
[11]
웹사이트
Grant Green - Mosaic Records
https://www.mosaicre[...]
2021-07-21
[12]
서적
Grant Green: rediscovering the forgotten genius of jazz guitar
https://archive.org/[...]
Miller Freeman Books
1999
[13]
뉴스
Get That Tone: Green Street-era Grant Green
http://www.gibsongui[...]
Gibson
2008-07-04
[14]
서적
Grant Green: rediscovering the forgotten genius of jazz guitar
https://archive.org/[...]
Miller Freeman Books
1999
[15]
올뮤직
Review by Michael G. Nastos
https://www.allmusic[...]
[16]
웹인용
Grant Green Albums and Discography
http://www.artistdir[...]
2017-12-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