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단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단도 사건은 1891년 내몽골에서 발생한 반란으로, 한족 이민자들의 증가와 자원 갈등, 비밀 결사 등의 배경 속에서 일어났다. 반군은 몽골 지역을 공격하여 몽골인을 학살하고 사원을 파괴했으며, "청을 멸하고 몽골인을 살해하자"는 구호를 외쳤다. 청나라는 이홍장을 파견하여 반란을 진압했으나, 이 과정에서 한족 주민들도 피해를 입었다. 이 사건은 몽골 민족주의를 강화시켰으며, 몽골 측에서는 몽골-중국 간 민족 분쟁으로, 중국 학계에서는 농민 봉기로 평가하는 등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안 - 톈진 교안
톈진 교안은 1870년 톈진에서 종교적 갈등, 유아 실종 소문, 프랑스 영사의 과격한 대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대규모 폭력 사태로, 반외세 감정 고조와 의화단 운동의 배경이 되었다.
금단도 | |
---|---|
사건 개요 | |
대상 | 몽골족 |
날짜 | 1891년 11월 ~ 12월 말 |
유형 | 집단 학살 반란 |
사망자 | 150,000 ~ 500,000명 |
가해자 | 금단도 |
동기 | 반몽골주의 한족 중심주의 |
2. 배경
해당 지역은 만주 청나라 시대 내몽골의 조수투와 주우 우다 맹이었다. 이 지역은 몽골 땅의 남쪽 끝에 위치하여 대규모 한족 이민을 맞이했다. 초기 이민자들은 수가 적어 몽골 사회에 빠르게 동화되었지만, 이후 허베이성 북부에서 온 한족 농민들이 대거 정착하면서 토착 몽골족보다 수가 많아졌다. 대규모 농업화로 인해 몽골족은 유목 생활을 지속할 수 없게 되었다. 몽골족은 농업 농민이 되었고, 한족의 토지 소유 제도를 채택했다.[4]
1891년 11월, 반군은 아우한 기의 관청을 공격하면서 반란을 시작했다. 반군은 주우 우다 맹의 맹주를 겸임하고 있던 기의 자사그(수장)인 다그친 공을 살해하고 그의 조상 묘소를 훼손했다. 이후 남쪽으로 진격하여 옹니우드 기와 카라친 좌익 기로 진격했으며, 조수투 맹의 투메드 우익 기 내 조양 현을 점령했다. 반군은 몽골 공동체를 섬멸하면서 인접한 투메드 기와 두 개의 카라친 기로 이동했다.[2] 이들은 "청을 멸하고 호(오랑캐)를 쓸어버리자"()와 "몽골인을 복수 살해하자"()와 같은 반몽골적이고 반왕조적인 슬로건을 사용했다.[4]
반군은 수만 명의 몽골인을 살해하고 많은 티베트 불교 사원을 불태웠으며, 몽골 공동체를 파괴했다. 황실은 민족 간의 긴장을 완화하려 했지만, 몽골인과 한족 모두에게 구호금을 지급하고 추가 보복을 금지하는 데 그쳤다. 베이징은 중국 현(縣) 당국이 몽골 귀족을 대신하여 한족 소작인으로부터 세금을 징수하도록 결정했다. 또한 몽골-한족 갈등을 중국 당국의 관할 하에 두기로 결정했는데, 이는 몽골 깃발의 권력을 더욱 약화시켰다.[4]
몽골 측은 이 사건을 몽골족과 중국인 사이의 민족 분쟁으로 간주한다.[11] 보르지긴 부렌사인(Borjigin Burensain)은 몽골 사회에 미친 영향을 고려하여 이 사건이 현대 몽골 역사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라고 생각한 반면, 중국 정부는 아편 전쟁이 현대 중국 역사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라고 본다.[12] 양하이잉은 이 사건을 문화 대혁명 기간에 중국에 의한 훨씬 더 광범위한 몽골족 박해의 서곡으로 보았다.[13]
[1]
서적
Thomas Cochrane and the Dragon Throne: Confronting disease, distrust and murderous rebellion in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2018-11-15
내몽골 내에 많은 수의 한족이 존재하면서 복잡한 행정 체계가 생겨났다. 한족은 몽골 땅 안에 앙클레이브 형태로 설치된 한족 현과 현의 관할을 받게 되었다.[5] 몽골 기는 명목상 토지 소유권을 유지했으며, 한족 정착민에 대한 다양한 권리를 두고 끊임없이 싸웠다. 청나라가 점차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능력을 잃어가면서, 한족은 소수 몽골족의 통치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한족 소작인들은 토지세 납부를 지연하거나 거부했으며, 몽골 당국의 토지 측량을 무력으로 방해했다.[4] 토착 인구와 이민 인구 사이의 또 다른 주요 갈등은 천연자원 접근과 관련되었다. 몽골족은 주로 종교적인 이유로 몽골 땅에서 한족이 목재를 베는 것을 엄격히 금지했다. 위반자는 기 영주에 의해 사법 절차 없이 처벌받았으며, 현 및 현 관리들도 이를 묵인했다.[6] 이는 한족의 몽골족에 대한 적대감을 부추겼다.[2] 또한, 새로 도착한 한족 이민자들은 몽골족에게 자주 괴롭힘을 당했는데, "거만한 자들은 3~5명으로 떼를 지어 칼을 들고 한족 가구에 들이닥쳐 술, 고기, 돈을 요구하고, 여자와 남자를 폭행하고, 가축을 강탈하여 텅 비게 만들었다".[7]
금단도(金丹道)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홍건적(Улаан малгайтанmn)으로도 알려진 금단도는 비밀 결사였으며, 이전에 여러 차례 중국 본토에서 반란을 일으킨 백련교의 분파로 여겨졌다. 또 다른 관련 종파는 재리교였는데, 이는 화북에서 유행한 종교 종파였으며, 백련교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8]
3. 반란
이에 맞서 리훙장 직례 총독은 예즈차오 직례 육군총사를 파견하여 반군을 진압했다. 직례군은 만리장성을 넘어 남쪽과 남서쪽에서 진격했다. 동쪽 전선에서는 봉천에서 파견된 군대가 포위 작전에 참여했다. 전신으로 통신하고, 철도로 병력을 수송하고, 현대식 화기로 무장한 근대화된 군대는 12월에 반군을 신속하게 격파했다.[8] 반군 지도자 양웨춘은 톈진에서 처형되었다.
현지 한족 주민들 또한 청군과 복수심에 불타는 몽골 부족의 연합군에 의해 고통을 받았다.[9] 예즈차오는 몽골 기병대가 무고한 중국인을 살해했다고 베이징의 황실 조정에 보고하며 반군 편을 들었는데, 이는 카라친 우익 기의 자사그인 왕두드남질 공이 상세한 보고서에서 이의를 제기했다.[4][9]
4. 몽골인 학살
20세기 전반에 걸쳐 민족적 긴장은 높은 수준을 유지되었다. 중화민국 시대의 한족 군벌에 의해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1930년대 몽골 지도자들은 만주국에 한족 이주의 흐름을 막고 되돌릴 것을 압박했다. 1945년 만주국의 붕괴 이후, 몽골인들은 권력 공백이 중국군 대신 몽골 인민 공화국과 소련 군대에 의해 채워지면서 다소 안도감을 느꼈다.[2]
10만 명 이상의 몽골 난민이 흥안령 산맥 남쪽의 목초지로 북쪽으로 도망쳤다. 이로 인해 20세기 초 제림과 주우 우다 맹(Juu Uda Leagues)의 급속한 농업화가 이루어졌다.[4]
한족의 학살은 몽골 민족주의와 독립, 자치, 자기 결정 운동을 강화했다. 카라친 우익 기의 왕자 방두드남질(Vangdudnamjil)의 뒤를 이은 궁상노르부(Gungsangnorbu) 왕자는 불과 몇 년 후 몽골 교육과 군사 훈련의 현대화를 시작했다.[2] 카이산은 이후 몽골 독립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당시 카라친 우익 기에서 일하면서 이 소란에 연루되었다.[10] 학살의 영향은 내몽골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1911년 7월, 곧 몽골의 국가 원수가 된 할하(외몽골)의 복드 게겐은 몽골 독립에 대한 지원을 요청하는 러시아 황제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사건을 언급했다.[4]
5. 해석
당시 서방 자료는 이 지역의 기독교 박해에만 관심을 가졌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사건을 '''열하교안'''(熱河敎案)이라고 부를 수 있다. 사상자 수는 170명[11]에서 1200명[8]으로 크게 다르다. 보르지긴 부렌사인은 기독교인이 반란의 주요 표적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금단도 선언에는 서방 종교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었고, 몽골족을 반대하는 슬로건으로 가득했다.[4]
중국학자들의 관심은 관련된 비밀 결사들의 특성, 특히 이전의 백련교 반란 및 이후의 의화단 운동과의 관계에 있었다.[8] 보르지긴 부렌사인은 사용된 역사적 자료에 중국적 편견이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학자들은 중국군 보고서와 기독교 박해에 대한 서방 기록이 포함된 공식 기록 보관소만을 조사했다. 이판원에 보관된 몽골 기의 보고서는 의화단 운동 중에 분실된 것으로 추정된다.[14]
중화인민공화국의 공식 간행물은 이 학살을 "제국주의"와 "봉건주의"에 맞선 "농민 봉기"로 평가했다.[15] "반외세, 반제국주의 봉기"로서 그들은 기독교인에 대한 공격을 강조하는 반면, 몽골족 왕족, 라마승, 만주족 관료들은 타도해야 할 봉건 지배자로 취급한다. 공산주의자들은 의도적으로 봉기의 평가에서 민족 분쟁 측면을 은폐했다. 보르지긴 부렌사인은 권위 있는 《몽골족 간사》(蒙古族簡史|멍구쭈젠스중국어, 1986)에서 금단도 슬로건 "청을 평정하고 ''몽골족''을 쓸어버리자"(平清掃'''胡'''|핑칭싸오'''후'''중국어)를 "청을 평정하고 ''서양인''을 멸망시키자"(平清掃'''洋'''|핑칭싸오'''양'''중국어)로, "복수를 위해 몽골족을 죽이자"(仇殺蒙古|처우샤멍구중국어)를 "복수를 위해 몽골족 ''귀족''을 죽이자"(仇殺蒙古'''王公'''|처우샤멍구'''왕궁'''중국어)로 변경한 점을 지적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몽골족은 이러한 평가를 몽골족 학살을 정당화하는 것으로 본다. 1990년대에 푸신 몽골족 자치현 (구 투메드 좌기)의 몽골족은 금단도 사건을 미화하는 신문에 항의했다.[4]
참조
[2]
간행물
The Chin-tan-tao Movement -- A Chinese Revolt in Mongolia (1891)
1977
[3]
문서
Inner Mongolian People's Party
[4]
간행물
The Complex Structure of Ethnic Conflict in the Frontier: Through the Debates around the ‘Jindandao Incident’ in 1891
2004
[5]
문서
州县官
[6]
서적
朝阳县志
朝阳县印刷厂
1930
[7]
인용구
[8]
간행물
The Revolt of the Zaili, Jindan Sect in Rehe (Jehol), 1891
https://www.jstor.or[...]
1980
[9]
간행물
1891 年热河金丹道起义中的蒙, 汉民族冲突
2005
[10]
간행물
Kingendai Harachin Tomedo ni okeru chiiki rieki shūdan no keisei
2009
[11]
간행물
1891年热河金丹道起义中的蒙、汉民族冲突 (Han-Mongolian Nationality Conflict in Jindandao Uprising in Rehe in 1891)
2005
[12]
간행물
Harachin Tomedo imin to kingendai Mongoru shakai
2007
[13]
간행물
中華民族"概念的再創造和蒙古民族史的再改寫 (Remaking Zhonghua Minzu and Rewriting Mongolia History)
http://hdl.handle.ne[...]
2011
[14]
간행물
Imin shakai no keisei to chiiki tōgō
2003
[15]
간행물
略论朝阳金丹道起义的反帝倾向 (A Brief Comment on the Anti-imperialistic Inclination of Chaoyang Rebellion of Jindandao)
2006
[16]
URL
https://books.google[...]
[17]
간행물
The Chin-tan-tao Movement -- A Chinese Revolt in Mongolia (1891)
1977
[18]
문서
Inner Mongolian People's Par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