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하 마방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하 마방진은 덧셈 마방진을 일반화한 개념으로, 에두아르 뤼카의 공식을 기하학적으로 해석하여 탄생했다. 모든 덧셈 마방진은 기하 마방진의 특별한 경우이며, 1차원 기하 마방진은 전통적인 마방진을 포함한다. 기하 마방진은 완전 탐색, 대수적 템플릿 등의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팬마방진, 자기 타일링 타일 세트, 자기 맞물림 기하 마방진과 같은 특수한 형태가 존재한다. 기하 마방진은 2014년 마카오 우표에 등장하는 등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방진 - 멜랑콜리아 I
    알브레히트 뒤러의 동판화 "멜랑콜리아 I"은 우울을 의인화한 인물과 여러 상징적 오브제를 통해 멜랑콜리아의 복합적인 의미와 예술가의 고뇌, 천재성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 마방진 - 범마방진
    범마방진은 가로, 세로, 대각선뿐 아니라 꺾인 대각선의 숫자 합도 동일한 마방진으로, 행이나 열을 이동시켜도 성질이 유지되며 특정 형태는 존재하지 않고 보조 방진이나 라틴 방진으로 생성 가능하며 동아시아에서 발전하여 현대 수학 및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기하 마방진
기하 마방진
기하 마방진 예시
기하 마방진의 예
정의
유형마방진
분야조합론적 기하학
관련 개념마방진, 수도쿠
속성
설명숫자를 사용하는 대신 기하학적 도형을 사용
특징각 행과 열, 대각선에 있는 도형들의 합이 동일한 도형이 되도록 구성
예시사각형, 원, 삼각형 등의 도형을 사용하여 구성

2. 역사

수학자 에두아르 뤼카는 모든 3×3 마방진의 구조를 설명하는 잘 알려진 공식을 제시했다.[2] 이 분야에서 독창적인 연구를 수행한 토마스 샐로우스는[3] 뤼카 공식에 숨겨진 잠재력이 있을 것이라고 오랫동안 추측해 왔다.[4] 1997년, 샐로우스는 복소수를 사용하는 제곱을 연구한 짧은 논문을 발표하여 이러한 추측을 확증했는데, 이 방법은 모든 3×3 마방진을 복소 평면상의 고유한 평행사변형과 연관시키는 새로운 정리를 이끌어냈다.[5] 같은 맥락에서 결정적인 다음 단계는 뤼카 공식의 변수를 기하학적 형태로 해석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기하 마방진의 개념으로 직접 이어진 기발한 아이디어였다.[6]

이 발견은 다른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레크리에이션 수학 저널의 공동 편집자인 찰스 애시바처는 이 발견으로 마방진 분야가 "극적으로 확장"되었다고 평가했다.[7] 런던 수학회의 화이트헤드 상 수상자이자 오일러 메달 공동 수상자인 피터 캐머런은 기하 마방진을 "수학자가 아닌 사람들을 기쁘게 하고 수학자들에게 생각할 거리를 제공하는 훌륭한 새로운 레크리에이션 수학"이라고 칭찬했다.[8] 수학 작가 알렉스 벨로스는 "수천 년 동안 마방진을 연구한 후에 이런 것을 생각해 낸 것은 꽤 놀라운 일"이라고 언급했다.[9] 피터 캐머런은 기하 마방진이 퍼즐 연구 외 다른 분야에도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며 "이것으로 하고 싶은 많은 것을 즉시 알 수 있습니다."라고 덧붙였다.[9]

2. 1. 전통적인 마방진과의 관계

흔히 '기하 마방진'을 특정 종류의 마방진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오히려 모든 전통적인 마방진(덧셈 마방진)은 기하 마방진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모든 기하 마방진이 전통적인 마방진인 것은 아니다. 이러한 관계는 장폴 들라예가 Scientific American의 프랑스어 버전인 ''Pour la Science''에 기고한 글에서 제시한 아래 예시를 통해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11] 이 예시에서 오른쪽에 제시된 기하 마방진의 목표 "모양"은 단순히 길이가 15인 1차원 선분이며, 각 칸의 조각 역시 직선 선분이다. 즉, 오른쪽 기하 마방진은 왼쪽에 있는 수치 마방진을 기하학적으로 직접 변환한 것이다.

{|

|- style="vertical-align:bottom;"

| style="padding: 0 1em" |

목표 합: 15
492
357
816



|

| style="padding: 0 7em" |

목표 모양: ••••••••••••••• (길이 15)
•••••••••••••••
•••••••••••••••
••••••••••••••



|}

들라예는 "이 예시는 기하 마방진 개념이 마방진을 일반화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의 결과는 그다지 특별하지 않지만, 다행히도 이러한 변환의 결과가 아닌 다른 기하 마방진도 존재한다."라고 설명한다.[11][12]

핵심은 모든 수치 마방진이 위와 같이 1차원 기하 마방진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이다. 샐로우스는 "숫자를 특징으로 하는 전통적인 마방진은 요소가 모두 일차원인 '기하' 마방진의 특별한 경우로 드러난다"라고 언급했다.[13] 하지만 이것이 1차원 기하 마방진의 전부는 아니다. 왜냐하면 구성 요소가 ''분리된'' 선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어떤 수치 마방진으로도 표현할 수 없는 1차원 기하 마방진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1차원 기하 마방진만 고려하더라도, 전통적인 유형은 전체 기하 마방진 중에서 매우 작은 부분 집합에 불과하다.

3. 구성 방법

기하 마방진을 만드는 쉬운 방법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으며,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알려진 방법이 거의 없다.[10] 현재까지 주로 두 가지 접근 방식이 탐구되었다.[10]

첫 번째 방법은 사용될 조각이 반복되는 단위로 구성된 다각형이나 특정 모양일 경우, 컴퓨터를 이용하여 가능한 모든 조합을 탐색하는 완전 탐색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모든 조각이 동일한 단순한 기하 마방진에서 시작하여, 마방진의 기본 성질을 유지하면서 각 조각의 모양을 대수적 템플릿을 이용해 서로 다르게 수정하는 방식이다.

3. 1. 완전 탐색

기하 마방진을 만드는 쉬운 방법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며,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알려진 방법이 거의 없다.[10] 현재까지 두 가지 접근 방식이 탐구되었는데,[10] 그중 하나는 사용될 조각이 반복되는 단위로 구성된 다각형이나 모양일 경우 컴퓨터를 이용한 완전 탐색이다.

예를 들어, 먼저 사용할 조각의 크기(모두 같다면 해당 크기)와 목표하는 모양을 결정한다. 초기 프로그램은 주어진 조각들(예: 3개의 서로 다른 데코미노, 즉 크기가 10인 폴리오미노)로 목표 모양을 만들 수 있는 모든 가능한 타일링 조합의 목록 ''L''을 생성할 수 있다. 각 데코미노는 고유한 정수로 표현되므로, ''L''은 정수 세 개로 이루어진 묶음(삼중항)들의 목록이 된다. 다음 단계의 프로그램은 서로 다른 세 개의 삼중항으로 구성된 모든 조합을 차례로 검사한다. 이 검사는 후보 삼중항들을 3 × 3 정사각형의 행으로 배치한 뒤, 이렇게 형성된 각 열과 대각선에 있는 세 개의 정수 묶음 또한 목록 ''L''에 포함되는지(즉, 목표 타일링 조합인지)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만약 모든 행, 열, 대각선이 ''L''에 있는 삼중항이라면, 9개의 데코미노와 선택된 목표 모양을 사용하는 3 × 3 기하 마방진이 만들어진 것이다. 이 방법으로 마방진을 찾지 못하면 다른 목표 모양으로 다시 시도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의 개선된 버전을 사용하여 더 큰 정사각형이나 크기가 다른 조각을 포함하는 마방진을 찾는 것도 가능하다.

3. 2. 대수적 템플릿

대수적 템플릿을 이용하는 구성 방법은 모든 조각이 같은 모양인 단순한 기하 마방진에서 시작한다. 그 다음, 마방진의 마법적 성질을 유지하면서 각 조각을 서로 다르게 만들기 위해 모양을 수정한다. 이는 아래 제시된 대수적 템플릿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템플릿의 개별 변수는 해당 부호에 따라 초기 조각에 더하거나 빼야 하는 서로 다른 모양으로 해석된다.

그림 4: '자기 맞물림' 기하 마방진


그림 4는 템플릿의 기하학적 해석을 보여준다. 여기서 ''k''는 작은 정사각형 모양으로 해석되고, ''a'', ''b'', ''c'', ''d''는 (+) 돌출부와 (-) 들여쓰기를 나타내어 16개의 서로 다른 직소 퍼즐 조각을 만든다.

:\begin{array}



\hline

k+a+b & k-a+d & k-c-d & k-b+c \\

\hline

k+a-b & k-a-d & k-c+d & k+b+c \\

\hline

k-a-b & k+a-d & k+c+d & k+b-c \\

\hline

k-a+b & k+a+d & k+c-d & k-b-c \\

\hline

\end{array}

4. 특수한 형태

기하 마방진은 사용되는 조각의 형태나 배열 방식 등에서 전통적인 숫자 마방진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다양한 특수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림 2: 1부터 9까지 연속적인 크기의 폴리오미노 조각을 사용한 3×3 기하 마방진


그림 5: 목표 모양이 정육면체인 3차원 기하 마방진


우선, 기하 마방진을 구성하는 조각들은 데코미노나 폴리오미노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모든 조각의 크기가 같아야 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그림 2의 3×3 기하 마방진은 1부터 9까지 서로 다른 크기의 폴리오미노 조각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조각들이 각 행, 열, 대각선에서 동일한 목표 모양(가운데가 비어있는 4×4 정사각형)을 형성한다. 컴퓨터를 이용한 조사 결과, 이러한 조건(동일 크기, 동일 목표)을 만족하는 3×3 기하 마방진은 4,370가지나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모든 조각의 크기가 같은 경우에는 해의 개수가 훨씬 적어지는 경향이 관찰되지만, 아직 이를 설명할 명확한 이론적 근거는 없다.[8]

또한, 조각이 반드시 하나로 연결된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여러 개의 분리된 부분으로 이루어진 '분리된 조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분리된 조각들은 서로 겹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된 조각만으로는 불가능했던 방식으로 목표 영역을 채우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는 숫자 마방진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특별한 대칭성을 가진 기하 마방진을 가능하게 한다.[13]

기하 마방진은 평면뿐만 아니라 3차원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3차원 기하 마방진은 각 셀에 입체 조각들이 포함되며, 이 조각들이 행, 열, 대각선 등에서 결합하여 동일한 목표 입체 도형을 형성한다. 그림 5는 목표 모양이 정육면체인 3차원 기하 마방진의 예시이다.

이처럼 기하 마방진은 그 구조적 풍부함으로 인해 숫자 마방진으로는 불가능한 높은 수준의 '마법' 속성을 나타내거나, 기하학적 속성 외에 부가적인 특징을 갖는 경우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팬마방진과 같이 숫자로는 불가능한 배열이 기하학적으로 가능해지거나[13], 사용된 조각들이 자가 타일링 타일 세트를 구성하거나[14], 조각들이 직소 퍼즐처럼 서로 맞물리는 '자기 맞물림' 형태 등 다양한 특수 사례가 있다.

4. 1. 팬마방진 (Panmagic Square)

그림 3: 분리된 조각을 사용한 3×3 팬마방진


기하 마방진은 때때로 숫자 마방진으로는 불가능한 높은 수준의 '마법'을 보여주기도 한다. 팬마방진(Panmagic Square)은 행과 열뿐만 아니라 끊어진 대각선을 포함한 모든 대각선이 동일한 마법 속성(같은 목표 모양 형성)을 공유하는 마방진을 말한다.[13]

3×3 크기의 팬마방진은 숫자를 이용한 구성은 불가능하지만, 기하학적 형태로는 가능하다. 그림 3은 기하학적인 3×3 팬마방진의 한 예시이다. 이 마방진의 조각들은 서로 떨어진 여러 부분으로 구성된 '분리된 조각' 형태를 띤다. 이러한 분리된 조각은 서로 겹쳐 배치될 수 있어, 연결된 조각으로는 채울 수 없는 영역을 채우는 유연성을 가지며, 이는 숫자 마방진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특별한 대칭성을 가능하게 한다.[13] 연결된 조각만을 사용하여 3x3 팬마방진을 만든 사례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13]

4. 2. 자기 타일링 타일 세트 (Self-Tiling Tile Set)

기하 마방진 중에는 기하학적 속성 외에 추가적인 특징을 가지는 독특한 형태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그림 6에 제시된 기하 마방진은 행과 열에 대해서만 마법 속성을 만족하지만, 여기에 사용된 16개의 조각들은 특별히 자가 타일링 타일 세트(Self-Tiling Tile Set)를 이룬다. 자가 타일링 타일 세트란, 세트를 구성하는 ''n''개의 서로 다른 조각 각각이 전체 ''n''개 조각 모양의 축소된 복제본으로 다시 타일링될 수 있는 조각들의 집합을 의미한다.[14]

그림 6: 조각이 자가 타일링 타일 세트를 구성하는 기하 마방진

4. 3. 자기 맞물림 기하 마방진 (Self-Interlocking Geomagic Square)

자기 맞물림 기하 마방진은 조각들이 개별적인 셀 안에 분리되어 있지 않고, 서로 맞물려 전체적으로 정사각형 모양의 직소 퍼즐을 완성하는 형태이다. 이 방식에서는 16개의 조각들이 서로 결합하면서 동시에 사각형 셀의 형태 자체를 정의하게 된다.

5. 대중문화 속 기하 마방진

기하 마방진이 특징인 마카오 우표


2014년 10월 9일, 마카오 우체국은 마방진을 주제로 한 우표 시리즈를 발행했다.[15] 이 시리즈에는 샐로우즈(Sallows)가 제작한 기하 마방진 중 하나가 포함되었다.[16]

참조

[1] 웹사이트 Hidden geometric nuggets https://scilogs.fr/c[...] Jean-Paul Delahaye 2013-07-04
[2] 웹사이트 Alphamagic Squares http://library.think[...]
[3] 웹사이트 New advances with 4 × 4 magic squares http://www.magic-squ[...] Lee Sallows
[4] 문서 Sallows
[5] 간행물 The Lost Theorem http://www.multimagi[...] Lee Sallows 1997
[6] 웹사이트 Complex Projective 4-Space Where exciting things happen: Geomagic squares http://cp4space.word[...]
[7] 서적 Geometric Magic Squares http://www.maa.org/p[...] Charles Ashbacher 2013-09-24
[8] 뉴스 Magic squares are given a whole new dimension https://www.theguard[...] Alex Bellos 2011-04-03
[9] 뉴스 Ancient puzzle gets new lease of 'geomagical' life https://www.newscien[...] Jacob Aron 2011-01-24
[10] 문서 Sallows
[11] 간행물 Les carrés magiques géométriques https://www.pourlasc[...] Jean-Paul Delahaye 2013-06
[12] 문서 Cet exemple montre que la notion de carré géomagique généralise celle de carré magique. Le résultat n’est ici guère spectaculaire, mais heureusement, il existe d’autres carrés géomagiques ne provenant pas d’une telle traduction directe.
[13] 간행물 Geometric Magic Squares by Lee Sallows https://link.springe[...] 2011
[14] 서적 On Self-Tiling Tile Sets by Lee Sallows 2012-12
[15] 웹사이트 Macau Post Office web site https://www.macaupos[...] 2014-11-11
[16] 뉴스 Macau's magic square stamps just made philately even more nerdy https://www.theguard[...] Science 2014-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