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뤽스부르크 왕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뤽스부르크 왕조는 덴마크, 노르웨이, 그리스 왕실과 영국의 왕족에 영향을 미친 유럽의 왕가이다. 이 가문은 덴마크 왕 크리스티안 3세의 아들인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 공작 한스의 가계에서 시작되었으며, 1852년 런던 의정서에 따라 덴마크 왕위 계승자로 지명된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아들 크리스티안 9세가 1863년 덴마크 왕위에 오르면서 시작되었다. 이 가문은 덴마크, 노르웨이, 그리스 왕위를 계승했으며, 덴마크의 마르그레테 2세가 프레데리크 10세에게 양위하면서 덴마크 왕가의 부계가 몽페자 가문으로 교체되었다. 글뤽스부르크 왕가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작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는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가 공작위를 계승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귀족 가문 - 에스테가
에스테 가문은 11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귀족 가문으로, 이탈리아와 독일 두 분파로 나뉘어 북부 이탈리아 지역을 지배하며 예술을 후원했고, 독일 분파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와 영국 왕실과 연관을 맺었으며, 혼인을 통해 오스트리아-에스테 가문이 형성되어 유럽 정치사에 영향을 미치고 건축물과 예술품 등 문화적 유산을 남겼다. - 독일의 귀족 가문 - 벨프가
벨프가는 9세기 말 롬바르디아에서 시작하여 서임권 투쟁에서 교황 편에 서며 세력을 확장했고, 바이에른, 작센 등을 지배하며 하노버 선제후를 거쳐 영국 왕위를 계승하여 하노버 왕가를 열었으며, 현재까지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가문이 그 혈통을 잇고 있다.
글뤽스부르크 왕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명 (독일어) | Haus Glücksburg |
국명 (덴마크어) | Huset Glücksborg / Lyksborg |
국명 (한국어) | 글뤽스부르크가 |
민족 | 독일인 |
주 가문 | 올덴부르크가 |
창시 | 1825년 |
가주 | 프리드리히 빌헬름 |
현재 가주 | 크리스토프 |
통치 국가 | |
칭호 | |
분가 | |
주요 인물 |
2. 역사
글뤽스부르크 왕가는 올덴부르크가의 분가로, 덴마크 왕 크리스티안 3세의 삼남인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 공작 한스의 가계에서 시작되었다.[10]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베크 공작 아우구스트 필리프를 거쳐,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에 이르러 가문의 이름을 확립했다.
1852년 런던 의정서에 따라, 프레데리크 7세의 후계자로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넷째 아들 크리스티안이 지명되었다. 1863년 프레데리크 7세가 사망하자, 크리스티안은 크리스티안 9세로 즉위했다. 같은 해, 크리스티안 9세의 차남 빌헬름은 그리스에서 폐위된 오톤을 대신하여 요르요스 1세로 즉위했다. 1905년에는 동군연합이 해체되면서, 노르웨이 의회가 프레데리크 8세의 차남을 호콘 7세로 추대하여 노르웨이 왕가가 되었다.
1864년 덴마크 전쟁으로 슐레스비히와 홀슈타인 지역은 프로이센 왕국에 병합되었으나, 글뤽스부르크 가문은 여전히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이라는 칭호를 유지하고 있다.
2024년 마르그레테 2세가 아들 프레데리크 10세에게 양위하면서, 덴마크 왕가는 글뤽스부르크 가문에서 프랑스계 몽페자 가문으로 교체되었다.
2. 1. 가문의 기원과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글뤽스부르크 왕가는 덴마크 왕 크리스티안 3세의 삼남인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 공작 한스의 가계에서 시작되었다.[10] 한스의 후손들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베크 공작 아우구스트 필리프를 거쳐,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빌헬름에 이르러 가문의 이름을 확립했다.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프레데리크 6세의 왕비 마리의 여동생인 루이세 카롤리네와 결혼했다.1864년 덴마크 전쟁으로 슐레스비히와 홀슈타인 지역은 프로이센 왕국에 병합되었으나, 글뤽스부르크 가문은 여전히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이라는 칭호를 유지하고 있다.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후손들은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작위를 계승하며, 현재 글뤽스부르크 왕조의 본가를 이루고 있으며, 역대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재위 기간 |
---|---|
프리드리히 빌헬름 | 1825년 - 1831년 |
카를 | 1831년 - 1878년 |
프리드리히 | 1878년 - 1885년 |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 1885년 - 1934년 |
빌헬름 프리드리히 | 1934년 - 1965년 |
페터 | 1965년 - 1980년 |
크리스토프 | 1980년 - 2023년 |
2. 2. 덴마크 왕위 계승과 유럽 왕실과의 관계
1852년 런던 의정서에 따라, 덴마크 왕 프레데리크 7세에게는 자녀가 없었기에 그의 사촌 누이였던 루이제와 결혼한 글뤽스부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넷째 아들 크리스티안이 왕위계승자로 지명되었다.[4] 1863년 프레데리크 7세가 사망하자, 크리스티안은 크리스티안 9세로 덴마크 왕위에 올랐다.[4]
크리스티안 9세의 자녀들은 유럽 각국의 왕실과 혼인하며, '유럽의 장인'이라는 별칭을 얻을 정도로 글뤽스부르크 왕가의 영향력을 확장시켰다. 그의 장녀 알렉산드라는 영국의 에드워드 7세와 혼인하였고, 차녀 다그마르는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3세의 황후가 되었다.
2024년 마르그레테 2세가 아들 프레데리크 10세에게 양위하면서, 덴마크 왕가는 여전히 글뤽스부르크 가문으로 이어지고 있다. 다만, 부계는 몽페자 가문으로 교체되었다.
2. 3. 그리스와 노르웨이 왕위 계승
1863년 그리스는 오토 왕을 폐위시키고,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9세의 차남 빌헬름을 요르요스 1세로 추대했다.[4] 요르요스 1세의 후손들은 1973년 군주제가 폐지될 때까지 그리스 왕위를 계승했다. 1905년 노르웨이는 스웨덴과의 동군연합을 해체하고,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8세의 차남 칼을 호콘 7세로 추대했다.[11]초상 | 이름 | 생애 | 재위 기간 | 추가 칭호 |
---|---|---|---|---|
![]() | 게오르기오스 1세 | 1845–1913 | 1863–1913 | |
![]() | 콘스탄티노스 1세 | 1868–1923 | 1913-1917, 1920-1922 | |
![]() | 알렉산드로스 | 1893–1920 | 1917–1920 | |
![]() | 게오르기오스 2세 | 1890–1947 | 1922–1924, 1935–1947 | |
![]() | 파블로스 | 1901–1964 | 1947–1964 | |
![]() | 콘스탄티노스 2세 | 1940–2023 | 1964–1973 |
초상화 | 이름 | 생애 | 재위 기간 | 추가 칭호 |
---|---|---|---|---|
![]() | 호콘 7세 | 1872–1957 | 1905–1957 | 덴마크 왕자,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 공자 |
![]() | 올라프 5세 | 1903–1991 | 1957–1991 | 덴마크 왕자,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 공자, 올림픽 요트 챔피언 [8] |
![]() | 하랄 5세 | 1937년 출생 | 1991–현재 | 덴마크 왕자,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 공자, 요트 세계 챔피언 |
2. 4. 아이슬란드 왕위
1918년 아이슬란드는 덴마크와 동군연합 형태의 아이슬란드 왕국으로 독립했다. 크리스티안 10세는 1944년까지 덴마크와 아이슬란드의 국왕을 겸임했다.[10] 1944년 아이슬란드는 두 국가 간의 개인 연합을 해체하는 국민투표를 거쳐 공화국으로 전환하며 군주제를 폐지했다.사진 | 이름 | 생애 | 재위 기간 | 추가 칭호 |
---|---|---|---|---|
-- | 크리스티안 10세 | 1870년–1947년 | 1918년–1944년 |
2. 5. 영국 왕실과의 관계
1947년, 그리스와 덴마크의 왕자 필립 마운트배튼은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와 결혼했다. 필립은 그리스와 덴마크 왕자 작위를 포기하고, 영국의 국왕 조지 6세에 의해 에든버러 공작 작위를 받았다.[4]초상 | 이름 | 생애 | 재임 기간 | 추가 칭호 |
---|---|---|---|---|
![]() | 에든버러 공작 필립 | 1921–2021 | 1947–2021 | 1947년까지: 그리스 왕자 덴마크 왕자 1947년부터: 머리애니스의 백작 그리니치의 남작 |
![]() | 찰스 3세 | 1948년 출생 | 2021–현재 | 1952–2022년: 콘월 공작 1958–2022년: 웨일스 공 2021–2022년: 에든버러 공작 2022년–현재: 영국 국왕 |
올덴부르크가의 분가인 글뤽스부르크 왕가는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2세의 동생인 쇤데르보르 공작 요한(한스)에서 시작된 쇤데르보르가의 방계 혈통이다. 요한의 아들 필리프가 글뤽스부르크를 상속받아 글뤽스부르크 가문(구 글뤽스부르크가)을 창시했다. 1779년 필리프의 현손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빌헬름의 사망으로 구 글뤽스부르크가는 단절되었다.[10]
Schleswig-Holstein-Sonderburg-Glücksburg|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de 왕가는 글뤽스부르크 왕가의 정식 명칭이다.
글뤽스부르크 왕가는 올덴부르크가의 계통을 잇는다.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2세의 동생인 쇤데르보르 공작 요한(한스)에서 시작된 쇤데르보르가의 방계 혈통 중 하나이다. 요한의 일곱째 아들인 필리프가 유산 분할을 통해 글뤽스부르크 (현재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슐레스비-플렌스부르크 군)를 상속받아 창시되었다. (구 글뤽스부르크가) 1779년, 필리프의 현손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빌헬름의 사망으로 구 글뤽스부르크가는 단절되었다.
2022년 필립과 엘리자베스 2세의 아들 찰스 3세가 영국 왕위에 올랐다. 찰스 3세는 부계(父系)를 통해 글뤽스부르크 가문의 직계 후손이지만, 윈저 왕가의 일원으로서 통치한다.[9]
3. 분가
필리프의 조카인 베크 공작 아우구스트 필리프의 후손이 신 글뤽스부르크가를 이었지만, '글뤽스부르크'를 가문에 붙인 것은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부터였다.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프레데리크 6세의 왕비 마리의 여동생인 루이세 카롤리네와 결혼했다. 그의 손자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는 아우구스텐부르크가의 단절로 슐레스비홀슈타인 공작 의례 칭호를 얻었으나, 1864년 덴마크 전쟁으로 슐레스비홀슈타인이 프로이센 왕국에 병합되면서 프로이센 귀족 칭호가 되었다.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넷째 아들 크리스티안은 크리스티안 8세의 조카 루이세와 결혼했고, 1863년 프레데리크 7세가 사망하며 덴마크 왕가의 올덴부르크가가 단절되자 덴마크 왕위를 계승했다. (크리스티안 9세)
1863년 크리스티안 9세의 둘째 아들 빌헬름은 쿠데타로 폐위된 오톤 1세를 대신해 그리스 국왕으로 추대되었다. (게오르기오스 1세)
1905년 스웨덴과의 동군 연합이 해소되고 노르웨이가 독립하면서, 스웨덴 베르나도트가가 노르웨이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자 크리스티안 9세의 손자 칼이 노르웨이 국왕으로 추대되어 호콘 7세로 즉위했다.
4. 가명 표기
각 언어별 표기는 다음과 같다.언어 표기 독일어de Glücksburgde 덴마크어da Lyksborgda 그리스어el Γκλύξμπουργκel 노르웨이어no Glycksborgno 영어영어 Glucksburg영어
5. 계승
필리프의 조카인 베크 공작 아우구스트 필리프가 현재까지 이어지는 신 글뤽스부르크가의 직계 조상[10]이다.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9세, 노르웨이의 호콘 7세, 그리스의 게오르기오스 1세 등이 글뤽스부르크 왕가 출신이다.
5. 1.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 공작 작위는 글뤽스부르크 가문의 본가에서 계승하고 있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부터 글뤽스부르크를 가명에 추가하였다.[10]
이름 | 재위 기간 |
---|---|
프리드리히 빌헬름 | 1825년-1831년 |
카를 | 1831년-1878년 |
프리드리히 | 1878년-1885년 |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 1885년-1934년 |
빌헬름 프리드리히 | 1934년-1965년 |
페터 | 1965년-1980년 |
크리스토프 | 1980년-2023년 |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 2023년-현재 |
5. 2. 덴마크 국왕
1863년 크리스티안 9세가 즉위한 이래 글뤽스부르크 가문에서 덴마크 왕위를 계승하고 있다.- 크리스티안 9세 (1863년-1906년): 글뤽스부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빌헬름의 넷째 아들.[4]
- 프레데리크 8세 (1906년-1912년)
- 크리스티안 10세 (1912년-1947년)
- 프레데리크 9세 (1947년-1972년)
- 마르그레테 2세 (1972년-2024년)
- 프레데리크 10세 (2024년-현재)
5. 3. 노르웨이 국왕
1905년 호콘 7세가 즉위한 이래 글뤽스부르크 가문에서 노르웨이 왕위를 계승하고 있다.[11]참조
[1]
서적
The Thirty Years War: Europe's Traged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
[2]
웹인용
The Royal Family name
https://www.royal.uk[...]
2024-01-25
[3]
뉴스
Prince Philip beats the record for longest-serving consort
http://news.scotsman[...]
2009-04-18
[4]
간행물
L'Allemagne Dynastique
Laballery
1994
[5]
서적
Burke's Royal Families of the World
1977
[6]
웹사이트
1863년 동전 정보
https://en.numista.c[...]
1863
[7]
서적
Gothaisches Genealogisches Handbuch der Fürstlchen Häuser, Band I
Verlag des Deutschen Adelsarchivs
2015
[8]
웹사이트
Kongelige olympiere
https://www.kongehus[...]
[9]
웹사이트
The Royal Family name
https://www.royal.uk[...]
2024-01-25
[10]
문서
아우구스트・필립의 형 아우구스텐부르크 공
[11]
문서
카를 15세의 동생 오스카 2세까지는 스웨덴 왕 겸 노르웨이 왕이었으나, 노르웨이 왕위를 형의 외손자에게 넘겨줌으로서 동군연합이 깨지게 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