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명용은 대한민국의 신학자이다.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독일 튀빙겐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장로회신학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와 총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명예교수이다. 칼 바르트의 신학을 소개한 저서 『칼 바르트의 신학』, 온 세상을 위한 온전한 신학을 의미하는 『온신학』 등을 저술했으며, 진화론과 창조론의 갈등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과학시대의 창조론』, 『진화인가, 창조인가? 최근의 과학적 발견과 신학이 내린 새로운 결론』을 출간했다. 한국조직신학회 회장, 칼 바르트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온신학아카데미 원장과 기독교세계관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로교 신학자 - 강원용
강원용은 함경남도 출신의 개신교 목사이자 사회운동가로, 경동교회 설립과 대화문화 아카데미 창설을 통해 한국 사회의 민주화와 인권 신장에 기여했으며, 언론, 사회,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장로교 신학자 - 백낙준
백낙준은 평안북도 출신의 교육자이자 정치인, 신학자로, 연희전문학교 총장과 문교부 장관, 참의원 의장 등을 역임하며 교육 및 정치 분야에서 활동했으나,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기도 하였으며 한국 사회와 교육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서울대학교 동문 - 김태권
김태권은 서울대학교에서 미학과 서양고전학을 전공한 대한민국의 만화가이자 작가로, 2002년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로 데뷔하여 역사, 인문학, 사회 비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인문학적 깊이와 풍자, 해학을 통해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작품들을 발표해왔다. - 서울대학교 동문 - 박주선
박주선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검사, 대통령비서실 법무비서관을 거쳐 국회의원, 국회 부의장, 당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대한석유협회 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 1952년 출생 - 이낙연
이낙연은 1952년 전라남도 영광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다가 4선 국회의원, 전라남도지사,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지낸 후 새로운미래를 창당하여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했다. - 1952년 출생 - 이학영
이학영은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학생 운동과 시민 사회 활동을 거쳐 남민전 사건으로 투옥되었으나 민주화 운동으로 사면되었으며, 경기 군포시에서 내리 4선 국회의원을 지낸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치인이다.
김명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52년 12월 20일 ()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신학자 |
분야 | 신학 |
학력 | |
학력 |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기독교학과 졸업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 (M.Div.) 독일 튀빙겐 대학교 신학 박사 |
경력 | |
경력 | 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장로회신학대학교 총장 역임 |
가족 | |
배우자 | 김선희 |
주요 저작 | |
주요 저작 | 《바르트와 종교》 《교회와 사회》 《기독교, 문화를 말하다》 《칼 바르트의 신학》 《한국교회, 길을 묻다》 《미래신학》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기독교》 《21세기 신학》 《한국교회, 개혁을 말하다》 《하나님은 누구신가》 《개혁신학의 새로운 전망》 《신학, 시대를 읽다》 |
외부 링크 | |
웹사이트 | 김명용 교수 홈페이지 |
2. 교육과 신학
김명용은 서울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 Div.) 및 대학원(Th. M.)을 졸업한 후, 독일 튀빙겐 대학교에서 칼 바르트의 신론을 연구하여 신학박사(Dr. theol.) 학위를 받았다. 지도교수는 '희망의 신학'으로 세계에 알려진 위르겐 몰트만 교수였다.[3] 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와 총장을 역임하고 은퇴 후, 현재 명예교수로 있다.
2. 1. 학력
2. 2. 신학 연구 및 활동
김명용은 독일 튀빙엔 대학교에서 칼 바르트(Karl Barth)의 신론을 연구하여 신학박사(Dr. theol.) 학위를 받았다. 지도교수는 '희망의 신학'으로 세계에 알려진 몰트만(Jürgen Moltmann) 교수였다.[3] 2007년 출간한 저서 『칼 바르트의 신학』은 칼 바르트의 신학을 매우 쉽고 정확하게 소개하여, 칼 바르트의 신학에 대해 가장 많이 읽히는 책 가운데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3]2014년 그가 총장으로 재임하던 시절 발표한 『온신학』(Ohn Theology/ Holistic Theology)은 온 세상을 위한 온전한 신학이란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2015년 독일의 세계적 신학전문지인 개신교신학(Evangelische Theologie)에 전문이 게재되면서 새롭게 떠오르는 아시아 신학으로 세계에 알려지게 되었다. 『온신학』은 현재 영어, 중국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헝가리어, 독일어, 말레이어 등 7개국 언어로 번역되어 있다.[3]
2020년 출간한 『과학시대의 창조론』과 2022년 출간한 『진화인가, 창조인가? 최근의 과학적 발견과 신학이 내린 새로운 결론』은 오랫동안 지속된 진화론과 창조론 사이의 갈등 문제에 대해 새로운 해결을 시도한 책이다. 김명용은 무신론적 진화론, 창조과학, 유신진화론이 모두 오류이며, 이 문제에 대한 바른 답은 하나님의 계속적 창조론이라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진화론은 하나님의 계속적 창조(creatio continua)를 오해한 이론이다. 그의 주장은 진화론과 창조론 논쟁에 새롭게 등장한 제3의 길로 평가받는다.[3]
김명용은 한국조직신학회 회장, 칼 바르트학회 회장, 생명신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했고, 2014년 자신이 설립한 온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온신학아카데미 원장과 기독교세계관연구소 소장이다. 한국 장로교(통합)의 대표적 신학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4] 종교개혁 신학을 존중하고, 복음적 신학과 하나님 나라를 향한 역사책임적 신학을 강조하는 신학자이다. 몰트만과 이종성이 그의 스승이다.[3]
3. 경력
4. 저서
제목 |
---|
열린신학 바른교회론 |
현대의 도전과 오늘의 조직신학 |
이 시대의 바른 기독교 사상 |
칼 바르트의 신학 |
온신학 |
온신학의 세계 |
과학시대의 창조론 |
진화인가, 창조인가? 최근의 과학적 발견과 신학이 내린 새로운 결론 |
5. 해외 논문
연도 | 논문 제목 | 수록 학술지/출판사 | 비고 |
---|---|---|---|
1985 | Der Gottesbegriff Karl Barths in der heutigen Diskussion|오늘날의 논의에 나타난 칼 바르트의 신 개념de | 튀빙겐 대학교 | 신학박사 논문 |
2003 | Reformed Pneumatology and Pentecostal Pneumatology|개혁주의 성령론과 오순절 성령론영어 | Refomed Theology (Eerdmans) | |
2006 | Ein Vergleich der Trinitatslehren von Karl Barth und Jurgen Moltmann|칼 바르트와 위르겐 몰트만의 삼위일체론 비교de | Der lebendige Gott als Trinitat (Guterslohrer) | |
2012 | The Reception of Karl Barth in Korea|한국에서의 칼 바르트 수용영어 | Dogmatics after Barth (CreateSpace) | |
2015 | Ohn Theology|온 신학de | Evangelische Theologie (Chr, Kaiser) |
참조
[1]
웹사이트
장로신대사람들
https://www.puts.ac.[...]
[2]
뉴스
아트코리아방송
http://www.artkoreat[...]
2016-07-16
[3]
뉴스
가스펠 투데이 2022년 11월 1면 톱 기사
가스펠 투데이
2022-11
[4]
문서
김명용의 신학은 장로회신학대학교의 대학교육 이념 제정에 영향을 미쳤고, 2015년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회가 발표한 광복 70주년 기념 신학성명에, 장신대의 신학방향이 “통전적(온) 신학”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장로회신학대학교의 대표적 신학자 중의 한 사람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