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아 복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아 복사는 기아자동차에서 생산했던 중형 트럭 시리즈이다. 1971년 마쓰다 복서의 1세대를 라이센스 생산하여 판매를 시작했으며, 1993년 단종된 1세대 복사와 1992년부터 1998년까지 생산된 2세대 와이드 복사가 존재한다. 1세대는 마쓰다 복서의 설계를 기반으로, 2세대는 히노 레인저와 마쓰다 타이탄의 디자인을 참고하여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1년 도입된 자동차 - 기아 타이탄
    기아 타이탄은 기아자동차에서 1971년부터 생산된 트럭으로, 다양한 적재량의 카고 트럭 모델과 특장차 모델을 통해 여러 수요에 대응하며 슈퍼 타이탄, 점보 타이탄 등으로 라인업이 확장되었다.
  • 1971년 도입된 자동차 - 마쓰다 그랜드 패밀리아
    마쓰다 그랜드 패밀리아는 1971년부터 1978년까지 생산된 마쓰다의 소형차로, 4도어 세단, 쿠페, 5도어 밴의 세 가지 차체 형태로 출시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기아자동차를 통해 브리사 II와 K303으로 생산되기도 했다.
  • 기아의 차종 - 기아 프라이드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부터 201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고, 4세대는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판매된다.
  • 기아의 차종 - 기아 콩코드
    기아 콩코드는 1987년부터 1995년까지 기아자동차에서 마쓰다 카펠라를 기반으로 생산한 전륜구동 중형 세단으로, 대한민국 최초로 에어백을 선택 사양으로 제공했으며, 영화 '투캅스'에 등장하기도 했다.
  • 기아 - 기아 프라이드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부터 201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고, 4세대는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판매된다.
  • 기아 - 기아 콩코드
    기아 콩코드는 1987년부터 1995년까지 기아자동차에서 마쓰다 카펠라를 기반으로 생산한 전륜구동 중형 세단으로, 대한민국 최초로 에어백을 선택 사양으로 제공했으며, 영화 '투캅스'에 등장하기도 했다.
기아 복사 - [자동차]에 관한 문서
자동차 정보
이름기아 복사
차종중형트럭
조립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제조사기아자동차
별칭마쓰다 복사
생산년도1971년~1998년
후속차량기아 라이노
관련차량기아 콤비
기아 라이노
기아 타이탄

2. 세부 종류

기아 복사는 1세대와 2세대 모델로 나뉜다.


  • 2세대 와이드 복사 (1992년~1998년): 1세대 복사 4톤 모델의 후속 차종으로, 라이노의 하위 차종이다. 1993년1994년에 디자인 및 로고를 변경했다. 1998년 라이노와 통합되어 단종되었다.

2. 1. 1세대 복사 (1971년~1993년)

1971년:JA:マツダ・ボクサー 1세대를 라이선스 생산하여 판매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소하리공장에서 생산하다가 1984년 6월부터 광주공장으로 생산 라인을 이전하고 아시아자동차에서 위탁 생산했다. 1986년 3월1987년에는 앞면 기아 로고와 'BOXER' 로고가 변경되었고, 디자인도 일부 변경되었다. 1988년 4.5톤 라이노 제1세대 모델1992년 4톤 와이드 복사가 출시된 이후에도 병행 생산되다가 1993년 12월 단종되었다.

2. 1. 1. 1세대 복사의 특징

1971년에 마쓰다 복사의 1세대를 라이선스 생산하여 판매하기 시작했다. 원래는 110마력 3800cc YA 엔진의 4톤 복사만이 판매되었으나, 1973년에 115마력 4052cc ZB엔진의 4.5톤 복사가 발매되었다. 초기에는 소하리공장(현 기아 오토랜드 광명)에서 만들다가 1984년 6월 생산라인을 광주공장(현 기아 오토랜드 광주)으로 이전과 동시에 당시 기아산업의 방계회사인 아시아자동차에서 위탁생산하기 시작했다. 1986년 3월부터 앞면의 기아 로고가 '''KIA MASTER'''에서 '''KIA MOTORS'''로 변경되었고, '''BOXER''' 로고도 변경되면서 '''O''' 속에 견종 복서 그림이 사라짐과 동시에 페이스리프트되어 시그널램프 및 그릴 디자인도 변경되었다. 1987년 기아 새 CI가 출범됨에 따라 앞면의 기아 로고도 '''KIa mOTORS'''에서 '''kia'''(상단에는 물결표시됨)로 변경되었다. 이후 후속 차량으로 4.5톤은 1988년 라이노 제1세대 모델이, 4톤은 1992년에 복사 제2세대 모델(공식명칭 '''와이드 복사''')이 각각 출시된 이후에도 한동안 병행 생산하다가 1993년 12월 단종되었다.

2. 2. 2세대 와이드 복사 (1992년~1998년)

1992년 3월 1세대 복사 중형 트럭 4톤의 후속 차종이자, 라이노의 하위 차종으로 출시되었으며, 공식 명칭은 '''와이드 복사'''이다. 캐빈 디자인은 4.5~5톤 모델인 제 1세대 라이노와 함께 히노 레인저 3세대 모델[1]을 기반으로, 한국 실정에 맞게 마쓰다 타이탄 제 2세대 모델의 디자인으로 다듬어졌다. 섀시는 1세대 라이노와 함께 히노 레인저 3세대 모델 중 FD형 섀시를 사용했고, 엔진은 준중형 버스인 콤비의 엔진을 장착했다. 1993년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그릴 모양이 변경되었고, 색상이 무색에서 검은색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조수석 문짝에 안전창이 추가되었다. 1994년 기아 새 CI 출범에 따라 앞면 기아 로고는 '''kia'''(상단 물결 표시)에서 '''타원''' 속 '''KIΛ'''로 변경되었다. 1998년 라이노 제1세대 모델과의 통합 후속 차종인 라이노 제2세대 모델이 출시됨에 따라 단종되었다.

2. 2. 1. 2세대 와이드 복사의 특징

1992년 3월 1세대 복사 중형 트럭 4톤의 후속 차종이자, 라이노의 하위 차종으로 출시되었다. 공식 명칭은 '''와이드 복사'''이다. 캐빈 디자인은 4.5~5톤 모델인 제 1세대 라이노와 함께 히노 레인저 3세대 모델[1]을 베이스로, 한국 실정에 맞게 마쓰다 타이탄 제 2세대 모델의 디자인으로 다듬어졌다. 섀시는 1세대 라이노와 함께 히노 레인저 3세대 모델 중 FD형의 섀시를 사용했고, 엔진은 준중형 버스인 콤비의 엔진을 장착했다. 1993년 페이스 리프트를 통해 그릴 모양이 변경되었고, 색상은 무색에서 검은색으로 바뀌었으며, 조수석 문짝에 안전창이 추가되었다. 1994년 기아 새 CI 출범에 따라 1세대 라이노와 동시에 앞면 기아 로고가 '''kia'''(상단 물결 표시)에서 '''타원''' 속 '''KIΛ'''로 변경되었다.

3. 라인업

기아 복사는 1세대와 2세대에 걸쳐 다양한 모델을 생산했다.

세대모델 종류
1세대
2세대(하위 섹션 참조)


3. 1. 1세대

1971년에 마쓰다 복사의 1세대를 라이선스 생산하여 판매하기 시작했다. 원래는 110마력 3800cc YA 엔진의 4톤 복사만이 판매되었으나, 1973년에 115마력 4,052cc ZB엔진의 4.5톤 복사가 발매되었다. 초기에는 소하리공장(현 기아 오토랜드 광명)에서 만들다가 1984년 6월 생산라인을 광주공장(현 기아 오토랜드 광주)으로 이전함과 동시에 당시 기아산업의 방계회사인 아시아자동차에서 위탁생산하기 시작했다. 1986년 3월부터 앞면의 기아 로고가 '''KIA MASTER'''에서 '''KIA MOTORS'''로 변경되었고, '''BOXER''' 로고도 변경되면서 '''O''' 속에 견종 복서 그림이 사라짐과 동시에 페이스리프트되어 시그널램프 및 그릴 디자인도 변경되었다. 1987년 기아 새 CI가 출범됨에 따라 앞면의 기아 로고도 '''KIa mOTORS'''에서 '''kia'''(상단에는 물결표시됨)로 변경되었고, 이후 후속 차량으로 4.5톤은 1988년 라이노 제1세대 모델이, 4톤은 1992년에 복사 제2세대 모델(공식명칭 '''와이드 복사''')이 각각 출시된 이후에도 한동안 병행 생산하다가 1993년 12월 단종되었다.

3. 2. 2세대

1992년 3월 1세대 복사 중형 트럭 4톤의 후속 차종이자 라이노의 하위 차종으로 출시되었고, 공식 명칭은 '''와이드 복사'''이다. 캐빈 디자인은 4.5~5톤 모델인 제 1세대 라이노와 함께 히노 레인저 3세대 모델[1]을 베이스로 한국 실정에 맞게 마쓰다 타이탄 제 2세대 모델의 디자인으로 다듬어서 생산하기 시작했다. 섀시는 1세대 라이노와 함께 히노 레인저 3세대 모델 중 FD형의 섀시를 사용하고, 엔진은 아랫급으로 준중형 버스인 콤비의 엔진이 장착되었다. 1993년 페이스 리프트를 거쳐 그릴 모양이 변경되었고, 색상이 무색에서 검은색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조수석 문짝에 안전창이 추가되었다. 1994년 기아 새 CI가 출범됨에 따라 1세대 라이노와 동시에 앞면에 기아 로고는 '''kia'''(상단에는 물결표시 됨)에서 '''타원''' 속 '''KIΛ''' 로 변경되었다. 1998년 라이노 제1세대 모델과의 통합 후속 차종인 라이노 제2세대 모델이 출시됨에 따라 라이노 제1세대 모델과 함께 단종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