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스 왕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 왕국은 1832년부터 1924년, 그리고 1935년부터 1973년까지 존속했던 입헌 군주국이다. 바이에른 왕가의 오톤 1세의 통치에 대한 불만으로 1843년 헌법 제정을 요구하는 군사 정변이 일어났고, 1844년 헌법을 통해 입헌 군주제가 시작되었다. 덴마크 왕가인 글뤽스부르크 왕가의 요르요스 1세는 50년간 재위하며 영토 확장과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1913년 암살당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콘스탄티노스 1세와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의 대립으로 국가 분열을 겪었고, 소아시아 원정 실패로 1922년 군주제가 폐지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 이탈리아, 불가리아에 점령당했고, 이후 그리스 내전을 거치며 큰 혼란을 겪었다. 1967년 군사 정권이 수립되어 시민의 자유가 억압되었고, 1973년 국민투표를 통해 왕정이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역사 - 8월 4일 체제
    8월 4일 체제는 1936년 이오아니스 메탁사스가 그리스에서 계엄령을 선포하고 헌법을 정지시켜 수립한 권위주의 정권으로, 정치적 혼란과 공산주의 확대를 배경으로 독재 체제를 구축하고 사회를 통제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붕괴되었다.
  • 그리스의 역사 - 발칸 동맹
    발칸 동맹은 1912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 그리스가 결성한 군사 동맹으로, 복잡한 국제 정세와 각국의 이해관계 충돌, 오스만 제국의 약화가 배경이었으나, 영토 야망과 불신으로 제2차 발칸 전쟁을 초래하며 붕괴되어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발칸반도의 옛 나라 -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는 17세기 후반 남슬라브인 왕국 건설을 목표로 시작하여, 유고슬라비아 왕국, 공산주의 정권 수립 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 변화하였으나, 199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거쳐 구성 공화국들의 독립으로 붕괴되었다.
  • 발칸반도의 옛 나라 - 루마니아 왕국
    루마니아 왕국은 왈라키아 공국과 몰다비아 공국의 통합으로 성립된 루마니아 공국이 왕국으로 승격된 국가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토를 확장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격변기를 겪고, 전후 소련의 영향력 아래 군주제가 폐지되며 멸망했다.
  • 유엔 - 유엔 개발 계획
    유엔 개발 계획(UNDP)은 저개발국의 경제, 사회 발전을 지원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 달성을 위해 노력하는 유엔 산하의 국제 개발 기구이다.
  • 유엔 - 남아프리카 연방
    남아프리카 연방은 보어 전쟁 이후 네덜란드계와 영국계의 화합을 위해 건국되었으며, 영국 군주를 국가 원수로 하는 자치령이었으나 1934년 주권 국가가 되었고, 행정 수도 프리토리아, 입법 수도 케이프타운, 사법 수도 블룸폰테인으로 구성되었으며, 1961년 국민투표를 통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
그리스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냉전 시대의 그리스 왕국
냉전 시대의 그리스 왕국
그리스-터키 전쟁 중의 그리스 왕국
그리스-터키 전쟁 중의 그리스 왕국
기본 정보
국명그리스 왕국
현지 국명
Vasíleion tis Elládos
로마자 표기Vasilion tis Ellados
시대근대
정치 체제단일 국가 절대 군주제 (1832–1844)
단일 국가 의회 입헌군주제 (1844–1924; 1935–1941; 1944–1973)
메탁사스 왕정 독재 (1936–1941)
군사 정권 (1967–1973)
존속 기간1832–1924
1935–1973
건국 사건왕국 설립
건국일1832년 8월 30일
헌법 제정헌법 부여
헌법 제정일1843년 9월 3일
오토 왕 퇴위오토 축출
오토 왕 퇴위일1862년 10월 23일
구디 쿠데타구디 쿠데타
구디 쿠데타일1909년 8월 28일
발칸 전쟁발칸 전쟁
발칸 전쟁 기간1912–1913
국가 분열국가 분열
국가 분열 기간1915–1917
소아시아 원정소아시아 원정
소아시아 원정 기간1919–1922
제2공화국제2공화국
제2공화국 기간1924–1935
메탁사스 체제메탁사스 체제
메탁사스 체제 기간1936–1941
추축국 점령추축국 점령
추축국 점령 기간1941–1944
그리스 내전그리스 내전
그리스 내전 기간1943–1949
유엔 가입유엔 가입
유엔 가입일1945년 10월 25일
붕괴 사건군사 정권
붕괴일1967년 4월 21일
붕괴 후 사건공화국 선포
붕괴 후 사건일1973년 6월 1일
이전 국가제1공화국 (1832)
이오니아 제도 (1864)
사모스 공국 (1912)
이카리아 자유국
크레타국 (1913)
북부 에피루스 (1914)
제2공화국 (1935)
그리스국 (1944)
이탈리아령 에게해 제도 (1947)
이후 국가제2공화국 (1924)
그리스국 (1941)
임시 민주 정부 (1947)
그리스 군사 정권 (1973)
그리스 국기
국기 (1863–1973)
그리스 왕실 문장
국장 (1936–1973)
수도나프플리오(1832–1834)
아테네(1834–1973)
국가 모토Ἐλευθερία ἢ Θάνατος
"자유 또는 죽음"
국가Ὕμνος εἰς τὴν Ἐλευθερίαν
"자유를 향한 찬가"
왕실 찬가Heil unserm König, Heil! (1832–1862)
"우리의 왕, 만세!"
최대 도시아테네
공용어그리스어
종교그리스 정교회 (공식)
통화그리스 드라크마 (₯)
지도자 칭호국왕
첫 번째 군주오토
마지막 군주콘스탄티노스 2세
첫 번째 군주 재위 기간1832–1862
마지막 군주 재위 기간1964–1973
총리 칭호총리
첫 번째 총리스피리돈 트리쿠피스
마지막 총리게오르기오스 파파도풀로스
첫 번째 총리 재임 기간1833
마지막 총리 재임 기간1967–1973
입법부없음 (칙령 통치) (1832–1844)
의회 (1843–1924; 1935–1941; 1944–1973)
상원원로원 (1844–1864)
하원대의원 (1844–1863)
현재 국가
주석1973년 6월 1일, 그리스 군사 정권은 일방적으로 군주제를 폐지하고 1973년 7월 29일에 조작된 국민 투표를 실시했다. 이 결정은 1974년에 비준되었다.
주석카타레부사는 문학 및 공식 목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일상 언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은 현대 그리스어의 보수적인 형태이다.
면적 및 인구
면적47,516km² (1838년)
173,779km² (1920년)
131,990km² (1971년)
인구752,077명 (1838년)
8,768,372명 (1973년)
기타 정보
주석추축국 점령기(1941–1944) 동안 그리스국 협력 정권은 이집트에 있는 국제적으로 인정된 그리스 망명 정부에 반대했다.
주석콘스탄티노스 2세 왕과 왕족은 12월 13일 반대 운동 이후 이탈리아로 도피했다. 4월 21일 정권은 1973년 6월 1일에 군주제를 폐지했다.
주석하지만 공식적으로 폐지된 것은 1973년에 실시된 국민투표에 의해서이다.

2. 비텔스바흐 왕가

1821년부터 그리스인들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봉기하였고, 1829년까지 독립 투쟁을 하였다. 1828년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백작의 과도 정부가 있었으나, 1831년 그가 암살당하면서 그리스는 내전 상태에 빠졌다. 이 때 영국, 프랑스, 러시아 제국 등 열강이 간섭하여 그리스에 왕국을 세우기로 결정하였다. 1832년 런던 회의 (1832년)에서 열강은 비텔스바흐 왕가의 바이에른 공 오톤을 그리스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세웠다.[4]

나프플리오에 도착한 국왕을 맞이하는 군중


오톤은 1832년 즉위 당시 17세의 미성년자였기 때문에 1835년까지 섭정 회의가 그의 이름으로 나라를 다스렸다. 섭정 회의는 요제프 루트비히 폰 아르만스페르크 백작, 법률가 게오르크 루트비히 폰 마우러, 군인 카를 구스타프 하이데크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강력한 중앙 집권 체제를 구축하고자 하였다.[49][50]

섭정 회의는 그리스성(관방국)을 설립하고, 지방 행정 구역을 10개의 현(노말히아), 군(에팔히아), 시정촌(디모스)으로 나누는 등 서구식 조직 체계를 도입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존에 도시들이 가지고 있던 자치권은 폐지되었고, 그리스의 관습과 전통은 무시되었다.[50] 사법 제도 역시 비잔티움 제국의 법제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서구식 제도를 도입하여 아레오파고스 법원, 1심 법원, 군사 법원, 항소원, 파기원 등을 설치하였다.[54]

교육 분야에서는 프랑스독일의 제도를 본따 공교육 제도를 마련하고, 아테네 대학교를 최초의 국립대학으로 설립하였다. 그리스 정교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동의 없이 독립된 교회로 규정되었고, 6개 미만의 수도원은 폐지되었다.[59][61]

1835년 오톤은 친정을 시작하면서 바이에른 사람을 고문으로 선택하여 국가 평의회 의장으로 임명하였다. 그러나 정치의 모든 영역에서 그리스인들은 배제되었고, 바이에른인에 의한 독점적인 지배는 계속되어 그리스인들의 불만이 쌓여갔다.

2. 1. 9월 3일 혁명

1843년 오톤 국왕과 "바이에른인의 지배"에 대한 불만이 극에 달하여 그리스인들은 헌법 제정을 요구하기 시작하였다. 오톤이 처음에는 헌법 승인을 거부하였으나, 독일군이 왕국에서 철수하자마자 군사 정변이 일어났다. 1843년 9월 3일 디미트리오스 칼레르이스 대령과 독립 투사 요안니스 마크리얀니스가 이끄는 보병대가 아테네의 궁궐 앞 광장에 집결하였다. 반란군은 왕이 헌법을 승인할 때까지 해산하지 않겠다고 하였고, 국가 평의회에 그리스인을 포함시키고 상설 국회를 소집하며, 오톤이 직접 반란 지도자들을 용서할 것을 요구하였다. 오톤은 군대의 압력에 굴복하여 대중의 요구를 들어주었다.[75][76][77]

궁전에 도착한 카렐기스, 창문에는 오톤 1세와 왕비 아말리아.


이러한 혁명에는 여러 원인이 있었다.

  • 바이에른인 섭정 등에 의한 그리스 통치에 대한 그리스인들의 불만과 독립 전쟁을 치른 군인들은 자신의 지위를 빼앗겼다고 생각하며 불만을 품었다.[76]
  • 그리스가 파산 상태였기 때문에 세금도 가혹했고, 군사비 지출에 대한 과도한 부담과 열강으로부터의 차관 이자 지불에 재정이 소모되어 여론의 불만이 높았다.[76]
  • 영국은 당시 지배하고 있던 이오니아 제도에서 자유주의적 개혁을 실시했고, 이오니아 의회 하원에서는 그리스에 대의제를 도입하는 것을 논의했는데, 이는 그리스의 헌법주의자들을 자극했다.[74]
  • 1840년에 시작된 유럽 경제 불황의 여파를 받은 그리스 정부는 파산을 선언[78]하고, 열강 3국에 신용 대출을 요청했지만, 열강은 그리스의 모든 자산을 빚으로 상환하도록 결정했다.


결국, 오톤 1세는 헌법 제정을 위해 국민 의회를 소집하였고(이 국민 의회에는 당시 오스만 제국 영토였던 테살리아, 에피루스, 마케도니아의 의원들도 참가했다.[79]). 국민 의회는 영국과 프랑스의 조언과 권고를 받아 영국파인 마브로코르다토스와 프랑스파인 코레티스가 주도권을 잡았다. 영국과 프랑스 양국이 동의했던 국왕의 거부권과 장관 임명권이 인정되었고, 기조가 주장했던 왕이 임명하는 종신 의원으로 구성된 상원 설립이 논의되었다.[79] 반년에 걸친 논의 끝에 1844년 3월 헌법이 공포되었다.[79][80]

헌법은 시민 평등, 개인의 자유, 출판의 자유, 단체의 권리를 보장하였고, 세금 납부 제한이 있었지만 남성에게는 실질적인 보통 선거권이 인정되었다 (여성에게 선거권이 인정된 것은 1952년[76]). 그러나 입법권, 장관 임명권, 사법권은 왕에게 귀속되었고, 선거로 선출되는 하원(부울리, βουλη)뿐만 아니라 왕이 임명하는 상원(게루시아, γερυσια)의 양원제로 규정되었기 때문에, 왕에게 권한이 크게 집중된 극히 보수적인 것이었다.[76][82]

헌법 제정 후, 그리스인이 총리 자리에 오르게 되었지만, 역대 총리인 포에나리오티스의 마브로코르다토스, 발라키아 출신의 코레티스, 알바니아인 쿤두리오티스 등은 명목상의 그리스인에 불과했다. 그리고 그들 대부분은 헌법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고, 마브로코르다토스는 헌법 제정 후 첫 총리였지만 헌법을 위반하는 행위로 인해 사임당했다.[83] 또한 요아니스 코레티스가 총리에 취임했을 때에도 헌법을 중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톤 1세는 헌법을 따르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84]

'''헌법 만세'''(ζήτω το σύνταγμαel)는 헌법 제정 후, 만세 대신 여러 해 동안 국민들이 외쳤지만 그 의미를 깊이 알지는 못했다.[81]

3. 글뤽스부르크 왕가

그리스 왕국의 국왕기. 그리스 국기와 비슷하나, 국왕기에는 세밀한 왕관 문양과 테두리선이 있다.


그리스 왕국의 해군기


1862년 오톤이 폐위된 후, 덴마크의 빌헬름 공이 요르요스 1세로 즉위하여 글뤽스부르크 왕가가 시작되었다. 요르요스 1세의 뒤를 이은 콘스탄티노스 1세는 친독일파로 여겨져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중립을 지키려 했으나, 연합국은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를 지원하여 그리스는 국론 분열을 겪었다. 콘스탄티노스 1세는 아들 알렉산드로스 1세에게 양위하고 퇴위했으나, 알렉산드로스 1세는 원숭이에 물려 사망하여 콘스탄티노스 1세가 복위하였다. 그리스-터키 전쟁 (1919년~1922년)에서 그리스가 패배하면서 콘스탄티노스 1세는 다시 폐위되어 망명 중 사망하였다.

콘스탄티노스 1세의 뒤를 이어 장남 요르요스 2세가 즉위하였으나, 1924년 그리스 제2공화국이 선포되면서 나라를 떠났다. 1935년 요르요스 콘딜리스의 군사 정변으로 공화제가 폐지되고, 국민 투표로 왕정 복고가 승인되었다. 요르요스 2세는 귀국하여 메탁사스의 독재 정권을 지지하였다. 1941년 독일의 침략으로 정부와 함께 이집트로 망명하였으나, 1946년에 귀환하여 1947년 사망할 때까지 재위하였다.

요르요스 2세의 뒤를 이어 동생 파블로스 1세가 1947년부터 1964년까지 재위하였다. 아들 콘스탄티노스 2세가 왕위를 이었으나, 1967년 그리스 군사 정권에 대항하는 쿠데타가 실패한 뒤 망명하였다. 군사 정권은 1973년 국민 투표로 군주정을 폐지하였고, 요르요스 파파도풀로스그리스의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군사 정권 종식 후에도 콘스탄티노스 2세는 복위되지 못하였고, 1974년 국민 투표에서 그리스인 69%가 군주정 폐지에 찬성하였다.

3. 1. 요르요스 1세 시대

덴마크의 빌헬름 공이 입헌 군주로 선출되어 요르요스 1세로 즉위하였다. 이는 1862년 오톤이 폐위된 후의 일이었다. 요르요스 1세는 50년간 재위하면서 그리스의 영토를 확장하고(즉위 직후 영국이 이오니아 제도를 할양), 경제 발전을 이루었다. 또한, 왕실과 관계없이 선거에서 가장 많은 표를 얻은 정당의 지도자가 정부 수반이 된다는 원칙이 확립되었다. 그러나 요르요스 1세는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제1차 발칸 전쟁에서 승리하여 병합한 테살로니키에서 1913년에 암살되었다.[5]

3. 2. 콘스탄티노스 1세와 제1차 세계 대전

요르요스 1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콘스탄티노스 1세는 직접 군대를 이끌어 그리스의 영토를 확장하는데 기여했다. 그는 독일에서 교육을 받았고, 독일 황제의 딸 소피아와 결혼했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콘스탄티노스 1세는 친독일적인 성향을 가진 것으로 여겨졌으며, 삼국 협상을 지지하던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총리와 갈등을 빚었다.[6]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콘스탄티노스 1세는 그리스가 중립을 지켜야 한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했다. 반면 연합국은 베니젤로스를 지지했고, 이로 인해 그리스는 국론 분열의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아테네테살로니키에는 각각 다른 정부가 수립되는 혼란스러운 상황이 벌어졌다. 결국 그리스는 삼국 협상에 가담하게 되었고, 콘스탄티노스 1세는 1917년에 왕위에서 물러나야 했다. 그의 아들 알렉산드로스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6]

그리스는 전쟁에서 승리한 국가들 편에 선 덕분에 스미르나를 포함한 소아시아 지역의 영토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1920년 알렉산드로스 1세가 원숭이에 물려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아버지 콘스탄티노스 1세가 다시 왕위에 복귀했다. 하지만 그리스-터키 전쟁 (1919년~1922년)에서 그리스가 패배하면서 콘스탄티노스 1세는 다시 폐위되었고, 시칠리아에서 망명 생활을 하던 중 생을 마감했다.[6]

3. 3. 그리스-터키 전쟁과 왕정의 폐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를 지지하는 연합군과 삼국 협상에 우호적인 아테네와, 중립을 주장하는 콘스탄티노스 1세를 지지하는 테살로니키에 각각 정부가 수립되는 국론 분열 시대를 겪었다. 이후 그리스는 삼국 협상에 가입했고, 콘스탄티노스 1세는 1917년 퇴위당했으며, 그의 아들 알렉산드로스 1세가 즉위하였다. 그리스는 승전국 대열에 합류하여 스미르나를 비롯한 소아시아 영토를 획득했다.[8] 그러나 1920년 알렉산드로스 1세가 원숭이에 물려 사망하면서, 아버지 콘스탄티노스 1세가 복위하였다.[8] 그리스-터키 전쟁 (1919년~1922년)에서 그리스가 패배하면서 콘스탄티노스 1세는 다시 폐위되어 시칠리아로 망명,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8]

콘스탄티노스 1세의 뒤를 이어 장남 요르요스 2세가 즉위했으나, 1924년 그리스 제2공화국이 선포되면서 국외로 추방되었다.[8] 1935년 요르요스 콘딜리스의 군사 정변으로 공화정이 폐지되고, 국민 투표를 통해 왕정 복고가 승인되었다.[8] 요르요스 2세는 귀국하여 메탁사스의 독재 정권을 적극 지지하였다.[8]

4. 제2차 세계 대전과 그리스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그리스는 추축국의 침공을 받아 점령되었다. 이 시기 그리스에서는 저항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1941년 그리스는 독일의 침략을 받아 요르요스 2세와 정부는 이집트로 망명하였다.[76]

전쟁 이후, 그리스 내전이 발발했다. 내전은 1946년부터 1949년까지 이어졌으며, 왕당파와 공산주의자 간의 갈등이 주요 원인이었다. 내전은 그리스 사회에 큰 상처를 남겼으며, 수많은 인명 피해와 경제적 파탄을 초래했다. 요르요스 2세는 1946년에 그리스로 귀환하였으며, 1947년에 사망하였다.[76]

5. 전후 그리스와 군사 정권

마셜 플랜 자금 지원으로 건설된 새로운 주택 앞 도로를 정비하는 노동자들


그리스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다른 서유럽 국가들보다 훨씬 큰 피해를 입었다. 강력한 저항 운동은 민간인에 대한 독일의 대규모 보복으로 이어졌고, 식량 수입 의존, 영국의 해상 봉쇄, 독일로의 농산물 이전 등으로 기근이 발생했다. 전쟁 중 그리스 인구는 7% 감소했으며, 초인플레이션을 겪었다. 1943년 물가는 1940년 대비 34,864% 상승했고, 1944년에는 163,910,000,000%나 상승했다. 이는 경제 역사상 5번째로 심각한 초인플레이션이었다.[39]

1944년부터 1950년까지 이어진 그리스 내전은 경제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1950년 그리스 경제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고, 1인당 GDP는 1,951달러로 포르투갈, 폴란드, 멕시코 등보다 낮았다. 그러나 이후 50년 동안 그리스는 빠른 경제 성장을 이루어 1인당 GDP가 30,603달러에 달했다. 1950년부터 1973년까지 그리스의 평균 성장률은 7%로, 같은 기간 일본 다음으로 높았다. 1950년 1인당 GDP 세계 28위였던 그리스는 1970년에 20위로 상승했다.

요르요스 2세는 1935년 요르요스 콘딜리스의 군사 정변 이후 국민 투표를 통해 왕정 복고로 귀환하여 메탁사스의 독재 정권을 지지했다. 1941년 독일의 침략으로 정부와 함께 이집트로 망명했다가 1946년에 귀환하여 1947년 사망할 때까지 재위했다. 그 뒤를 이어 파블로스 1세가 1964년까지 재위했고, 콘스탄티노스 2세가 즉위했으나, 1967년 군사 정권에 반대하는 쿠데타가 실패한 뒤 망명하였다.

5. 1. 군사 정권 (1967-1974)

1967년 12월, 콘스탄티노스 2세는 그리스 군사 정권에 대항하는 역쿠데타를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망명길에 올랐다.[102] 군사 정권은 국왕을 대신하여 섭정을 임명했고, 1973년에는 신중하게 조작된 국민 투표를 통해 군주제를 폐지했다.[102] 1973년 6월 1일, 요르요스 파파도풀로스그리스의 대통령으로 취임했다.[102]

군사 정권이 사실상 종식된 후에도 콘스탄티노스 2세는 복위되지 못했다.[102] 1974년 왕정 복고를 묻는 국민 투표가 시행되었는데, 그리스 국민의 69%가 군주정 폐지에 찬성하는 결과가 나왔다.[102]

6. 역대 국왕

이름초상화재위 기간
오토 (Otto)
1833년 2월 6일 – 1862년 10월 23일
게오르기오스 1세 (George I)
1863년 3월 30일 – 1913년 3월 18일
콘스탄티노스 1세
1913년 3월 18일 – 1917년 6월 11일
알렉산드로스 (Alexander)
132x132px
1917년 6월 11일 – 1920년 10월 25일
콘스탄티노스 1세
1920년 12월 19일 – 1922년 9월 27일
게오르기오스 2세
137x137px
1922년 9월 27일 – 1924년 3월 25일
그리스 제2공화국
게오르기오스 2세1935년 11월 3일 – 1947년 4월 1일
파울로스 (Paul)
1947년 4월 1일 – 1964년 3월 6일
콘스탄티노스 2세 (Constantine II)
1964년 3월 6일 – 1973년 6월 1일
그리스 제3공화국


7. 문화

그리스 문화는 수천 년에 걸쳐 발전해 왔으며, 미노스 문명미케네 문명에서 시작하여 고대 그리스 시대를 거쳐 로마 제국비잔티움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400년 가까이 튀르크의 지배를 받으며 큰 영향을 받았지만, 그리스 독립 전쟁을 통해 근대 그리스 국가의 정체성을 확립했다.

7. 1. 시각 예술

현대 그리스 미술은 낭만주의 시대를 전후하여 발전하기 시작했다. 그리스 예술가들은 유럽의 동료 예술가들로부터 많은 요소들을 흡수하여 혁명적인 이상과 국가의 지리 및 역사에서 영감을 받은 독특한 그리스 낭만주의 미술 양식을 완성했다. 19세기 그리스 회화에서 가장 중요한 미술 운동은 아카데미즘 사실주의 (19세기 그리스 아카데미즘 미술)였는데, 많은 그리스 예술가들이 수학한 왕립 뮌헨 미술 아카데미(Münchner Akademie der Bildenden Künste|뮌헨 미술 아카데미de)의 강력한 영향 때문에 "뮌헨 학파"라고 불리기도 했다.[42] 뮌헨 학파는 여러 국가의 서유럽 아카데믹 화가들과 같은 종류의 장면을 같은 종류의 스타일로 그렸으며, 비잔틴 양식 요소를 작품에 통합하려고 시도하지 않았다. 그리스에서 낭만주의 미술이 창작된 것은 주로 최근 해방된 그리스(1830년)와 오토 왕 시대의 바이에른 사이에 형성된 특수한 관계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새로운 그리스 왕국의 주목할 만한 조각가로는 레오니다스 드로시스(주요 작품이 아테네 아카데미의 광범위한 신고전주의 건축 장식), 라자로스 소코스, 게오르기오스 비탈리스, 디미트리오스 필리포티스, 이오아니스 코소스, 야눌리스 할레파스, 게오르기오스 보나노스, 라자로스 피탈리스가 있다.

7. 2. 연극

현대 그리스 연극은 그리스 독립 전쟁 이후 19세기 초에 탄생했으며, 초기에는 이오니아 제도 연극, 멜로드라마, 이탈리아 오페라 등의 영향을 받았다. 코르푸의 산 지아코모 노빌레 극장은 현대 그리스 최초의 극장이자 오페라 하우스였으며, 최초의 그리스 오페라인 스피리돈 크신다스의 ''의원 후보''(그리스어 대본에 기반)가 공연된 곳이었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아테네 연극계는 리뷰, 뮤지컬 코미디, 오페레타, 야상곡이 주류를 이루었고, 스피리돈 사마라스, 디오니시오스 라브랑가스, 테오프라스토스 사켈라리디스 등이 주목할 만한 극작가였다.

그리스 국립극장은 1880년에 설립되었다. 현대 그리스 연극의 주목할 만한 극작가로는 그레고리오스 크세노풀로스, 니코스 카잔차키스, 판텔리스 혼, 알레코스 사켈라리오스, 이아코보스 캄바넬리스 등이 있으며, 주목할 만한 배우로는 키벨레 안드리아누, 마리카 코토풀리, 아이밀리오스 베아키스, 오레스티스 마크리스, 카티나 팍시누, 마노스 카트라키스, 디미트리스 혼 등이 있다. 디미트리스 론티리스, 알렉시스 미노티스, 카롤로스 쿤 등은 중요한 연출가로 손꼽힌다.

아테네에 있는 그리스 국립극장 (구 왕립극장)


테살로니키의 왕립극장 (''Vasiliko Theatro'')

7. 3. 영화

영화는 1896년 하계 올림픽에서 그리스에 처음 등장했지만, 최초의 실제 영화관은 1907년에 문을 열었다. 1914년에는 '아스티 필름 컴퍼니(Asty Films Company)'가 설립되고 장편 영화 제작이 시작되었다. 잘 알려진 전통적인 러브 스토리인 ''골포(Γκόλφω)''는 최초의 그리스 장편 영화이지만, 그 이전에도 뉴스 보도와 같은 몇몇 소규모 제작물이 있었다. 1931년 오레스티스 라스코스(Orestis Laskos)가 감독한 ''다프니스와 클로에(Δάφνις και Χλόη)''는 유럽 영화 역사상 최초의 누드 장면을 담고 있으며, 해외에서 상영된 최초의 그리스 영화이기도 하다. 1944년 카티나 팍시누(Katina Paxinou)는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로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1950년대와 1960년대 초는 많은 사람들에게 그리스 영화의 황금기로 여겨진다. 이 시대의 감독과 배우들은 그리스에서 중요한 역사적 인물로 인정받았고, 일부는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마이클 카코야니스(Michael Cacoyannis), 알레코스 사켈라리오스(Alekos Sakellarios), 멜리나 메르쿠리(Melina Mercouri), 니코스 치포로스(Nikos Tsiforos), 이아코보스 캄바넬리스(Iakovos Kambanelis), 카티나 팍시누(Katina Paxinou), 니코스 쿤두로스(Nikos Koundouros), 엘리 람베티(Ellie Lambeti), 이레네 파파스(Irene Papas) 등이 있다. 일 년에 60편 이상의 영화가 제작되었으며, 대부분이 필름 누아르 요소를 가지고 있었다.

주목할 만한 영화로는 조르조스 자벨라스(Giorgos Tzavellas)가 감독한 ''Η κάλπικη λίρα''(1955), 그리고리스 그리조리우(Grigoris Grigoriou)가 감독한 ''Πικρό Ψωμί''(1951), 니코스 쿤두로스(Nikos Koundouros)가 감독한 ''드라코스(O Drakos)''(1956), 카코야니스가 감독하고 캄파넬리스가 각본을 쓴 ''스텔라''(1955)가 있다. 카코야니스는 또한 안소니 퀸과 함께 ''그리스인 조르바''를 감독했으며, 이 영화는 감독상, 각색상, 작품상 후보에 올랐다. 피노스 필름(Finos Film) 또한 ''Λατέρνα, Φτώχεια και Φιλότιμο'', ''Η Θεία από το Σικάγο'', ''Το ξύλο βγήκε από τον Παράδεισο'' 등 많은 영화를 통해 이 시대에 기여했다.

8. 왕실

버려진 타토이 궁전


전 왕족 대부분은 해외에 거주하고 있다. 콘스탄티노스 2세와 그의 아내 안네마리 여왕 그리고 미혼 자녀들은 2013년 그리스로 돌아와 영구 거주할 때까지 런던에 거주했다.[43] 남계혈통으로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9세의 후손인 이 왕가 구성원들은 "덴마크의 왕자 또는 공주" 칭호를 가지고 있으며, 이 কারণে 그들은 전통적으로 그리스와 덴마크의 왕자 또는 공주로 불린다.[43]

참조

[1] 서적 Monument Culture: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he Future of Monuments in a Changing World Rowman & Littlefield
[2] 서적 World and Its Peoples Marshall Cavendish
[3] 서적 The war of Greek independence, 1821 to 1833 https://archive.org/[...] London : Smith, Elder
[4] 웹사이트 Kingdoms of Greece – Kingdom of Greece https://www.historyf[...]
[5] 서적 A Concise History of Gree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Christianity in a Revolutionary Age, II: The Nineteenth Century in Europe: The Protestant and Eastern Churches
[7] 서적 Christianity in a Revolutionary Age
[8] 간행물 Relations between the state and the private sphere: speculation and corruption in nineteenth-century Greece 1
[9] 서적 Circular of the Synod of the Greek Orthodox Church
[10] 간행물 Crete and Macedonia Between National Ideals and Geopolitics (1878–1913)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Greece and Albania, 1908–1914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Balkan Studies
[14] 서적 Epirus, 4000 years of Greek history an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Ekdotike Athenon
[15] 서적 Albania's captives https://books.google[...] Argonaut
[16] 서적 Flight and Flying: A Chronology Facts On File, Inc.
[17] 서적 Greek Naval Strategy and Policy 1910–1919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Defeat in Detail: The Ottoman Army in the Balkans, 1912–1913 Greenwood Publishing Group
[21] 서적
[22] 서적 Greek Naval Strategy and Policy 1910–1919
[23] 서적 The Ottoman Steam Navy, 1828–1923 Conway Maritime Press
[24] 서적 The Balkan Wars, 1912–1913: Prelude to the First World War Routledge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웹사이트 History: Balkan Wars https://web.archive.[...] Hellenic Air Force 2010-05-03
[36] 서적 Air Warfare: an International Encyclopedia: A-L https://books.google[...] ABC-CLIO
[37] 웹사이트 Europe :: Albania –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2022-08-30
[38] 서적 The Economic History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Columbia University Press
[39] 서적 The Greek Economy in the Twentieth Century St. Martin's Press
[40] 간행물 Greece in the European Union: policy lessons from two decades of membership
[41] 웹사이트 Welcome to the CIA Web Site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42] 웹사이트 Bank of Greece – Events http://www.bankofgre[...]
[43] 서적 Genealogisches Handbuch des Adels, Fürstliche Häuser XV C.A. Starke Verlag
[44]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45]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46] 서적 バルカン
[47]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48] 서적 近代ギリシャ史
[49] 서적 ギリシア史
[50]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51]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52] 서적 バルカン
[53] 서적 ギリシア史
[54]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55]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56] 서적 ギリシア史
[57] 서적 バルカン
[58]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59] 서적 バルカン
[60] 서적 近代ギリシャ史
[61]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62] 서적 バルカン
[63]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64] 서적 ギリシア史
[65] 서적 近代ギリシャ史
[66]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67]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68]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69] 서적 ギリシア史
[70] 서적 近代ギリシャ史
[71]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72] 서적 近代ギリシャ史
[73] 서적 近代ギリシャ史
[74] 서적 近代ギリシャ史
[75] 서적 ギリシア史
[76]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77]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78] 서적 バルカン
[79] 서적 バルカン
[80]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81] 서적 近代ギリシャ史
[82]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83] 서적 近代ギリシャ史
[84]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85]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86] 서적 ギリシア史
[87]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88]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89]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90] 서적 近代ギリシャ史
[91] 서적 ギリシア史
[92] 서적 近代ギリシャ史
[93]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94] 서적 近代ギリシャ史
[95] 서적 近代ギリシャ史
[96]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97] 서적 近代ギリシャ史
[98]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99]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100] 서적 近代ギリシア史
[101] 서적 バルカン
[102] 서적 ギリシア史
[103] 서적 ギリシア史
[104] 서적 ギリシア史
[105] 서적 ギリシア史
[106]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07]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08]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09]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10]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11]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12]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13]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14]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15]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16]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17]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18]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19]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20]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21]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22]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23] 뉴스 独軍がアテエ入城、ギリシャ軍捕虜三十万 東京日日新聞 1941-04-25
[124] 뉴스 ギリシャ軍も独・伊に降伏 朝日新聞 1941-04-24
[125]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26] 서적 クロッグ(ギリシャの歴史)
[127] 서적 クロッグ(ギリシャの歴史)
[128]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29]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30] 서적 クロッグ(ギリシャの歴史)
[131] 서적 クロッグ(ギリシャの歴史)
[132] 서적 クロッグ(ギリシャの歴史)
[133]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34] 서적 クロッグ(ギリシャの歴史)
[135] 서적 クロッグ(ギリシャの歴史)
[136] 서적 クロッグ(ギリシャの歴史)
[137] 서적 クロッグ(ギリシャの歴史)
[138] 서적 クロッグ(ギリシャの歴史)
[139]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40] 서적 桜井(ギリシア史)
[141]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2004
[142]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2004
[143] 서적 ギリシア史 2005
[144] 서적 ギリシア史 2005
[145]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2004
[146]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2004
[147] 서적 ギリシア史 2005
[148] 서적 ギリシャの歴史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