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덕규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1941년에 태어나 2020년에 사망했다. 대전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6.3 항쟁 시위에 참여하여 투옥된 경력이 있다. 신민당 송원영 의원의 비서관으로 정계에 입문한 후, 민주한국당 전국구 국회의원, 평화민주당, 민주당,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 소속으로 제11, 13, 14, 16, 17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제17대 국회에서는 국회부의장을 역임했으며, 국회 행정경제위원장과 국회 정보위원장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주중학교 동문 - 김세웅
김세웅은 전라북도의회 의원, 무주군수를 거쳐 제18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무주군수 선거 낙선 및 선거비용 미반납 논란 등의 이력이 있다. - 무주중학교 동문 - 한상복
한상복은 대한민국의 해양학자로, 해양학 및 독도 연구에 기여하여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훈하고 연구 자료를 기증했다. - 무주초등학교 동문 - 김세웅
김세웅은 전라북도의회 의원, 무주군수를 거쳐 제18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무주군수 선거 낙선 및 선거비용 미반납 논란 등의 이력이 있다. - 무주초등학교 동문 - 한상복
한상복은 대한민국의 해양학자로, 해양학 및 독도 연구에 기여하여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훈하고 연구 자료를 기증했다. - 국립군산대학교 교수 - 주승용
주승용은 광주서석국민학교 등을 졸업하고 여천군수, 여수시장을 거쳐 제17대부터 제20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국립군산대학교 교수 - 김길준 (1933년)
김길준은 군산고등상업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고등고시에 합격하여 판사, 제11대 국회의원, 민선 군산시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김덕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덕규 |
한자 표기 | 金德圭 |
국가 | 대한민국 |
직책 | 국회부의장 |
대수 | 17 |
임기 | 2004년 6월 7일 ~ 2006년 5월 29일 |
전임 | 조부영 |
후임 | 이용희 |
출생일 | 1941년 3월 9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무주군 |
본관 | 신 안동(新 安東) |
사망일 | 2020년 4월 9일 |
학력 |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 |
배우자 | 전주 이씨 |
자녀 | 슬하 2남 |
종교 | 천주교(세례명: 스테파노) |
군복무 | 병역면제(고령)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의원 대수 | 11·13·14·16·17 |
의원 선수 | 5 |
경력 | |
주요 경력 | 송원영 국회의원 비서관 신민당 국회총무실 전문위원 신민당 중앙상무위원 민주한국당 국제부장 민주한국당 전당대회 부의장 5선(제11·13·14·16·17대) 국회의원 평화민주당 원내수석부총무 민주당 원내수석부총무 국회운영위원회 간사 신민주연합당 원내수석부총무 민주당 원내총무 권한대행 민주당 원내총무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간사 민주당 사무총장 국회 행정경제위원회 위원장 새정치국민회의 당무위원 새정치국민회의 지도위원 제15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수위원 한국산업단지공단 이사장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장 제17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통합민주당 최고위원 정통민주당 상임고문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개인 웹사이트 |
2. 생애
김덕규는 대전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신민당 송원영 국회의원의 비서관으로 정치 경력을 시작, 1981년 민주한국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본격적인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여러 차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과 낙선을 반복했다. 민주당 사무총장, 국회 행정경제위원장, 국회 정보위원장, 제17대 국회 전반기 국회부의장 등을 역임했다. 2020년 4월 9일, 79세로 별세했다.
2. 1. 초기 생애 및 학창 시절
1941년 전라북도 무주군 양반 가문에서 태어났다. 대전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한일기본조약 체결 당시 6.3 항쟁과 한미행정협정 개정 촉구 시위 등에 참여하다가 세 차례 투옥된 바 있다.2. 2. 정치 입문 및 활동
1941년, 전라북도 무주군 양반가에서 태어났다. 대전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한일기본조약 체결 당시 6.3 항쟁과 한미행정협정 개정촉구 시위 등에 참여하다가 세 차례 투옥된 적이 있다.이후 신민당 송원영 국회의원의 비서관으로 활동하며 정치에 입문하였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전라북도 진안군·무주군·장수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김광수 후보와 신민당 최성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민주당 송원영 후보와 민주정의당 권영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낙선 후 신한민주당에 입당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중랑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3년 민주당 사무총장에 임명되었다. 1994년 대한민국 국회 행정경제위원장에 선출되어 1996년까지 역임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국당 김충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8년부터 2000년까지 한국산업단지공단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1년부터 2004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정보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2006년까지 제17대 국회 전반기 국회부의장 직위로 재임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진성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정통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통합당 박홍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 3. 국회의원 활동 (13-14, 16-17대)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중랑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3년 민주당 사무총장에 임명되었고, 1994년 대한민국 국회 행정경제위원장에 선출되어 1996년까지 역임하였다.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국당 김충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8년부터 2000년까지 한국산업단지공단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2001년부터 2004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정보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2006년까지 제17대 국회 전반기 국회부의장 직위를 역임하였다.
2. 4. 국회의원 낙선 이후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같은 선거구(서울 중랑구 을)에 출마하였으나 신한국당 김충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8년부터 2000년까지 한국산업단지공단 이사장을 역임하였다.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진성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통합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정통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통합당 박홍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 5. 사망
김덕규는 2020년 4월 9일, 79세의 나이에 숙환으로 별세하였다.3. 학력
4. 가족 관계
- 배우자: 전주 이씨 이정이
- 장남: 김범진
- * 첫째 며느리: 이숙연
- 차남: 김욱진
- * 둘째 며느리: 김태연
5.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명 | 직책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78년 | 총선 | 국회의원 | 전북 진안군·무주군·장수군 | 무소속 | 7,446표 (8.04%) | 4위 | 낙선 | |
1981년 | 총선 | 국회의원 | 전국구 | 민주한국당 | 3,495,829표 (21.6%) | 전국구 24번 | 당선 | 초선 |
1985년 | 총선 | 국회의원 | 서울 동대문구 | 민주한국당 | 54,224표 (11.68%) | 3위 | 낙선 | |
1988년 | 총선 | 국회의원 | 서울 중랑구 을 | 평화민주당 | 31,328표 (29.04%) | 1위 | 당선 | 재선 |
1992년 | 총선 | 국회의원 | 서울 중랑구 을 | 민주당 | 51,368표 (44.30%) | 1위 | 당선 | 3선 |
1996년 | 총선 | 국회의원 | 서울 중랑구 을 | 새정치국민회의 | 39,940표 (37.11%) | 2위 | 낙선 | |
2000년 | 총선 | 국회의원 | 서울 중랑구 을 | 새천년민주당 | 41,425표 (45.86%) | 1위 | 당선 | 4선 |
2004년 | 총선 | 국회의원 | 서울 중랑구 을 | 열린우리당 | 49,871표 (49.44%) | 1위 | 당선 | 5선 |
2008년 | 총선 | 국회의원 | 서울 중랑구 을 | 통합민주당 | 27,870표 (35.56%) | 2위 | 낙선 | |
2012년 | 총선 | 국회의원 | 서울 중랑구 을 | 정통민주당 | 5,606표 (5.64%) | 3위 | 낙선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