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은 한반도에 위치한 국가로, 고구려의 이름을 계승하여 고려로 불리다가 조선을 거쳐 대한제국으로 국호를 변경했다. 현재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분단되어 있다. 한국은 다양한 지형과 온대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어와 한글을 사용한다. 오랜 역사와 문화를 통해 유교, 불교, 전통 음악, 음식 등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최근에는 K-POP, 드라마, 영화 등 한류를 통해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남북 관계는 대립과 협력을 반복하며, 2018년에는 판문점 선언을 통해 갈등 종식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사회주의 국가이며,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세습 체제를 유지하고 주체사상에 기반한 일당 독재 체제를 운영하며, 대한민국과는 분단 상태이고 군사적 긴장이 지속되고 있다. - 한국어권 -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국가로, 삼국시대를 계승하여 1897년 대한제국 선포 이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으로 국호가 확정되었으며, 약 5천만 명의 인구와 약 10만 km²의 면적으로 대통령 중심의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다. - 한국어권 - 옌볜 조선족 자치주
옌볜 조선족 자치주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에 위치하며, 역사적으로 고구려와 발해의 영역이었고, 조선인들이 이주하여 정착한 곳으로, 1955년 자치주로 변경되었으며, 백두산 등 자연경관과 항일 독립운동 유적, 옌볜 대학 등의 교육 시설을 갖추고, 중국어와 한국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경제적으로 목재 생산과 국경 무역이 활발하고, 한국과의 교류가 증가하며, 옌지 차오양촨 국제공항을 통해 국제선이 운항되고, 중국 축구에서도 중요한 지역이다. - 동아시아의 나라 - 중화민국
중화민국은 1912년 신해혁명을 통해 수립되었으며, 현재는 타이완 섬과 부속 도서를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하나의 중국" 원칙 하에 독자적인 민주주의 체제를 유지하며, 국제적으로는 "중화 타이베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 동아시아의 나라 - 일본
일본은 동아시아의 섬나라로, 약 3만 8천 년의 역사를 거쳐 입헌군주제 국가로 발전했으며, 과학 기술과 문화를 발전시키고 주변국과 관계를 맺고 있다.
한국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한국 |
한국어 표기 | 한국 조선 |
로마자 표기 | Hanguk (한국) Joseon (조선) |
언어 | 한국어 |
공식 문자 | 한글 조선글 |
민족 | 한민족 |
수도 | 서울 (대한민국) 평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최대 도시 | 서울 |
면적 | 223,172 km² |
인구 추정 | 77,000,000 명 (2017년) |
인구 밀도 | 349.06 명/km² |
통화 | 원 (남/북)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및 평양 시간 |
UTC 오프셋 | +09:00 |
자동차 주행 방향 | 오른쪽 |
전화 코드 | +82 (대한민국) +85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 .kr (대한민국) .kp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정치 및 정부 | |
정부 형태 |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 분쟁 중' |
정치 링크 | 남북 관계 |
입법부 | 국회 (대한민국) 최고인민회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대한민국 대통령 | 윤석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 지도자 | 김정은 |
대한민국 국무총리 | 한덕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총리 | 김덕훈 |
역사 | |
고조선 | 기원전 2333년 (신화) |
위만조선 | 기원전 194년 |
삼국시대 | 기원전 57년 |
남북국시대 | 668년 |
고려 | 918년 |
조선 | 1392년 7월 17일 |
대한제국 | 1897년 10월 12일 |
한일 병합 조약 | 1910년 8월 29일 |
한국 독립 선언 | 1919년 3월 1일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 1919년 4월 11일 |
일본 항복 및 한반도 분단 | 1945년 9월 2일 |
대한민국 수립 | 1948년 8월 15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 1948년 9월 9일 |
한국 전쟁 | 1950년 6월 25일 – 1953년 7월 27일 |
남북한 유엔 가입 | 1991년 9월 17일 |
기타 | |
국가 | 한반도 |
국기 | 한반도기 대한민국 국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 |
국가 | 애국가 (대한민국) 애국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 명칭
"Korea"는 1614년 이전 영어 문헌에서도 확인되는 "Corea"의 현대적인 표기로, 고려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3][4][5]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로, 5세기부터 공식적으로 고려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0] 마르코 폴로의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는 "Cauli"로 표기되었는데, 이는 중국어 高麗중국어 (MC: ''Kawlej'',[7] 현대 ''Gāolì'')의 음역이다.[6] 19세기 말 병자호란 이후 영국과 미국의 무역이 확대되면서 "Korea"라는 표기가 점차 인기를 얻게 되었다.[3]
현재 한국이라는 이름은 영어권에서 남북한 모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남한에서는 한국 전체를 (한국)이라고 부른다. '한'은 삼국 시대를 가리키는 ''삼한''에서 유래했다.[11][12]
북한에서는 한국 전체를 (조선)이라고 부른다. 은 朝鮮한국어이라는 한자의 현대 한국어 발음이다. 조선(朝鮮)이라는 명칭은 사마천의 사기(史記)에 기자(箕子)에 관한 내용에서 기원전부터 존재했다고 하나, 이는 주로 이씨조선(李氏朝鮮) 시대에 널리 퍼졌다.[218]
일본어를 포함한 한자 문화권에서는 이 지역을 부르는 명칭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대한민국(한국)에서는 “대한”, “한” 또는 “한국”이라고 불리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에서는 “조선”이라고 불린다. 한국에서는 “조선민족”이나 “조선반도”라는 호칭 대신 “한민족”, “한반도”가 사용된다. 이러한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 “코리아”, 드물게 “고려”라고 불리기도 한다.
2. 1. '한' (韓)과 '대한'
'''한'''(韓)은 삼한에서 유래되었지만, 원삼국 시대의 고대 부족연맹 국가가 아니라 삼국시대의 세 국가를 가리킨다.[245] '한'의 정확한 의미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크다' 또는 '중앙'을 뜻하는 고유어로 해석하거나,[246] 몽골어족이나 튀르크어족에서 왕을 나타내는 칸과 관련이 있다는 설이 유력하다.1897년 조선이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바꾸면서 '대한국', '대한', '한국' 등의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고종실록》에는 고종 황제가 "우리 나라는 곧 삼한의 땅인데, 국초에 천명을 받고 하나의 나라로 통합"되었으므로 '대한'으로 국호를 고쳐 쓰라는 어명이 기록되어 있다.[247]
1919년 3·1 운동 이후 상해에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대한민국'을 국호로 결정했다. 1948년 제헌 헌법 제정으로 대한민국이 정식 국호로 선포되면서, '한국'은 한반도의 한민족 국가를 지칭하는 말로 자리 잡았다.[249]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에서 파생된 '남한'과 '북한'이라는 표현도 사용되며, 이는 각각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약칭이다. 중화민국과 홍콩 등의 광둥어권 지역에서도 이 표현을 사용한다.
2. 2. '조선'
고조선에서 유래한 '조선'은 1392년 태조 이성계가 건국한 조선의 국호로 471년간 사용되었다.[250] 1910년 한일병합 이후 조선총독부는 대한제국 대신 '조선'이라는 명칭을 사용했고, 이는 해방 이후 군정기에도 남북 모두에서 지역명으로 사용되었다.1947년 북조선인민위원회는 '조선'에 '민주주의'와 '인민공화국'을 더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국호로 채택했다.[250] 북한은 이를 고조선이나 조선을 계승한 것이 아닌 '새조선'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25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 왕조를 '리씨조선' 또는 '리조'로, 대한민국을 '남조선'으로 칭한다.[251] 반면 대한민국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북한'으로 칭한다.
중국어와 일본어권에서는 한국을 '조선'(朝鮮)으로 칭하며, 한민족은 '조선민족', 한반도는 '조선반도', 한국어는 '조선어' 등으로 부른다. 일본에서는 조선을 이씨조선으로 칭하여 지역명으로서의 조선과 구분한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영향으로 남한을 '한국'으로, 민족과 언어도 '한국인', '한국어'로 칭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2. 3. 명칭 사용의 다양성
"Korea"라는 명칭은 1614년 이전 영어 문헌에서도 확인되는 "Corea"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고대 왕국 고려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3][4][5] 고려의 이름은 고구려를 계승한 것으로, 5세기부터 공식적으로 고려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0] 19세기 말 병자호란 이후 "Korea"라는 표기가 점차 인기를 얻게 되었다.[3]남한에서는 한국 전체를 (한국)이라고 부른다. 이 명칭은 삼국 시대를 가리키는 ''삼한''에서 유래했다.[11][12]
북한에서는 한국 전체를 (조선)이라고 부른다. 은 朝鮮한국어이라는 한자의 현대 한국어 발음이며, 일본(), 중국(), 베트남(Triều Tiênvi)에서 한국을 가리키는 단어의 기초가 되었다. 조선(朝鮮)이라는 명칭은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에 기자(箕子)에 관한 내용에서 기원전부터 존재했다고 하나, 이는 주로 이씨조선(李氏朝鮮) 시대에 널리 퍼졌다.[218]
일본어를 포함한 한자 문화권에서는 이 지역을 부르는 명칭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대한민국(한국)에서는 “대한”(テハン) 또는 “한”(ハン) 또는 “한국”(ハングク)이라고 불리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에서는 “조선”(チョソン)이라고 불린다. 한국에서는 “조선민족”이나 “조선반도”라는 호칭 대신 “한민족”, “한반도”가 사용된다. 이러한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 “코리아”, 드물게 “고려”(コリョ)라고 불리기도 한다.
3. 역사
한국의 역사는 구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어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를 거쳤다. 고조선은 기원전 2333년에 건국되었으며, 기원전 108년에 한사군이 설치되었다. 이후 삼국 시대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가 발전했으며, 신라는 668년 삼국을 통일했다. 통일 신라와 발해가 공존한 남북국 시대를 거쳐, 918년 왕건이 고려를 건국했다. 고려는 불교 문화를 발전시켰으나, 거란과 몽골의 침입을 받았다.
1392년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고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았다. 세종대왕 시대에는 훈민정음이 창제되는 등 문화가 발전했으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며 시련을 겪었다. 조선은 1897년 대한제국으로 국호를 변경했으나, 1910년 일본에 강제 병합되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3.1 운동 등 독립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1945년 광복 이후 한반도는 38선을 경계로 미군정과 소군정의 통치를 받았다. 1948년에는 남한과 북한에 각각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여 한반도는 큰 피해를 입었으며, 1953년 정전 협정 체결 이후 현재까지 분단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1945년 광복 당시 한반도는 13개 도로 나뉘어 있었다.
1946년 8월 1일 미군정 법률에 의해 제주도가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었고, 같은 해 9월 28일 대한민국은 서울을 '''서울특별자유시'''로 승격하였다. 1949년 8월 15일 일본식 행정구역명을 한국식으로 바꾸고 특별자유시를 특별시로 변경하였다. 1963년 1월 1일 부산을 '''부산직할시'''로, 1981년 7월 1일 인천을 '''인천직할시''', 대구와 주변 지역을 합쳐 '''대구직할시'''를 설치하였다. 1986년 11월 1일 광주를 '''광주직할시'''로, 1989년 1월 1일 대전과 주변 지역을 합쳐 '''대전직할시'''를 설치하였다. 1995년 1월 1일 직할시를 광역시로 개칭하였고, 1997년 7월 15일 울산을 '''울산광역시'''로 승격하였다. 2003년 8월 30일 충청북도 괴산군 증평출장소를 '''증평군'''으로, 9월 19일 충청남도 논산시 두마면을 '''계룡시'''로 설치하였다. 2006년 7월 1일 제주도를 '''제주특별자치도'''로, 2010년 7월 1일 창원, 마산, 진해를 합쳐 '''통합창원시'''로 개편하였다. 2012년 7월 1일 연기군, 공주시 일부, 청원군 부용면을 합쳐 세종특별자치시를 설치하고, '''부용면'''을 '''부강면'''으로 개칭했다. 2014년 7월 1일 청주와 청원군을 합쳐 '''통합청주시'''로 개편하였다. 2023년 6월 14일 '''강원도'''를 '''강원특별자치도'''로, 2024년 1월 18일 '''전라북도'''를 '''전북특별자치도'''로 개편하였다.
1946년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평양을 평안남도에서 분리하고 강원도를 신설하였다. 1949년 1월 31일 '''자강도'''를 신설하고, 1952년 12월 22일 면(面)을 없애고 로동자구를 설치하였다. 1954년 10월 30일 '''량강도'''를 신설하고 황해도를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하였다. 1957년 개성을 직할시로 승격하고, 1960년 10월 12일 함흥과 청진을 직할시로 승격하였다. 1977년 11월 무산군과 경성군을 청진으로 편입하고 직할시로 승격하였다. 1993년 9월 라진과 선봉군을 통합해 라진선봉시(직할시)로 승격하고, 2000년 8월 라진선봉시(직할시)를 라선시(직할시)로 개칭하였다. 2002년 9월 신의주를 중앙직속인 신의주특별행정구로, 10월 강원도 금강산 일대와 통천군 일대를 합해 금강산관광지구로, 11월 개성과 판문군 일부를 개성공업지구로 지정하였다. 2003년 6월 개성시(직할시)를 폐지하고 '''개성시(특급시)'''를 신설하고, 2004년 1월 남포시(직할시)와 라선시(직할시)를 폐지하고 '''남포시(특급시)'''와 '''라선시(특급시)'''를 신설하였다. 2019년 10월 28일 개성(특급시)를 개성(특별시)로 설치하였다.
2018년 판문점 선언을 통해 남북한은 관계 개선과 평화 정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3. 1. 선사 시대
한반도에는 구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기원전 70만 년 전부터 기원전 8000년까지 지속되었다.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8000년부터 기원전 1500년까지였으며, 이 시기에는 빗살무늬토기 문화(Comb-pattern pottery culture영어)라고도 불리는 즐문토기 시대가 있었다.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1500년부터 기원전 300년까지로, 무문토기 시대와 요녕식 동검 문화가 이 시기에 해당한다.한국학계는 한국의 석성 유적지 용암에서 기원전 10만 년경의 고대 인류 화석을 발견했다고 주장한다. 형광 및 고자기 분석 결과 이 화산 화석은 기원전 300,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도 있다.[13] 가장 잘 보존된 한국의 도자기는 기원전 1만 년경의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3. 2. 고대 국가
한국 전설에 따르면, 하늘의 후손인 단군이 기원전 2333년에 고조선을 건국했다. 기원전 108년, 한나라가 고조선을 정복하고 한반도 북부에 한사군을 설치했다. 그중 세 군은 수십 년 안에 몰락하거나 서쪽으로 후퇴했지만, 낙랑군은 4세기에 걸쳐 중국 역대 왕조와 문화 및 경제 교류의 중심지로 남았다. 313년 고구려가 모든 한사군을 병합했다.고대 삼국 시대(Proto–Three Kingdoms period), 때로는 다수 국가 시대(Multiple States Period)라고도 불리는 이 시기는 고조선 멸망 이후, 고구려, 백제, 신라가 완전히 왕국으로 발전하기 이전의, 일반적으로 삼국 시대(Three Kingdoms Period)라고 불리는 시기의 초기 부분이다.
이 시대에는 고조선의 옛 영토(북한과 남쪽 만주(Manchuria)를 포함)에서 수많은 국가가 생겨났다. 고조선이 멸망하면서 남한은 삼한 시대에 들어섰다.
한국 남부에 위치한 삼한은 마한, 진한, 변한의 세 연맹을 가리킨다. 마한이 가장 크며 54개의 국가로 구성되었다. 변한과 진한은 각각 12개의 국가로 구성되어 삼한 내에 총 78개의 국가가 있었다. 이 세 연맹은 결국 백제, 신라, 가야로 발전하였다.
3. 3. 삼국 시대와 통일 신라

한국 삼국 시대는 고구려, 백제, 신라로 구성되었다. 신라와 백제는 한반도 남부를 지배하며 이전 삼한의 영토를 유지했고, 고구려는 한반도 북부, 만주, 요동 반도를 지배하며 이전 고조선 영토의 부여, 옥저, 동예 등 여러 국가들을 통합했다.[16]
고구려는 매우 군사적인 국가[17][18]이자 동아시아의 거대 제국[19][20][21][22]이었으며, 5세기에 전성기를 맞아 만주 대부분을 북쪽으로, 내몽골 일부를 서쪽으로,[23] 러시아 일부를 동쪽으로,[24] 서울 지역을 남쪽으로 확장했다.[25] 광개토대왕과 그의 아들 장수왕[26][27][28][29] 치세에 황금기를 맞이했는데, 두 왕 모두 백제와 신라를 정복하여 잠시 한국 삼국 시대를 통일하고 한반도에서 가장 강력한 세력이 되었다.[30][31] 한반도 지배권을 놓고 다투는 것 외에도 고구려는 여러 중국 왕조와 많은 군사적 갈등을 겪었는데,[32] 특히 고구려-수 전쟁에서 고구려는 10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진 거대한 수나라 군대를 물리쳤다.[33][34][35][36][37] 642년, 연개소문이 쿠데타를 일으켜 고구려를 완전히 장악했다. 이에 중국 당 태종은 고구려 원정을 벌였으나, 안시 전투에서 패배하여 군대를 철수했다.[38][39] 당 태종 사후 그의 아들 당 고종은 신라와 동맹을 맺고 다시 고구려를 침략했지만 662년에 철수해야 했다.[40][41] 666년 연개소문이 사망하자 고구려는 아들들과 동생 사이의 계승 다툼으로 혼란에 빠졌고, 장남은 당나라로, 동생은 신라로 망명했다.[42][43] 당나라와 신라 연합군은 668년에 고구려를 정복했다. 이후 당나라와 신라는 동맹을 깨고 한반도 지배권을 두고 싸웠다. 신라는 한반도 대부분을 장악했고, 당나라는 고구려의 북쪽 영토를 장악했다. 그러나 고구려 멸망 30년 후 대조영이 발해를 건국하여 고구려 옛 영토 대부분에서 당나라의 영향력을 축출했다.
백제는 온조왕(고구려 동명왕의 아들)[44][45][46]에 의해 현재의 서울 부근에 건국되었다. 백제는 마한을 흡수하고 한반도 서부 대부분(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황해도, 강원도 일부)을 중앙 집권 정부 아래에 복속시켰다. 백제는 남조와의 해상 교류를 통해 중국 문화와 기술을 받아들였다. 또한 해상 강국으로,[47] 동아시아의 페니키아라 불릴 만큼 뛰어난 항해술은 불교를 동아시아 전역에, 대륙 문화를 일본에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8][49] 일본 문화, 예술, 언어가 백제와 한국의 영향을 받았다는 역사적 증거가 있다.[22][50][51][52][53][54][55][56][57][58][59][60] 백제는 발전된 중국 문화를 일본에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4세기 근초고왕 통치 시대에는 전진을 이용하여 중국의 요서, 산동과 일본 규슈까지 영향력을 미쳤으나,[61] 광개토대왕에게 패배하고 쇠퇴했다.[62]

신라는 한국 삼국 시대 중 가장 늦게 발전한 왕국으로 여겨진다. 2세기까지 신라는 남동부에 있는 큰 국가로 존재하며 인근 도시 국가들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562년 가야 연맹을 병합했다. 신라는 세 왕국 중 가장 작고 약했지만, 외교 수단을 사용하여 당나라와 동맹을 맺어 이득을 얻었다.[63][64] 660년, 무열왕은 김유신 장군과 당나라 군대의 지원을 받아 황산벌 전투에서 계백 장군을 물리치고 백제를 정복했다. 661년 신라와 당나라는 고구려를 공격했지만 격퇴당했다. 문무왕은 667년에 다시 원정을 시작했고, 고구려는 이듬해 멸망했다.
3. 4. 고려 시대
918년 왕건이 고려를 건국했으며, 불교 문화가 융성하여 청자, 금속활자 등 뛰어난 문화유산을 남겼다. 고려는 거란, 몽골의 침입을 받았으나 격퇴했다.[16]3. 5. 조선 시대
조선은 1392년 이성계가 건국했으며, 유교를 통치 이념으로 삼았다.[228] 세종대왕 시대에는 훈민정음이 창제되고 과학 기술이 발전했다.[229]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었으며, 후기에는 쇄국 정책을 펼쳤다.이성계는 1392년 명나라에 의해 고려의 우왕, 창왕, 공양왕을 폐위하고 고려 왕위를 찬탈하여 고려 왕을 자칭한 후, 곧바로 명나라에 사절을 보냈다. 그러나 주원장(홍무제)은 왕조가 교체되었으므로 국호를 변경하라고 명령했다. 이에 이성계는 중신들과 함께 국호 변경을 계획하여 “조선”과 “화녕” 두 후보를 준비하여 홍무제에게 선택을 요청했다.[228] “화녕”은 이성계의 출생지였지만, 북원의 본거지 카라코룸의 다른 이름이기도 했다. 홍무제는 전한 무제가 멸망시킨 위만조선의 이름이자 평양 부근의 옛 이름인 “조선”을 선택하고, 이성계를 권지조선국사에 봉함으로써 “조선”을 공식적인 국호로 정했다. “화녕”이 단순히 이성계의 출생지였던 반면, “조선”은 옛 위만조선, 기자조선, 단군조선의 정통성을 계승하는 의미가 있었기에 국호 변경 이전부터 그러한 의식이 있었다.[229]
국호가 “조선”이라는 두 글자인 것은 중국 책봉 체제에서 신왕조의 군주가 외신으로 참여하여 한 글자 국호를 가진 내신보다 한 단계 낮은 대우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230]
국호를 홍무제에게 선택받은 것은 사대주의를 상징한다고 비판받기도 한다. 예를 들어 황문웅은 “이조의 태조 이성계는 ‘역성혁명’으로 고려를 찬탈한 사실과 실권 장악을 명나라 주원장(태조)에게 인정받기 위해 주권을 명나라에 팔아넘기고 명나라의 속국임을 결정했다. 조선의 국호와 왕위를 명나라로부터 하사받는 형태를 취한 것이다.”라고 주장했다.[231][228] 그러나 신왕조가 정한 “조선”이라는 국호는 최초의 조선인 단군조선과 조선에서 백성을 교화시킨 기자조선을 계승하려는 의도가 있었고,[224] 수도가 한양에 설치된 것도 단군조선과 기자조선의 무대였기 때문이다. 신왕조는 단군과 기자를 직결시켜 정통성의 근거로 삼으려 했다. 조선이라는 국명은 은나라의 현인 기자가 주나라 무왕에게 조선에 봉해진 고사에 근거한 유서 깊은 중국식 명칭이므로,[232] 홍무제는 신왕조가 기자의 전통을 계승하는 “충실한 속국”이 되고, 자신은 기자를 조선에 봉한 주나라 무왕과 같은 위대한 현군이 되기를 원했다.[229] 따라서 중국에 대한 사대주의를 국시로 하는 신왕조가 주나라 무왕이 조선에 봉한 기자의 계승을 의도하는 조선이라는 국호를 청원한 것은 적절했다.[233]
3. 6.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조선은 1897년에 대한제국을 선포하였으나, 1910년 일본에 강제 병합되었다.[234] 일제 강점기 동안 한국인들은 독립을 위해 투쟁했으며, 3.1 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등 독립운동이 전개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부터 1948년까지 존속하였다.3. 7. 분단과 한국 전쟁

1945년 일본의 항복과 함께 국제연합은 신탁통치 계획을 세웠고, 소비에트 연방은 38선 이북을, 미국은 이남을 통치하게 되었다. 냉전의 정치적 상황은 1948년 남한과 북한이라는 두 개의 별개 정부 수립으로 이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5년 9월 2일, 한국은 38선을 경계로 분단되었고, 북한은 소련의, 남한은 미국과 다른 연합국의 점령 하에 놓였다. 그 결과 북한에서는 소련식 사회주의 공화국이, 남한에서는 서구식 체제가 수립되었다. 분단된 남북한.
북한은 현재 김일성의 ''주체'' 사상을 중심으로 하는 일당 독재 국가이며, 중앙 계획 경제를 채택하고 있다. 남한은 다당제 국가이며 자본주의 시장 경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G20 회원국이기도 하다. 분단 이후 두 국가는 문화적, 경제적으로 큰 차이를 보였지만, 여전히 공통의 전통 문화와 냉전 이전의 역사를 공유하고 있다.
1960년대 이후 남한 경제는 엄청나게 성장했고, 경제 구조는 급격히 변화했다. 1957년 남한의 1인당 GDP는 가나보다 낮았지만,[164] 2008년에는 가나의 17배에 달했다.
R. J. 럼멜에 따르면, 강제 노역, 처형, 강제 수용소로 인해 1948년부터 1987년까지 북한에서 100만 명 이상이 사망했다.[166] 다른 추산에 따르면 강제 수용소에서만 40만 명이 사망했다.[167] 최근 북한 인구 조사를 기반으로 한 추정치에 따르면, 1990년대 기근으로 24만~42만 명이 사망했고, 1993년부터 2008년까지 북한에서 60만~85만 명의 비자연사가 있었다.[168] 남한에서는 게릴라 활동이 확대됨에 따라 남한 정부는 게릴라 지역 주민들의 가족을 강제 이주시키는 등 강경책을 사용했다. 한 추산에 따르면 이러한 조치로 3만 6천 명이 사망하고 1만 1천 명이 부상했으며 43만 2천 명이 이재민이 되었다.[169]

소련의 지원을 받은 북한이 남한을 침공하면서 한국 전쟁이 발발했지만, 양측 모두 큰 영토를 얻지는 못했다. 한반도는 분단된 채로 남았고, 비무장지대가 남북한 사이의 사실상의 국경이 되었다.
1950년 6월, 북한은 소련제 탱크와 무기를 사용하여 남한을 침공했다. 한국 전쟁(1950년~1953년) 기간 동안 120만 명 이상이 사망했고, 3년간의 전국적인 전투로 대부분의 도시가 파괴되었다.[170] 전쟁은 정전 협정으로 대략 군사분계선에서 종료되었지만, 두 정부는 공식적으로 여전히 전쟁 중이다.
2018년, 북한과 한국의 지도자들은 공식적으로 판문점 선언에 서명하여 갈등 종식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71]
2020년 11월, 한국과 중국은 한국과 북한의 관계 개선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중국 외교부장인 왕이 간의 회담에서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조성에 기여한 중국의 역할에 감사를 표했다. 문 대통령은 왕이와의 회담에서 “한국 정부는 중국을 포함한 국제 사회와 함께 한반도에서 전쟁을 공식적으로 종식시키고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겠다”고 말했다.[172]
3. 8.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945년 일본의 항복과 함께 국제연합은 신탁통치 계획을 세웠고, 소비에트 연방은 38선 이북을, 미국은 이남을 통치하게 되었다. 냉전의 정치적 상황은 1948년 남한과 북한이라는 두 개의 별개 정부 수립으로 이어졌다.
1945년 9월 2일, 한국은 38선을 경계로 분단되었고, 북한은 소련, 남한은 미국과 다른 연합국의 점령 하에 놓였다. 그 결과 북한에서는 소련식 사회주의 공화국이, 남한에서는 서구식 체제가 수립되었다.
북한은 현재 김일성의 ''주체'' 사상을 중심으로 하는 일당 독재 국가이며, 중앙 계획 경제를 채택하고 있다. 남한은 다당제 국가이며 자본주의 시장 경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G20 회원국이다. 분단 이후 두 국가는 문화적, 경제적으로 큰 차이를 보였지만, 여전히 공통의 전통 문화와 냉전 이전의 역사를 공유하고 있다.
1960년대 이후 남한 경제는 엄청나게 성장했고, 경제 구조는 급격히 변화했다. 1957년 남한의 1인당 GDP는 가나보다 낮았지만,[164] 2008년에는 가나의 17배에 달했다.
R. J. 럼멜에 따르면, 강제 노역, 처형, 강제 수용소로 인해 1948년부터 1987년까지 북한에서 100만 명 이상이 사망했다.[166] 다른 추산에 따르면 강제 수용소에서만 40만 명이 사망했다.[167] 최근 북한 인구 조사를 기반으로 한 추정치에 따르면, 1990년대 기근으로 24만~42만 명이 사망했고, 1993년부터 2008년까지 북한에서 60만~85만 명의 비자연사가 있었다.[168] 남한에서는 게릴라 활동이 확대됨에 따라 남한 정부는 게릴라 지역 주민들의 가족을 강제 이주시키는 등 강경책을 사용했다. 한 추산에 따르면 이러한 조치로 3만 6천 명이 사망하고 1만 1천 명이 부상했으며 43만 2천 명이 이재민이 되었다.[169]
소련의 지원을 받은 북한이 남한을 침공하면서 한국 전쟁이 발발했지만, 양측 모두 큰 영토를 얻지는 못했다. 한반도는 분단된 채로 남았고, 비무장지대가 남북한 사이의 사실상의 국경이 되었다.
1950년 6월, 북한은 소련제 탱크와 무기를 사용하여 남한을 침공했다. 한국 전쟁(1950~1953) 기간 동안 120만 명 이상이 사망했고, 3년간의 전국적인 전투로 대부분의 도시가 파괴되었다.[170] 전쟁은 정전 협정으로 대략 군사분계선에서 종료되었지만, 두 정부는 공식적으로 여전히 전쟁 중이다.
2018년, 북한과 한국의 지도자들은 공식적으로 판문점 선언에 서명하여 갈등 종식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71]
2020년 11월, 한국과 중국은 한국과 북한의 관계 개선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중국 외교부장인 왕이 간의 회담에서 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조성에 기여한 중국의 역할에 감사를 표했다. 문 대통령은 왕이와의 회담에서 “한국 정부는 중국을 포함한 국제 사회와 함께 한반도에서 전쟁을 공식적으로 종식시키고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겠다”고 말했다.[172]
4. 지리
한국은 동아시아의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로 이루어져 있다. 북쪽으로는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북동쪽으로는 두만강을 경계로 중국 및 러시아와 접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황해(서해), 동쪽으로는 동해, 남쪽으로는 남해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한반도와 부속도서의 최북단은 함경북도 온성, 최서단은 평안북도 마안도, 최동단은 독도, 최남단은 마라도이다.[173][174][175]
한국은 아시아 대륙에서 태평양 쪽으로 남쪽으로 뻗어 있으며, 주요 섬으로는 제주도, 울릉도, 독도 등이 있다.
4. 1. 지형
한반도는 동쪽과 북쪽이 산지로 이루어져 있고, 서쪽은 평야가 발달했다. 백두산(2,744m)은 한국에서 가장 높은 산이며, 그 외에 관모봉(2,541m), 북수백산(2,522m) 등이 있다. 북부의 개마고원은 '한국의 지붕'이라고 불리며, 동해안을 따라 태백산맥(백두대간)이 뻗어 있다. 주요 산으로는 금강산(1,638m), 설악산(1,708m), 태백산(1,567m), 지리산(1,915m) 등이 있다.[175]
대부분의 고산과 달리, 한국의 주요 섬들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되었다. 제주도는 한라산(1,950m)을 주봉으로 하는 화산섬이며, 울릉도는 산성암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산악 지대가 동쪽에 위치하여 주요 하천은 서쪽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다. 낙동강과 섬진강은 예외적으로 남쪽으로 흐른다. 서쪽으로 흐르는 주요 하천은 압록강, 청천강, 대동강, 한강, 금강, 영산강 등이며, 이들은 넓은 충적평야를 이루어 논 재배에 적합하다.
남부와 남서부 해안선은 리아스식 해안(다도해)이 발달되어 잔잔한 환경을 제공하며, 이는 항해, 어업, 해조류 양식에 유리하다. 서해안은 조석 간만의 차가 커서(최대 9m) 갯벌이 발달했다.
4. 2. 기후
한국은 태풍이 상대적으로 적은 온대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봄, 여름, 가을, 겨울 네 계절이 뚜렷하다.[176] 한반도는 북쪽의 시베리아, 동쪽의 태평양, 서쪽의 유라시아 대륙의 영향을 받는 독특한 기후를 가지고 있다. 시베리아의 영향력이 약해짐에 따라 기온이 상승하고 고기압이 이동하기 시작하며, 날씨가 비정상적으로 건조하면 시베리아의 영향력이 한반도에 더 커져 눈과 같은 겨울 날씨가 나타난다.[177]4. 3. 자연 환경
한반도의 동물상은 상당수의 조류와 토착 민물고기를 포함한다. 한반도의 토착종 또는 고유종으로는 산토끼, 고라니, 한국들쥐, 한국산개구리, 잣나무 및 종비나무가 있다. 숲과 자연 습지를 갖춘 한국 비무장 지대(DMZ)는 82종의 멸종위기종을 보유한 독특한 생물다양성 지역이다. 한국에는 한때 많은 시베리아 호랑이가 서식했지만, 호랑이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조선 시대에 호랑이들이 사냥되었고, 일제강점기 동안 남한의 시베리아 호랑이는 멸종되었다. 현재 시베리아 호랑이는 북한 쪽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73][174][175]한반도 전역에는 약 3,034종의 관속식물이 있다.
5. 행정 구역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현재 분단되어 있어 서로 다른 행정 구역 체계를 가지고 있다. 1945년 광복 당시 한반도는 13개의 도로 나뉘어 있었다.[259]
대한민국은 광복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다.
- 1946년 8월 1일: 제주도가 전라남도에서 분리됨.
- 1946년 9월 28일: 서울시를 '''서울특별자유시'''로 승격.
- 1949년 8월 15일: 일본식 행정 구역 명칭 변경, 특별자유시를 특별시로 변경.
- 1963년 1월 1일: 부산시를 '''부산직할시'''로 승격.
- 1981년 7월 1일: 인천시를 '''인천직할시'''로, 대구시와 주변 지역을 통합하여 '''대구직할시''' 설치.
- 1986년 11월 1일: 광주시를 '''광주직할시'''로 승격.
- 1989년 1월 1일: 대전시와 주변 지역을 통합하여 '''대전직할시''' 설치.
- 1995년 1월 1일: 직할시를 광역시로 개칭.
- 1997년 7월 15일: 울산시를 '''울산광역시'''로 승격.
- 2003년 8월 30일: 충청북도 괴산군 증평출장소를 '''증평군'''으로 설치.
- 2003년 9월 19일: 충청남도 논산시 두마면을 '''계룡시'''로 설치.
- 2006년 7월 1일: 제주도를 '''제주특별자치도'''로 개편.
- 2010년 7월 1일: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시, 마산시를 통합하여 '''통합창원시'''로 개편.
- 2012년 7월 1일: 충청남도 연기군 전역, 공주시 일부,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을 통합하여 세종특별자치시로 개편하고, 부용면을 부강면으로 개칭.
- 2014년 7월 1일: 충청북도 청주시와 청원군을 통합하여 '''통합청주시'''로 개편.
- 2023년 6월 14일: 강원도를 '''강원특별자치도'''로 개편.
- 2024년 1월 18일: 전라북도를 '''전북특별자치도'''로 개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역시 광복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을 개편했다.
- 1946년 9월: 평양시를 평안남도에서 분리, 강원도 신설.
- 1949년 1월 31일: '''자강도''' 신설.
- 1952년 12월 22일: 면 폐지, 로동자구 설치.[259]
- 1954년 10월 30일: '''량강도''' 신설, 황해도를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
- 1957년: 개성시를 직할시로 승격.
- 1960년 10월 12일: 함흥시와 청진시를 직할시로 승격.
- 1993년 9월: 라진시와 선봉군을 통합해 라진선봉시(직할시)로 승격.
- 2002년 9월: 신의주시를 중앙직속 신의주특별행정구로 지정.
- 2002년 10월: 강원도 금강산 일대와 통천군 일대를 금강산관광지구로 지정.
- 2002년 11월: 개성시와 판문군 일부를 개성공업지구로 지정.
- 2003년 6월: 개성시(직할시)를 폐지하고 '''개성시(특급시)''' 신설.
- 2004년 1월: 남포시(직할시)와 라선시(직할시)를 폐지하고 '''남포시(특급시)'''와 '''라선시(특급시)''' 신설.
- 2019년 10월 28일: 개성시(특급시)를 개성시(특별시)로 설치.
5. 1.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은 1개의 특별시(서울특별시), 6개의 광역시(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울산광역시), 1개의 특별자치시(세종특별자치시), 8개의 도, 1개의 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로 구성되어 있다.[258]3단계 행정 체계로 도/특별시/광역시 > 시/군/구 > 읍/면/동으로 구분된다. 세종특별자치시의 경우 특별자치시 > 읍/면/동의 2단계로 구분된다. 다만, 서울특별시와 광역시를 제외한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에는 시 아래에 행정구를 둘 수 있다.
5.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직할시, 3특별시, 3지구, 9도로 편제되어 있다. 3단계 행정체계로 도 > 시/군 > 동/리로 구분된다. 이는 광복 직후와는 다른 것으로, 면은 통합하여 군으로 승격하고 읍은 군의 중심지역을 이르는 명칭으로 변경하였다. 이 외에 로동자구와 직할시에 소속된 구역 등이 있다.이들 중 도와 동급의 행정구역은 직할시, 특별시이며, 지구와 함께 행정상의 특혜를 받는다.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에서는 이 같은 행정구역 구분을 인정하지 않고, 1945년 당시의 행정구역만을 인정한다(이북5도위원회).[1]
6. 인구
조선시대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조선의 인구는 대체로 700만 명을 넘지 못했다. 조세와 부역 등을 피하려고 호구조사를 기피하는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40% 가까이 누락되었을 것으로 추측되고,[253] 실제 인구는 조선 시대 중기에 와서 1500만 명 내외, 후기에는 약 1,800만 명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1910년 조사에 따르면 대한제국의 인구는 약 1,712만여 명으로 나타난다.[254] 그러나, 학계에서는 1910년 무렵에는 1,742만 명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한다.[255] 현대적 인구 조사를 한 1925년에는 1,900만여 명, 1935년에는 2,289만 9천여 명, 1944년에는 2,590만여 명으로 증가하였다.
1911년의 성비(여자 100명 당 남자의 수)는 110.9로 심한 불균형 현상을 보였고, 1944년에는 99.9로 여성이 증가하였다. 대한민국에서는 1949년 102.1에서 1955년에는 100.1로 성비의 균형이 이루어졌다. 1980년~90년도 사이에는 여아 낙태가 증가하여 1988년에 113.2로 남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2024년 10월 말 기준으로 외국인을 제외한 대한민국의 총인구는 4990만 7561명[256]이고, 2024년 10월 말 기준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구는 약 2천603만 명으로 추산된다. 약 700만 명인 해외 거주 한인(韓人) 중 400여만 명인 외국 국적자를 제외, 재외 한국인을 포함 전체 한국인 수는 약 8500만 명이다.
2023년 기준으로, 한국 전체 인구는 약 7,790만 명(대한민국: 5,170만 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610만 명)이다. 한국은 주로 한국어를 사용하는 매우 균질한 동질적인 민족 집단인 한국인이 거주하고 있다.[188] 20세기 후반 이후 한국, 특히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수가 꾸준히 증가하여 100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189] 2006년 추산에 따르면 대한민국에 남아 있는 기존의 중국계 주민은 2만 6,700명에 불과하다.[190] 그러나 최근 중국 본토에서의 이민이 증가하여, 중국 국적의 62만 4,994명이 대한민국으로 이주했으며, 그중 한국계는 44만 3,566명이다.[19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는 중국계 및 일본계 소규모 공동체도 있다.[192]
순위 | 도시 | 행정구역 | 인구 | 이미지 |
---|---|---|---|---|
1 | 서울 | 서울특별시 | 9,904,312 | -- |
2 | 부산 | 부산광역시 | 3,448,737 | -- |
3 | 평양 | 평양직할시 | 3,255,288 | -- |
4 | 인천 | 인천광역시 | 2,890,451 | -- |
5 | 대구 | 대구광역시 | 2,446,052 | |
6 | 대전 | 대전광역시 | 1,538,394 | |
7 | 광주 | 광주광역시 | 1,502,881 | |
8 | 수원 | 경기도 | 1,194,313 | |
9 | 울산 | 울산광역시 | 1,166,615 | |
10 | 창원 | 경상남도 | 1,059,241 | |
11 | 고양 | 경기도 | 990,073 | |
12 | 용인 | 경기도 | 971,327 | |
13 | 성남 | 경기도 | 948,757 | |
14 | 부천 | 경기도 | 843,794 | |
15 | 청주 | 충청북도 | 833,276 | |
16 | 함흥 | 함경남도 | 768,551 | |
17 | 안산 | 경기도 | 747,035 | |
18 | 청진 | 함경북도 | 667,929 | |
19 | 전주 | 전라북도 | 658,172 | |
20 | 천안 | 충청남도 | 629,062 |
2024년 세계 기아 지수(GHI)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데이터가 충분한 127개국 중 118위를 차지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GHI 점수는 31.4로 심각한 수준의 기아를 나타낸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구의 53% 이상이 영양실조 상태이며, 이는 2024년 GHI에서 이 부문 최고 순위이다.[193]
7. 언어와 문자
한국어는 대한민국과 북한의 공용어이며, 한글로 표기된다. 조선 세종대왕 시기에 한국어 표기를 위한 훈민정음이 창제되었다.[178][179][105][180][181][108][103]
7. 1. 한국어
한국어는 대한민국과 북한의 공식 언어이며, 중국 길림성의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서는 표준 중국어와 함께 공용어이다.[257]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 화자는 최대 8천만 명에 달한다. 남한에는 약 5천만 명, 북한에는 약 2천 5백만 명의 화자가 있으며, 재외 동포를 통해 중국, 미국, 일본, 옛 소비에트 연방 등에도 대규모 한국어 화자 집단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 수화를 추가 공용어로 두고 있다. 한국어는 교착어로 분류되기도 한다.현대 한국어는 거의 전적으로 15세기에 발명된 한글(남한에서는 한글, 중국과 북한에서는 조선글)로 쓰인다. 한국어는 한자라고 불리는 일부 중국 글자를 추가하여 쓰이기도 하지만, 오늘날에는 거의 볼 수 없다.

7. 2. 한글
한글은 한국어를 표기하는 글자이다. 한글은 기본적으로 말소리를 기호로 표시하는 표음 문자이고, 자음과 모음을 구분하는 음소 문자이며, 발음의 유사성에 따라 형태의 규칙성을 띠는 매우 정교한 자질 문자(예. ㄱ·ㅋ·ㄲ, ㅏ·ㅑ·ㅐ·ㅒ)이다. 또, 한글은 자음과 모음의 글자를 결합해 하나의 음절을 독립적으로 표시하는 글자를 만드는 형태로 표기한다는 점에서 다른 문자와 두드러지게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조선 세종대왕은 백성들을 위해 한글을 만들었다. 세종대왕은 한글 창제 후 정인지, 신숙주, 성삼문, 박팽년 등 집현전 학사들과 함께 해설서인 《훈민정음 해례본》를 만들어 훈민정음(訓民正音)이란 이름으로 1446년에 반포하였다. 한글 창제 이전에는 한자(漢字)로 문서가 작성되었으나, 표의 문자인 한자로 한국어를 표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서 향찰, 구결, 이두 등 차자 표기가 사용되기도 하였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도 지배층인 양반(兩班)층과 관공서에서는 한자를 계속 사용하였으며, 한글은 19세기까지 주로 편지글, 시조, 가사, 한글소설 등에 사용되었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에야 비로소 공문서에 한글이 쓰이기 시작했다. 1945년 이후 본격적으로 널리 쓰여져 한국문화 발달의 기틀이 되었다. 최근에는 동음이의어(同音異意語)나 약어(略語)의 구별 등을 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한자의 사용이 크게 줄어들었다.
한글은 처음 만들었을 때는 스물여덟 글자였으나, 지금은 ㅿ(반시옷), ㆆ(여린히읗), ㆁ(옛이응), ㆍ(아래아) 네 글자가 사라져서 스물네 글자가 되었다.
한국어는 남한과 북한 모두의 공식 언어이며, 중국 길림성의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서는 (표준 중국어와 함께) 공용어이다.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 화자는 최대 8천만 명에 달한다. 남한에는 약 5천만 명, 북한에는 약 2천 5백만 명의 화자가 있다. 재외 동포를 통한 다른 대규모 한국어 화자 집단은 중국, 미국, 일본, 옛 소비에트 연방 등에 있다.
현대 한국어는 거의 전적으로 15세기에 발명된 한국어 알파벳(남한에서는 한글, 중국과 북한에서는 조선글로 알려짐)으로 쓰인다. 한국어는 한자라고 불리는 일부 중국 글자를 추가하여 쓰이기도 하지만, 오늘날에는 거의 볼 수 없다.
8. 문화
한국은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왔다.
유교 전통은 한국 사상을 지배해 왔으며, 불교, 도교, 한국 무속의 영향을 받았다. 20세기 중반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기독교가 불교와 경쟁하고 있으며, 북한에서는 종교 활동이 억압되어 왔다. 한국 역사와 문화 전반에 걸쳐, 분단과 관계없이 한국 무속, 대승불교, 유교, 도교의 전통적 신앙은 한국인들의 근본적인 종교이자 문화의 중요한 측면으로 남아있다. 이러한 전통들은 남한의 기독교 선교 활동[194][195][196] 또는 북한 주체 사상과 정부의 압력[197][198]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수백 년 동안 평화롭게 공존해 왔다.
2005년 대한민국 정부 통계에 따르면, 국민의 약 46%는 특정 종교가 없다고 밝혔다. 기독교인은 29.2%(개신교 18.3%, 천주교 10.9%)이고, 불교인은 22.8%이다.[199] 북한에서는 약 71.3%가 비종교인이나 무신론자이며, 12.9%가 천도교, 12.3%가 한국 민간 종교를 따르고, 기독교인은 2%, 불교인은 1.5%이다.[200]
대한민국의 이슬람교는 한국인 약 4만 5천 명(인구의 약 0.09%)과 무슬림 국가 출신 외국인 노동자 약 10만 명이 믿고 있다.[201] 북한에는 약 3,000명의 무슬림이 있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이는 인구의 약 0.01%에 해당한다.[202] 알라흐만 모스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유일한 모스크이며, 평양의 이란 대사관 부지에 있다.[203]
1993년 한국 해외문화홍보원은 양국에서 약 160만 명이 한국 신흥 종교를 믿고 있다고 추산했다.[204]
8. 1. 전통 문화
한국은 반도에 위치하여 대륙 문화와 해양 문화의 영향을 모두 받았다. 한국 문화는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의 북방계와 남아시아, 동남아시아의 남방계가 혼합된 바탕에 지리적으로 가까운 이웃들과 교류하며 영향을 받았으나, 독자적인 문화로 발전했다. 전통 음악으로는 풍물놀이, 아리랑 등이 있다.유교 전통은 한국 사상을 지배해 왔으며, 불교, 도교, 한국 무속의 영향도 있었다. 20세기 중반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기독교가 불교와 경쟁하고 있으며, 북한에서는 종교 활동이 억압되어 왔다. 한국 역사와 문화 전반에 걸쳐, 분단과 관계없이 한국 무속, 대승불교, 유교, 도교의 전통적 신앙은 한국인들의 근본적인 종교이자 문화의 중요한 측면으로 남아 있다. 이러한 전통들은 남한의 기독교 선교 활동[194][195][196] 또는 북한 주체 정부의 압력[197][198]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수백 년 동안 평화롭게 공존해 왔다.

고대 중국 문헌에서는 한국을 “비단에 수놓은 강산”(錦繡江山)과 “동방예의지국”(東方禮儀之國)이라고 불렀다.[210] 한국에서는 태어나는 순간 한 살로 간주하며, 임신 기간을 생후 1년으로 계산하고, 나이는 설날에 늘어난다. 따라서 설날 바로 전에 태어난 사람은 서양식 계산으로는 며칠밖에 안 되었지만 한국식 나이로는 두 살이 된다. 한국인의 나이는 (적어도 한국인들 사이에서는) 서양식 계산보다 한두 살 더 많다. 하지만 법정 연령의 경우에는 서양식 계산이 적용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술을 구입할 수 있는 법적 연령이나 담배는 서양식 계산에 따라 19세이다.
조선 왕조 말기 이전에 쓰인 한국 문학은 "고전" 또는 "전통" 문학이라고 불린다. 한자로 쓰인 문학은 한자가 한반도에 도착한 시기와 동시에 자리 잡았다. 한국 학자들은 기원전 2세기 초부터 고전 한국어 스타일로 시를 쓰며 당시 한국의 사상과 경험을 반영했다. 고전 한국 문학은 한반도의 전통적인 민속 신앙과 민담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유교, 불교, 도교의 강한 영향을 받았다.
근대 문학은 종종 한글의 발전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문맹률을 귀족에서 일반 백성으로 확산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한글은 1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한국 문학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어 한국 문학의 급격한 성장을 가져왔다. 예를 들어, ''신소설''은 한글로 쓰인 소설이다.
한국 전쟁은 전쟁의 상처와 혼돈에 초점을 맞춘 문학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한국 전쟁 이후 남한의 많은 문학 작품들은 보통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국가적 고통과의 싸움을 다룬다. 전통적인 한국적 가치관의 붕괴는 또 다른 공통적인 주제이다.
한국 전통 음악은 한국 민족의 민속 음악, 성악, 종교 음악, 그리고 의례 음악 양식의 조합을 포함한다. 한국 음악은 선사 시대부터 전해 내려왔다.[211] 한국 음악은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 첫 번째는 향악으로, 문자 그대로 '지역 음악' 또는 '한국 원주민 음악'을 의미하며, 수제천과 같이 적어도 1300년 이상 된 것으로 여겨지는 기악곡이 대표적이다.[212] 두 번째는 '양악'으로, 서양식 스타일을 나타낸다.

한국인들은 전통적으로 음식의 맛과 질은 향신료와 양념, 즉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필수 재료에 달려 있다고 믿는다. 따라서 된장, 간장, 고추장과 김치는 한국 가정에서 가장 중요한 주식 중 일부이다.
한국 요리는 찬 가을과 겨울로 유명한 한반도의 지리와 기후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따라서 발효 음식과 따뜻한 국, 찌개가 많다.
한국 요리는 김치로 가장 잘 알려져 있을 것이다. 김치는 배추를 비롯한 채소를 독특한 발효 과정으로 보존하는 밑반찬이다. 김치는 피부 모공을 완화하여 주름을 줄이고 피부에 자연스럽게 영양을 공급한다고 하며, 필요한 비타민과 영양소를 제공하기 때문에 건강에도 좋다. 고추로 만든 전통 한국 양념인 고추장도 흔히 사용되며, 한국 요리에 매운맛이라는 명성을 얻게 했다.
불고기(구운 양념 고기, 보통 소고기), 갈비(양념 구이 짧은 갈비), 삼겹살(돼지 삼겹살)은 인기 있는 주요 요리이다. 생선도 한국인이 전통적으로 먹는 고기이기 때문에 인기 있는 상품이다. 식사는 보통 갈비탕(갈비찜)이나 된장찌개와 같은 국이나 찌개와 함께 제공된다. 식탁 중앙에는 반찬이라고 하는 여러 가지 밑반찬이 함께 놓인다.
다른 인기 있는 요리로는 비빔밥(고기, 야채, 고추장을 섞은 밥)과 냉면이 있다.[213][214]
인스턴트 라면인 라면은 인기 있는 간식이다. 한국인들은 포장마차(노점상)에서 매운 고추장 양념을 넣은 떡볶이, 떡과 어묵, 김밥, 튀긴 오징어, 유약을 바른 고구마 등을 즐겨 먹는다. 순대(당면과 돼지 피로 만든 소시지)도 널리 먹는다.
또한, "초코파이", 새우 크래커, "뻥튀기"(튀긴 쌀알), "누룽지"(약간 탄 밥)도 일반적인 간식이다. 누룽지는 그대로 먹거나 물에 끓여 국으로 먹을 수 있으며, 간식이나 디저트로도 먹을 수 있다.
한국은 금속 젓가락을 사용하는 점에서 아시아 국가들 중 독특하다. 금속 젓가락은 고구려, 백제, 신라와 같은 고대 한국 왕국의 고고학적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8. 2. 현대 문화
한국은 반도에 있는 지리적 조건으로 대륙 문화와 해양 문화의 영향을 모두 받았다. 한국 문화는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의 북방계와 남아시아, 동남아시아의 남방계가 혼합된 바탕에 지리적으로 가까운 이웃들과의 교류에서 영향을 받았으나 독자적인 문화로 발전했다. 전통 음악은 풍물놀이, 아리랑 등이 있다.유교 전통은 한국 사상을 지배해 왔으며, 불교, 도교, 그리고 한국 무속의 기여도 있었다. 그러나 20세기 중반 이후로는 대한민국에서는 기독교가 불교와 경쟁하고 있으며, 북한에서는 종교 활동이 억압되어 왔다. 한국의 역사와 문화 전반에 걸쳐, 분단과 관계없이 한국 무속, 대승불교, 유교, 도교의 전통적 신앙은 한국인들의 근본적인 종교이자 문화의 중요한 측면으로 남아 있다.
대한민국 정부가 2005년에 집계한 통계에 따르면, 국민의 약 46%는 특정 종교를 따르지 않는다고 밝혔다. 기독교인은 인구의 29.2%(개신교 18.3%, 천주교 10.9%)를 차지하고, 불교인은 22.8%를 차지한다.[199] 북한에서는 약 71.3%가 비종교인이나 무신론자라고 주장하며, 12.9%가 천도교를, 12.3%가 한국 민간 종교를 따르는 반면, 기독교인은 인구의 2%, 불교인은 1.5%를 차지한다.[200]
대한민국의 이슬람교는 약 4만 5천 명의 한국인(인구의 약 0.09%)과 무슬림 국가 출신 외국인 노동자 약 10만 명이 신봉하고 있다.[201] 북한에는 약 3,000명의 무슬림이 있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이는 인구의 약 0.01%에 해당한다.[202] 알라흐만 모스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있는 유일한 모스크이며, 평양의 이란 대사관 부지에 위치해 있다.[203]
1993년 한국 해외문화홍보원은 양국에서 약 160만 명이 한국 신흥 종교를 실천하고 있다고 추산했다.[204]
고대 중국 문헌에서는 한국을 “비단에 수놓은 강산”( )과 “동방예의지국”()이라고 불렀습니다.[210] 한국에서는 태어나는 순간 만 나이 한 살로 간주하며, 임신 기간을 생후 1년으로 계산하고, 나이가 설날에 늘어납니다. 따라서 설날 바로 전에 태어난 사람은 서양식 계산으로는 며칠밖에 안 되었지만 한국식 나이로는 두 살이 됩니다. 따라서 한국인의 나이는 (적어도 한국인들 사이에서는) 서양식 계산보다 1살 또는 2살 더 많습니다. 하지만 법정 연령의 경우에는 서양식 계산이 적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술을 구입할 수 있는 법적 연령이나 담배는 서양식 계산에 따라 19세입니다.
조선 왕조 말기 이전에 쓰인 한국 문학은 "고전" 또는 "전통" 문학이라고 불립니다. 한자(한자)로 쓰인 문학은 한자가 한반도에 도착한 시기와 동시에 자리 잡았습니다. 한국 학자들은 기원전 2세기 초부터 고전 한국어 스타일로 시를 쓰며 당시 한국의 사상과 경험을 반영했습니다. 고전 한국 문학은 한반도의 전통적인 민속 신앙과 민담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유교, 불교, 도교의 강한 영향을 받았습니다.
근대 문학은 종종 한글의 발전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문맹률을 귀족에서 일반 백성으로 확산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그러나 한글은 1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한국 문학에서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어 한국 문학의 급격한 성장을 가져왔습니다. 예를 들어, ''신소설''은 한글로 쓰인 소설입니다.
한국 전쟁은 전쟁의 상처와 혼돈에 초점을 맞춘 문학의 발전으로 이어졌습니다. 한국 전쟁 이후 남한의 많은 문학 작품들은 보통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국가적 고통과의 싸움을 다룹니다. 전통적인 한국적 가치관의 붕괴는 또 다른 공통적인 주제입니다.
한국인들은 전통적으로 음식의 맛과 질은 향신료와 양념, 즉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필수 재료에 달려 있다고 믿습니다. 따라서 된장, 간장, 고추장과 김치는 한국 가정에서 가장 중요한 주식 중 일부입니다.
한국 요리는 찬 가을과 겨울로 유명한 한반도의 지리와 기후의 영향을 크게 받았습니다. 따라서 발효 음식과 따뜻한 국과 찌개가 많습니다.
한국 요리는 아마도 김치로 가장 잘 알려져 있을 것입니다. 김치는 배추를 비롯한 채소를 독특한 발효 과정으로 보존하는 밑반찬입니다. 김치는 피부의 모공을 완화하여 주름을 줄이고 피부에 자연스럽게 영양을 공급한다고 합니다. 또한 필요한 비타민과 영양소를 제공하기 때문에 건강에도 좋습니다. 고추로 만든 전통 한국 양념인 고추장도 흔히 사용되며, 종종 고추장(고추장)으로 사용되어 한국 요리에 매운맛이라는 명성을 얻었습니다.
불고기(구운 양념 고기, 보통 소고기), 갈비(양념 구이 짧은 갈비), 삼겹살(돼지 삼겹살)은 인기 있는 주요 요리입니다. 생선도 한국인이 전통적으로 먹는 고기이기 때문에 인기 있는 상품입니다. 식사는 보통 갈비탕(갈비찜)이나 된장찌개(된장찌개)와 같은 국이나 찌개와 함께 제공됩니다. 식탁 중앙에는 반찬이라고 하는 여러 가지 밑반찬이 함께 놓입니다.
다른 인기 있는 요리로는 "비빔밥"(고기, 야채, 고추장을 섞은 밥)과 냉면(냉면)이 있습니다.[213][214]
인스턴트 라면인 라면은 인기 있는 간식입니다. 한국인들은 또한 포장마차(노점상)의 음식을 즐기는데, 매운 고추장 양념을 넣은 떡볶이, 떡과 어묵; 김밥(말린 김에 싸서 만든 흰 밥), 튀긴 오징어, 유약을 바른 고구마 등을 제공합니다. 순대(당면과 돼지 피로 만든 소시지)도 널리 먹습니다.
또한, 다른 일반적인 간식으로는 "초코파이", 새우 크래커, "뻥튀기"(튀긴 쌀알), "누룽지"(약간 탄 밥)가 있습니다. 누룽지는 그대로 먹거나 물에 끓여 국으로 먹을 수 있습니다. 누룽지는 간식이나 디저트로도 먹을 수 있습니다.
한국은 금속 젓가락을 사용하는 점에서 아시아 국가들 중 독특합니다. 금속 젓가락은 고구려, 백제, 신라와 같은 고대 한국 왕국의 고고학적 유적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요약하면, 한국의 현대 문화는 한류를 통해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전통 문화는 반도라는 지리적 특성과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등 다양한 문화의 영향을 받아 독특하게 발전했습니다. 유교, 불교, 도교, 한국 무속 등 전통 신앙은 여전히 한국인의 삶과 문화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으며, 종교적으로는 기독교와 불교가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또한, 김치와 불고기 등 한국 요리는 세계적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라면과 포장마차 음식도 한국인의 일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입니다.
9. 경제
대한민국은 1997년 외환 위기와 2008년 금융 위기 등 여러 경제 위기를 겪었지만, OECD 회원국이자 G20 회원국으로서 세계적인 경제 강국으로 성장했다.[1] 반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극심한 경제난을 겪고 있다.[2]
참조
[1]
논문
Radiocarbon Dates from Palaeolithic Sites in Korea
[2]
웹사이트
발해 유민 포섭
http://contents.his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19-03-13
[3]
백과사전
Korean
http://www.oed.com/v[...]
2013-12-20
[4]
Youtube
youtube on 'Korea? Corea?'
https://www.youtube.[...]
2016-01-12
[5]
웹사이트
Korea
https://en.wiktionar[...]
2023-06-13
[6]
서적
Marco Polo's China: A Venetian in the Realm of Khubilai Kh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9-29
[7]
웹사이트
Baxter–Sagart Old Chinese Reconstruction
http://crlao.ehess.f[...]
2013-12-20
[8]
서적
Sea Power and the Asia-Pacific: The Triumph of Neptun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9-29
[9]
서적
Religious culture in Korea
https://books.google[...]
Hollym
2017-09-29
[10]
웹사이트
디지털 삼국유사 사전, 박물지 시범개발
https://web.archiv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17-02-06
[11]
뉴스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국호논쟁의 전말... 대한민국이냐 고려공화국이냐
http://news.khan.co.[...]
2017-08-30
[12]
뉴스
이덕일 사랑] 대~한민국
http://news.chosun.c[...]
2018-07-02
[13]
웹사이트
Some Discoveries of Fossils and Relics of Prehistoric Civilizations From Around the World
http://www.pureinsig[...]
Pureinsight
2002-08-21
[14]
논문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15]
논문
RReconstructing the Language Map of Prehistorical Northeast Asia
[16]
웹사이트
Korea
http://www.asianinfo[...]
Asian info
2009-11-03
[17]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11-21
[18]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6-11-21
[19]
서적
The History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7-15
[20]
서적
Averting Global War: Regional Challenges, Overextension, and Options for American Strategy
https://web.archive.[...]
Palgrave Macmillan
2016-07-15
[21]
서적
History of Humanity: From the seventh to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ESCO
2016-10-10
[22]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6-11-18
[23]
서적
Korea: The Impossible Country: The Impossible Country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16-07-15
[24]
서적
Rediscovering Russia in Asia: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7-15
[25]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Land of the Morning Calm" to States in Conflic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6-07-15
[26]
서적
New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Jimoondang
2016-07-29
[2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7-29
[28]
서적
Encyclopedia of A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Scribner
2016-07-29
[29]
서적
East Asia at the Center: Four Thousand Years of Engagement with the World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6-07-29
[30]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Land of the Morning Calm" to States in Conflic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6-10-11
[31]
웹사이트
Kings and Queens of Korea
https://web.archiv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6-08-26
[32]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6-11-08
[33]
서적
Atrocities: The 100 Deadliest Episodes in Human History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016-11-08
[34]
서적
1001 Battles That Changed the Course of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e Pub.
2016-11-08
[35]
서적
Human Security and the Chinese State: Historical Transformations and the Modern Quest for Sovereign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11-08
[36]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07-29
[37]
서적
A Panorama of 5000 Years: Korean History
https://archive.org/[...]
Hollym International Corporation
2005
[38]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6 volumes]: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ABC-CLIO
2009-12-23
[39]
서적
East Asia: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2-11-20
[40]
서적
Asia and Oceania: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11-12
[41]
서적
Korean History in Map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2-15
[42]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08-02
[43]
서적
The History of Korea, 2nd Edi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5-30
[44]
서적
Korea: A Historical and Cultur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2-16
[45]
서적
The New History of Korean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16-07-22
[46]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Land of the Morning Calm" to States in Conflic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2-11-05
[47]
서적
East Asia: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2016-09-12
[48]
서적
The Religious Traditions of Asia: Religion,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9-05
[49]
서적
East Asia: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Volume I: To 1800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6-09-12
[50]
서적
Corea, Without and Within: Chapters on Corean History, Manners and Religion
https://archive.org/[...]
Presbyterian Board of Publication
2016-09-25
[51]
간행물
Yayo
http://www.metmuseum[...]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1-07-17
[52]
뉴스
Kitora Tomb Originates in Koguryo Murals
http://www1.korea-np[...]
Korea NP
[53]
웹사이트
eMuseum
http://www.mnsu.edu/[...]
MNSU
[54]
웹사이트
Japanese history: Jomon, Yayoi, Kofun
http://www.japan-gui[...]
Japan guide
2012-05-21
[55]
웹사이트
Asia Society: The Collection in Context
http://www.asiasocie[...]
Asia society museum
2012-05-21
[56]
백과사전
Pottery – MSN Encarta
http://encarta.msn.c[...]
[57]
웹사이트
Kanji
http://www.japan-gui[...]
Japan guide
2012-05-21
[58]
서적
The Arts of Japan: Late Medieval to Modern
https://books.google[...]
Kodansha International
2012-05-21
[59]
웹사이트
Japanese Art and Its Korean Secret
http://www2.kenyon.e[...]
Kenyon
2012-05-21
[60]
뉴스
Japanese Royal Tomb Opened to Scholars for First Time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12-05-21
[61]
서적
A Brief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05-01-01
[62]
서적
The New History of Korean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16-11-21
[63]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Land of the Morning Calm" to States in Conflict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6-09-12
[64]
서적
Korea: Outline of a Civilisation
https://books.google[...]
BRILL
2015-07-03
[65]
서적
Old records of Silla
[66]
서적
Rhymed Chronicles of Sovereigns
[67]
서적
Solitary Cloud
[68]
서적
Solitary Cloud
[69]
서적
Comprehensive Institutions
[70]
서적
Korean History in Map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2-15
[71]
서적
The Religious Traditions of Asia: Religion,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9-05
[72]
서적
A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05-31
[73]
서적
Ennins Travels in Tang Chin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Canada, Limited
1955
[74]
서적
The History of Korea, 2nd Edi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5-30
[75]
서적
A Concise History of Korea: From the Neolithic Period Through the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76]
서적
A History of the World in 100 Objects
https://books.google[...]
Penguin UK
[77]
서적
Arts of Korea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78]
잡지
The Legacy of Kyongju
https://books.google[...]
Rotary International
[79]
서적
After Pusan
https://books.google[...]
Faber & Faber
2013-01-17
[80]
웹사이트
Gyeongju, Korea's treasure house
http://www.korea.net[...]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81]
서적
Koreaʾs Pottery Heritage
https://books.google[...]
Seoul International Pub. House
[82]
서적
Korea
https://archive.org/[...]
Marshall Cavendish
[83]
서적
The Harvard Dictionary of Music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3-11-28
[84]
서적
Moon Living Abroad in South Korea
https://books.google[...]
Avalon Travel
2013-09-10
[85]
서적
The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5-01-30
[86]
서적
Buddhist Exploration of Peace and Justice
https://books.google[...]
Blue Pine Books
[87]
서적
Speeches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0-06-25
[88]
서적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11-24
[89]
서적
Ordinary Mind as the Way: The Hongzhou School and the Growth of Chan Buddhis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04-13
[90]
서적
Spreading Buddha's Word in East Asia: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Chinese Buddhist Cano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5-12-15
[91]
서적
The Zen Canon: Understanding the Classic Tex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03-25
[92]
서적
The Silk Road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Seoul Selection
2016-07-18
[93]
서적
Asian Folk Religion and Cultural Interaction
https://books.google[...]
Vandenhoeck & Ruprecht
2015-10-28
[94]
서적
China
https://books.google[...]
Rough Guides
[95]
서적
The Rough Guide to China
https://books.google[...]
Penguin
2014-06-02
[96]
서적
DK Eyewitness Travel Guide: China
https://books.google[...]
Penguin
2016-06-21
[97]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98]
서적
China Among Equals: The Middle Kingdom and Its Neighbors, 10th–14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05-20
[99]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00]
서적
The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5-01-30
[101]
서적
Korea – A Religious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05
[102]
서적
https://books.google[...]
휴머니스트
2015-08-24
[103]
백과사전
Korean Metal Movable Type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0-07-29
[104]
백과사전
Korean Classics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105]
웹사이트
Gutenberg Bible
http://www.bl.uk/lea[...]
The British Library Board
[106]
웹사이트
Korea, 1000–1400 A.D. Chronology Heilbrunn Timeline of Art History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www.metmuseu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08-19
[107]
백과사전
Movable type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2-19
[108]
서적
East Asia: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3-01-01
[109]
서적
The History of Korea, 2nd Edi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5-30
[110]
서적
The Earth and Its Peoples, Brief: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4-01-01
[111]
서적
East Asia at the Center: Four Thousand Years of Engagement with the World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0-12-20
[112]
서적
Korea and East Asia: The Story of a Phoenix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13]
서적
Columbia Chronologie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0-09-05
[114]
서적
Korea and East Asia: The Story of a Phoenix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15]
뉴스
Opinion The tale of a Korean empress of China, an imperial K-drama
https://www.scmp.com[...]
2020-11-06
[116]
서적
A New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17]
서적
The Great Enterprise: Sovereignty and Historiography in Modern Korea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13-03-25
[118]
서적
The Making of International Law in Korea: From Colony to Asian Power
https://books.google[...]
BRILL
2016-05-12
[119]
서적
Harmony and War: Confucian Culture and Chinese Power Politic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12-15
[120]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0-10-16
[121]
서적
Overseas Chinese Entrepreneurship and Capitalist Development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122]
서적
Thailand's Policies towards China, 1949–54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2-06-18
[123]
서적
Wei Yuan and China's Rediscovery of the Maritime World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 Asia Center
[124]
서적
The Eunuchs in the Ming Dynast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6-01-01
[125]
서적
China and the Developing World: Beijing's Strategy for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8-20
[126]
서적
Frontier Contact Between Choson Korea and Tokugawa Jap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11-02
[127]
서적
East Asia Before the West: Five Centuries of Trade and Tribut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28]
서적
Offshore Asia: Maritime Interactions in Eastern Asia Before Steamships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29]
서적
The History of Korea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130]
서적
Korea and East Asia: The Story of a Phoenix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31]
웹사이트
http://www.korean.go[...]
[132]
서적
Fonts & Encodings
https://books.google[...]
"O'Reilly Media, Inc."
2007-09-26
[133]
서적
Encyclopa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in Non-Western Cultur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11-11
[134]
서적
The History of Korea, 2nd Edi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5-30
[135]
서적
Structure of Slavery in Indian Ocean Africa and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11-23
[136]
서적
East Asia Before the West: Five Centuries of Trade and Tribut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37]
서적
War in the World: A Comparative History, 1450–1600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1-09-28
[138]
서적
Blood and soil : a world history of genocide and extermination from Sparta to Darfur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39]
서적
A Brief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05-01-01
[140]
서적
Su-un and His World of Symbols: The Founder of Korea's First Indigenous Relig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4-01
[141]
논문
Japan rape
https://web.archive.[...]
Kim soft
[142]
서적
서울대이태진교수의동경대생들에게들려준한국사 : 메이지일본의한국침략사
태학사
[143]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Ancient, Medieval, and Modern
https://web.archive.[...]
Houghton Mifflin
[144]
백과사전
Korea
https://web.archive.[...]
Microsoft Corporation
[145]
학술지
History Overshadows Japan-South Korea Rapprochement
https://web.archive.[...]
2005-03-28
[146]
백과사전
March 1st Movement
https://www.britanni[...]
1919-03-01
[147]
웹사이트
Statistics of Japanese Genocide And Mass Murder
http://www.hawaii.ed[...]
Hawaii
[148]
서적
近代日本と外国人労働者―1890年代後半と1920年代前半における中国人・朝鮮人労働者問題
明石書店 Akashi-shoten
[149]
서적
Imperial Japan's World War Two: 1931–1945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150]
서적
Comfort Women: Sexual Slavery in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World War II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151]
뉴스
Japanese comfort women ruling overturned
https://web.archive.[...]
2001-03-29
[152]
웹사이트
Comfort Women
https://web.archive.[...]
[153]
웹사이트
Statement by the Chief Cabinet Secretary on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issue of 'comfort women'
https://web.archive.[...]
MOFA
1993-08-04
[154]
웹사이트
Koreans in Japan: Past and Present
https://web.archive.[...]
HAN
[155]
웹사이트
Gyeongbok Palace
https://web.archive.[...]
Life in Korea
[156]
잡지
Korea: A tussle over treasures — Who rightfully owns Korean artifacts looted by Japan?
http://www.newsweek.[...]
2007-10-17
[157]
뉴스
Who rightfully owns Korean artifacts looted by Japan?
https://web.archive.[...]
MSNBC
[158]
뉴스
News
https://web.archive.[...]
Naver
[159]
웹사이트
日독도 영유권 교육강화 방침, 2005년에 이미 발표 :: 한국의 대표 진보언론 민중의소리
http://www.vop.co.kr[...]
Vop
2008-05-19
[160]
웹사이트
Japanese Periodicals in Colonial Korea
http://www.columbia.[...]
Columbia
[161]
웹사이트
The Life Instability of Intermarried Japanese Women in Korea
https://web.archive.[...]
USC
[162]
학술지
Re-nationalizing Repatriated Japanese into Post-War Japan: From Imperial Subjects to Post-War Citizens
https://muse.jhu.edu[...]
2020
[163]
학술지
Housing poverty and the role of urban governance in Korea
2004-04
[164]
leading article
Africa has to spend carefully
https://web.archive.[...]
2006-07-13
[165]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http://arquivo.pt/wa[...]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08-10
[166]
웹사이트
Statistics of Democide
Hawaii
[167]
뉴스
Gulag Nation
https://www.usnews.c[...]
2003-06-23
[168]
학술지
Demographic Changes in North Korea: 1993–2008
[169]
서적
A History of Korea
American Bibliographic Center-Clio Press
[170]
학술지
Monitoring Trends in Global Combat: A New Dataset of Battle Deaths
https://web.archive.[...]
[171]
뉴스
https://www.bbc.com/[...]
[172]
웹사이트
South Korea, China agree on North Korea talks, early Xi visit
https://www.aljazeer[...]
2020-11-27
[173]
웹사이트
Geography of the Korean Peninsula
https://www.thoughtc[...]
[174]
웹사이트
Korean Map
http://www1.korea-np[...]
The People's Korea
[175]
서적
Geography of Korea
https://books.google[...]
General Books
2011-07-06
[176]
웹사이트
Climate of Korea
https://web.kma.go.k[...]
South Korean Government
2018-07-03
[177]
웹사이트
Climate of Korea: Climatic Data
https://books.google[...]
undefined
2020-09-21
[178]
웹사이트
Cultural Heritage, the source for Koreans' Strength and Dream
https://web.archiv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9-11-03
[179]
웹사이트
Korean Classics : Asian Collections: An Illustrated Guide (Library of Congress – Asian Division)
https://www.loc.gov/[...]
United States Congress
2016-08-19
[180]
웹사이트
Korea, 1000–1400 A.D. Chronology Heilbrunn Timeline of Art History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6-08-19
[181]
웹사이트
Movable type – Oxford Reference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8-19
[182]
서적
Woong-Jin-Wee-In-Jun-Gi #11 Jang Young Sil
Woongjin Publishing
[183]
웹사이트
Gutenberg and the Koreans: Did Asian Printing Traditions Influence the European Renaissance?
https://www.rightrea[...]
2017-08-01
[184]
웹사이트
Effects of the Mongol Empire on Europe
https://www.thoughtc[...]
Szczepanski, Kallie
2020-01-27
[185]
서적
The Imjin War. Japan's Sixteenth-Century Invasion of Korea and Attempt to Conquer China
The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186]
서적
Samurai Invasion. Japan's Korean War 1592–98
https://archive.org/[...]
Cassell & Co
[187]
논문
Yi Sun-shin, an Admiral Who Became a Myth
https://web.archive.[...]
2012-02-04
[188]
웹사이트
Korea's ethnic nationalism is a source of both pride and prejudice, according to Gi-Wook Shin
https://web.archive.[...]
Stanford
2009-11-03
[189]
뉴스
Trying to teach South Korea about discrimination
https://www.latimes.[...]
2009-08-16
[190]
뉴스
No 'real' Chinatown in S. Korea, the result of xenophobic attitudes
http://english.hani.[...]
Yonhap News Agency
2006-08-29
[191]
뉴스
More Than 1 Million Foreigners Live in Korea
http://english.chosu[...]
2009-08-06
[192]
웹사이트
Korea, North
https://www.cia.gov/[...]
CIA
2009-11-03
[193]
웹사이트
Global Hunger Index Scores by 2024 GHI Rank
https://www.globalhu[...]
2024-12-20
[194]
웹사이트
Religion
http://www.korea.net[...]
Korea
2009-11-03
[195]
웹사이트
South Koreans
http://www.everycult[...]
Every Culture
2009-11-03
[196]
웹사이트
Culture of South Korea
http://www.everycult[...]
Every Culture
2009-11-03
[197]
웹사이트
Culture of North Korea
http://www.everycult[...]
Every Culture
2009-11-03
[198]
웹사이트
North Korea: people
https://www.cia.gov/[...]
CIA
2009-11-03
[199]
웹사이트
Korea, Republic of
https://2001-2009.st[...]
Department of State
2009-11-03
[200]
웹사이트
Religious Composition by Country, 2010–2050
https://www.pewforum[...]
Pewforum
2015-04-02
[201]
웹사이트
The Korea Times: Islam takes root and blooms
http://www.islamawar[...]
Islam awareness
2002-11-22
[202]
웹사이트
Korea, (North) Democratic Republic of, Religion And Social Profile National Profiles International Data TheARDA
https://web.archive.[...]
[203]
웹사이트
Inside North Korea's only mosque during Eid al-Fitr
https://www.nknews.o[...]
2021-05-18
[204]
서적
A Handbook of Korea
Korean Overseas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1993-12
[205]
웹사이트
Data
http://www.oecd.org/[...]
OECD
2012-05-21
[206]
웹사이트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y
https://web.archive.[...]
[207]
웹사이트
UIS Statistics
http://stats.uis.une[...]
2016-10-05
[208]
웹사이트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whc.unesco.o[...]
UNESCO
2018-06-30
[209]
웹사이트
Republic of Korea
https://whc.unesco.o[...]
UNESCO
2018-06-30
[210]
웹사이트
대한민국의 국호
https://web.archive.[...]
2007-08-14
[211]
뉴스
Rare Korean musical instruments exhibited
https://www.koreaher[...]
2011-05-11
[212]
서적
Musics of Many Cultures: An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213]
뉴스
La nourriture coréenne
2002-08
[214]
뉴스
L'étonnante cuisine coréenne
1990-12
[215]
백과사전
North Korea
Dorling Kindersley
[216]
백과사전
South Korea
Dorling Kindersley
[217]
웹사이트
http://www.mt.co.kr/[...]
[218]
서적
新版 韓国 朝鮮を知る事典
平凡社
2014-03-19
[219]
웹사이트
史記三家註/卷115
https://zh.wikisourc[...]
[220]
기타
[221]
기타
[222]
서적
伝統文化经典读本 汉字
四川辞书出版社
2018-01
[223]
논문
[224]
논문
[225]
논문
[226]
논문
[227]
논문
[228]
논문
[229]
논문
[230]
논문
[231]
서적
日本の植民地の真実
扶桑社
2003-10-31
[232]
논문
[233]
논문
[234]
법령
韓国ノ国号ヲ改メ朝鮮ト称スルノ件
1910
[235]
아카이브
[236]
아카이브
[237]
아카이브
[238]
뉴스
毎日新聞
2002-04-10
[239]
뉴스
日本経済新聞
2002-04-10
[240]
법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241]
법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242]
법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243]
웹인용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ind[...]
[244]
웹인용
Korea, North -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45]
웹인용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국호논쟁의 전말... 대한민국이냐 고려공화국이냐
http://news.khan.co.[...]
The Kyunghyang Shinmun
2017-08-30
[246]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
[247]
서적
고종실록
1897-10-11
[248]
뉴스
일제의 ‘대한’ 국호 말살작전…“한국 대신 조선으로 불러라”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3-08-11
[249]
웹인용
국가상징 - 국호
https://www.mois.go.[...]
행정안전부
2023-08-09
[250]
웹인용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호 제정과정 연구
https://www.kci.go.k[...]
2023-08-11
[251]
뉴스
[NEWS&VIEW] “남조선” 대신 돌연 “대한민국” 꺼낸 북한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3-08-11
[252]
웹페이지 #추정
[253]
서적
한국사이야기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 바람
한길사
2004-01-01 #정확한 날짜가 없으므로 1월 1일로 가정
[254]
서적
인구의 증가와 도시의 변화
국사편찬위원회
[255]
서적
한국사이야기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 바람
한길사
2004-01-01 #정확한 날짜가 없으므로 1월 1일로 가정
[256]
웹사이트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www.mois.go.k[...]
[257]
웹페이지 #추정
[258]
법률 #추정
대한민국 지방자치법 제161조의2(대도시에 대한 특례인정)
[259]
웹페이지 #추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