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새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름새속(Spodiopogon)은 벼과에 속하는 식물 속의 하나이다. 이 속에는 기름새, 큰기름새를 포함하여 여러 종이 있으며, 과거에는 기름새속에 속했으나 현재는 다른 속으로 분류되는 종들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사탕수수아족 - 억새속
억새속은 벼과에 속하며 전 세계적으로 14종이 존재하고 동아시아와 남아프리카에 주로 분포하며, 참억새와 자이언트 미스캔서스 등이 대표적인 종이다. - 개사탕수수아족 - 참억새
참억새는 1~2m 높이의 다년생 초본식물로, 잎이 가늘고 길며 여름부터 가을에 붉은색 꽃 이삭을 맺고 흰 털이 있는 종자로 인해 하얗게 보이며, 관상용 재배와 바이오 경제 작물 잠재력, 토양 유기 탄소 격리 기여 등으로 주목받는 식물이다. - 1820년 기재된 식물 - 종려과
종려과는 단일 줄기에 손바닥 모양 또는 깃털 모양의 잎이 나선형으로 배열된 열대 및 아열대 식물로, 건축 자재, 식용, 관상용 등으로 이용되며 야자목을 구성한다. - 1820년 기재된 식물 - 고추나무과
고추나무과는 고추나무속, 달림플레아속, 투르피니아속 등을 포함하며 고추나무, 미역줄나무, 누리장나무 등이 속하는 식물 분류군으로, 과거에는 후에르테아속과 타피스키아속도 속했으나 현재는 타피스키아과로 분류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기름새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속 정보 | |
학명 | Spodiopogon |
명명자 | Trin. |
모식종 | 큰기름새(S. sibiricus Trin.) |
이명 | Eccoilopus Steud. |
분류 | |
계 | 식물계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외떡잎식물군 |
미분류 목 | 닭의장풀군 |
목 | 벼목 |
과 | 벼과 |
아과 | 포아풀아과 |
족 | 나도솔새족 |
아족 | 개사탕수수아족 |
하위 종 | |
종 | 본문 참조 |
2. 하위 종
기름새속(''Spodiopogon'')에는 다음 종들이 포함된다.[1][8]
- 기름새 (''S. cotulifer'')
- 큰기름새 (''S. sibiricus'')
- ''S. bambusoides''
- ''S. depauperatus''
- ''S. dubius''
- ''S. duclouxii''
- ''S. formosanus''
- ''S. jainii''
- ''S. lacei''
- ''S. pogonanthus''
- ''S. rhizophorus''
- ''S. sagittifolius''
- ''S. tainanensis''
- ''S. velutinus''
- ''S. yuexiensis''
2. 1. 주요 종
종 | 분포 지역 |
---|---|
기름새 | 카슈미르, 아삼 주, 메갈라야 주, 나갈랜드 주, 중국 (타이완 포함), 한국, 일본 (류큐 열도 포함) |
큰기름새 | 러시아 (아무르, 프리모르예, 하바롭스크, 이르쿠츠크, 자바이칼, 부랴티야), 중국 (안후이 성, 간쑤 성, 광둥 성, 구이저우 성, 하이난 성, 허베이 성, 헤이룽장 성, 허난 성, 후베이 성, 후난 성, 장쑤 성, 장시 성, 지린 성, 랴오닝 성, 내몽골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 산시 성, 산시 성, 산둥 성, 쓰촨 성, 저장 성), 한국, 일본, 몽골 |
Spodiopogon bambusoides | 광시 성, 구이저우 성 |
Spodiopogon depauperatus | 일본 |
Spodiopogon dubius | 티베트, 네팔, 우타라칸드 주 |
Spodiopogon duclouxii | 쓰촨 성, 윈난 성 |
Spodiopogon formosanus | 타이완 |
Spodiopogon jainii | 인도, 미얀마 |
Spodiopogon lacei | 부탄, 아삼 주, 미얀마, 태국 |
Spodiopogon pogonanthus | 이란, 이라크, 터키, 시리아, 레바논, 팔레스타인(팔레스타인), 이스라엘 |
Spodiopogon rhizophorus | 마하라슈트라 주, 타밀나두 주 |
Spodiopogon sagittifolius | 윈난 성 |
Spodiopogon tainanensis | 간쑤 성, 장쑤 성, 쓰촨 성, 타이완, 티베트, 윈난 성 |
Spodiopogon velutinus | 말레이시아 반도 |
Spodiopogon yuexiensis | 쓰촨 성 |
과거 학명 | 현재 학명 |
---|---|
Spodiopogon angustifolius | Eulaliopsis binata |
Spodiopogon arcuatus | Ischaemum polystachyum |
Spodiopogon aureus | Ischaemum aureus |
Spodiopogon beccarii | Saccharum beccarii |
Spodiopogon binatus | Eulaliopsis binata |
Spodiopogon blumii | Ischaemum timorense |
Spodiopogon byronis | Ischaemum byrone |
Spodiopogon chordatus | Ischaemum polystachyum |
Spodiopogon ciliaris | Arthraxon hispidus |
Spodiopogon conjugatus | Ischaemum semisagittatum |
Spodiopogon cuspidatus | Ischaemum timorense |
Spodiopogon foliatus | Saccharum giganteum |
Spodiopogon geniculatus | Ischaemum barbatum |
Spodiopogon hildebrandtii | Saccharum hildebrandtii |
Spodiopogon inaequalivalvis | Ischaemum ciliare |
Spodiopogon involutus | Eulaliopsis binata |
Spodiopogon ischaemoides | Ischaemum minus |
Spodiopogon laniger | Eulaliopsis binata |
Spodiopogon latifolius | Ischaemum latifolium |
Spodiopogon lehmannii | Microstegium petiolare |
Spodiopogon notopogon | Eulaliopsis binata |
Spodiopogon obliquivalvis | Ischaemum ciliare |
Spodiopogon petiolaris | Microstegium petiolare |
Spodiopogon pilosus | Ischaemum afrum |
Spodiopogon rivalis | Ischaemum polystachyum |
Spodiopogon scrobiculatus | Ischaemum ciliare |
Spodiopogon semisagittatus | Ischaemum polystachyum |
Spodiopogon vaginatus | Saccharum giganteum |
Spodiopogon velutinus | Saccharum velutinum |
Spodiopogon villosus | Ischaemum ciliare |
Spodiopogon zeylanicus | Ischaemum ciliare |
2. 2. 기타 종
Spodiopogon영어속에는 다음 종들이 포함된다.[1][8]학명 | 분포 지역 |
---|---|
Spodiopogon aristatus | 구자라트주[9] |
Spodiopogon bambusoides | 광시 성, 구이저우 성 |
Spodiopogon cotulifer | 카슈미르, 아삼 주, 메갈라야 주, 나갈랜드 주, 중국 (타이완 포함), 한국, 일본 (류큐 열도 포함) |
Spodiopogon depauperatus | 일본 |
Spodiopogon dubius | 티베트, 네팔, 우타라칸드 주 |
Spodiopogon duclouxii | 쓰촨 성, 윈난 성 |
Spodiopogon formosanus | 타이완 |
Spodiopogon jainii | 인도, 미얀마 |
Spodiopogon lacei | 부탄, 아삼 주, 미얀마, 태국 |
Spodiopogon pogonanthus | 이란, 이라크, 터키, 시리아, 레바논, 팔레스타인(팔레스타인), 이스라엘 |
Spodiopogon rhizophorus | 마하라슈트라 주, 타밀나두 주 |
Spodiopogon sagittifolius | 윈난 성 |
Spodiopogon sibiricus | 러시아 (아무르, 프리모르예, 하바롭스크, 이르쿠츠크, 자바이칼, 부랴티야), 중국 (안후이 성, 간쑤 성, 광둥 성, 구이저우 성, 하이난 성, 허베이 성, 헤이룽장 성, 허난 성, 후베이 성, 후난 성, 장쑤 성, 장시 성, 지린 성, 랴오닝 성, 내몽골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 산시 성, 산시 성, 산둥 성, 쓰촨 성, 저장 성), 한국, 일본, 몽골 |
Spodiopogon tainanensis | 간쑤 성, 장쑤 성, 쓰촨 성, 타이완, 티베트, 윈난 성 |
Spodiopogon velutinus | 말레이시아 반도 |
Spodiopogon yuexiensis | 쓰촨 성 |
과거에 Spodiopogon영어속으로 분류되었던 종들은 다음과 같다.[1]
과거 학명 | 현재 학명 |
---|---|
Spodiopogon angustifolius | Eulaliopsis binata |
Spodiopogon arcuatus | Ischaemum polystachyum |
Spodiopogon aureus | Ischaemum aureus |
Spodiopogon beccarii | Saccharum beccarii |
Spodiopogon binatus | Eulaliopsis binata |
Spodiopogon blumii | Ischaemum timorense |
Spodiopogon byronis | Ischaemum byrone |
Spodiopogon chordatus | Ischaemum polystachyum |
Spodiopogon ciliaris | Arthraxon hispidus |
Spodiopogon conjugatus | Ischaemum semisagittatum |
Spodiopogon cuspidatus | Ischaemum timorense |
Spodiopogon foliatus | Saccharum giganteum |
Spodiopogon geniculatus | Ischaemum barbatum |
Spodiopogon hildebrandtii | Saccharum hildebrandtii |
Spodiopogon inaequalivalvis | Ischaemum ciliare |
Spodiopogon involutus | Eulaliopsis binata |
Spodiopogon ischaemoides | Ischaemum minus |
Spodiopogon laniger | Eulaliopsis binata |
Spodiopogon latifolius | Ischaemum latifolium |
Spodiopogon lehmannii | Microstegium petiolare |
Spodiopogon notopogon | Eulaliopsis binata |
Spodiopogon obliquivalvis | Ischaemum ciliare |
Spodiopogon petiolaris | Microstegium petiolare |
Spodiopogon pilosus | Ischaemum afrum |
Spodiopogon rivalis | Ischaemum polystachyum |
Spodiopogon scrobiculatus | Ischaemum ciliare |
Spodiopogon semisagittatus | Ischaemum polystachyum |
Spodiopogon vaginatus | Saccharum giganteum |
Spodiopogon velutinus | Saccharum velutinum |
Spodiopogon villosus | Ischaemum ciliare |
Spodiopogon zeylanicus | Ischaemum ciliare |
3. 과거에 속했던 종
참조
[1]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2]
서적
Fundamenta Agrostographiae
1820
[3]
웹사이트
Tropicos, Spodiopogon Trin.
http://www.tropicos.[...]
[4]
웹사이트
Grassbase - The World Online Grass Flora
http://www.kew.org/d[...]
[5]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ol. 22 Page 573 大油芒属 da you mang shu Spodiopogon Trinius, Fund. Agrost. 192. 1820
http://www.efloras.o[...]
[6]
웹사이트
Flora of Pakistan, Spodiopogon Trin
http://www.efloras.o[...]
[7]
서적
Encyclopedia of Global Archaeology
Springer New York
[8]
웹사이트
The Plant List search for Spodiopogon
http://www.theplantl[...]
[9]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http://www.ipni.org/[...]
[10]
서적
Fundamenta Agrostographiae
1820
[11]
저널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