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범 (189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성범은 대한제국 시기 평안북도 초산 출생의 독립운동가이다. 1920년 천마별영에서 활동했으며, 광복군 총영에서 복무하며 군자금 모집, 친일파 처단 등의 활동을 전개했다. 1926년 체포되어 평양형무소에서 사형을 받고 순국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친왕 - 이곤 (1919년)
이곤은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손자이자 의친왕 이강의 아들인 조선 왕족으로, 토지 매각 사기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생활고를 고려받아 집행유예를 선고받았고, 말단직을 거쳐 국회 수위로 근무하다 홍릉 거주지 철거 과정에서 문화재 관리국과 갈등을 겪다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 의친왕 - 이석 (1941년)
대한제국 의친왕 이강의 아들인 이석은 가수로 활동하며 '비둘기 집' 등의 노래로 인기를 얻었고, 베트남 전쟁 참전 후 미국 이민을 거쳐 귀국하여 황실 문화 알리기에 힘쓰며 전주대학교 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 대한독립군단 - 김인 (독립운동가)
안동 김씨 가문 출신 독립운동가 김인은 상하이에서 대한제국 애국 관련 교육을 받고 대한독립군 감독관으로 활동하다 중국 청두에서 사망,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으며 대한민국 건국에 기여했다. - 대한독립군단 - 김홍일 (1898년)
김홍일은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 건국 후까지 군인, 독립운동가, 정치인,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중국 국민혁명군 소장, 한국광복군 참모장, 육군사관학교 교장, 제1군단장 등을 역임했고, 6.25 전쟁 당시 한강 방어선 구축에 기여했으며, 주중화민국 대사와 야당 정치인으로도 활동했다.
| 김성범 (1899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김성범 |
| 원래 이름 | 金成範 |
| 별명 | 호(號)는 산남(山南)·효휘(曉徽) |
| 출생지 | 대한제국 평안북도 초산 |
| 사망지 |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평양형무소에서 사형(총살형) 집행 |
| 본관 | 의성(義城) |
| 종교 | 유교(성리학) |
| 배우자 | 태원 선우씨 부인(1897년 4월 21일 출생 ~ 1922년 12월 27일 하세) |
| 자녀 | 김일련(외동아들) |
| 부모 | 김순욱(생부) 선우 순(모) 김기섭(의붓아버지) |
| 형제 | 김길란(친누나) |
| 친인척 | 김희선(손녀) 김학규(이부 남동생) 김봉수(의붓제수) 오광심(의붓제수) 김일현(의붓조카) 김일진(의붓조카) |
| 군 복무 | |
| 군별 | 대한독립군 |
| 복무 기간 | 1920년 2월 23일 ~ 1926년 8월 25일 |
| 계급 | 대한독립군 중사 |
| 근무 |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 대한독립군 총사령부 총영 예하 분대 |
| 참전 | 천마별영 평북 항일 전쟁 |
| 지휘 | 분대장 |
| 정치 활동 | |
| 소속 정당 | 무소속 |
| 주요 경력 | 한국독립당 당무위원 겸 행정위원(1925년) |
|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 |
| 국가 | 대한 임정 |
| 직책 | 군무부 행정관 직무대리 |
| 상급자 | 김희선 대한 임정 군무총장 직무대리 |
| 하급자 | 김희선 대한 임정 군무차장 |
| 임기 | 1920년 9월 16일 ~ 1920년 10월 1일 |
| 대통령 | 이승만 대한 임정 대통령 |
| 총리 | 이동휘 대한 임정 국무총리 |
| 부의장 | 김구 대한 임정 임시 의정원 의장 대리 |
| 직책2 | 군무부 예속 광복군 총영 연참총장 예하 군사행정비서관 |
| 임기2 | 1920년 10월 1일 ~ 1920년 10월 23일 |
| 대통령2 | 이승만 (대한 임정 대통령) |
| 참모장2 | 이탁 (대한 임정 광복군 총영 연합총장) |
| 총리2 | 이동휘 (대한 임정 국무총리) |
| 부의장2 | 김구 (대한 임정 임시 의정원 의장 대리) |
| 훈장 | |
| 서훈 | 1995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
| 웹사이트 | |
2. 생애
김성범은 대한제국 평안북도 초산에서 향리 유자였던 김순욱(1878년 6월 13일 ~ 1898년 11월 16일)의 1남 1녀 중 막내이자 유복자로 출생하였다. 평안북도 의주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냈고 평안남도 평원에서 성장하였다.
1919년 3·1 운동 이후, 1920년 2월부터 천마별영(天摩別營)에서 활동하였다. 1920년 9월, 중화민국 둥베이 지방 펑톈 성 단둥 부 콴뎬 현 안자구(安子溝)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 광복군 총영(光復軍 總營)이 결성될 때 천마별영에서 2년간 복무하다가 1922년 벽파별영(碧波別營)으로 옮겨 활동했고, 1923년 다시 천마별영에 복귀하여 복무하였다.
천마별영은 1920년 2월 최시흥이 구한국군 출신들을 중심으로 평안북도 의주군 고령삭면 천마산에서 조직한 부대였다. 김성범은 천마별영 원년 구성원으로 사령부 오장(伍長) 직책을 맡아 결사대를 이끌고 국경을 46회나 넘나들며 초산, 창성, 벽동, 강계, 희천, 태천 등지에서 군자금 모집, 친일파 처단, 면사무소 습격 등의 활동을 20여 회나 전개하였다.
1926년 8월 11일, 평안남도 평양을 떠나 영변군 소림면 추동 산속에 잠복해 있다가 8월 22일 평안북도 영변 경찰에 체포되었다. 평양 복심법원에서 사형을 선고받은 그는 수십여 일간 단식 투쟁을 벌이다 1930년 3월 17일 평양형무소에서 사형이 집행되어 순국하였다.
2. 1. 출생과 성장
그는 대한제국 평안북도 초산에서 향리 유자(鄕里 儒者)였던 효휘 김순욱(曉徽 金純旭, 1878년 6월 13일 ~ 1898년 11월 16일) 선생의 슬하 1남 1녀 중 막내이자 유복자로 출생하여 지난날 한때 평안북도 의주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평안남도 평원에서 성장하였다.2. 2. 청년 시절과 독립운동
1919년 3·1 대한 독립 만세 운동 이후 1920년 2월, 천마별영(天摩別營)에서 활동하였다. 1920년 9월, 중화민국 둥베이 지방 펑톈 성 단둥 부 콴뎬 현 안자구(安子溝)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의 광복군 총영(光復軍 總營)이 결성되었다. 이 단체는 대한청년단연합회, 대한독립단, 한족회를 통합하여 편성한 것이다. 김성범은 천마별영에서 2년간 복무하다가 1922년 벽파별영(碧波別營)으로 옮겨 활동했고, 1923년 천마별영에 다시 복귀하여 복무하였다.천마별영은 1920년 2월 최시흥(崔時興)이 구한국군 출신들을 중심으로 평안북도 의주군 고령삭면 천마산에서 조직하였다. 김성범도 천마별영의 원년 구성원으로 복무하였다. 주요 인물로는 사령장 최시흥, 부관 최지풍, 참모 박응백·박영찬·최윤희, 경리 김세진, 중대장 최의집, 소대장 김상옥·김용택 등이 있었다. 이들은 평안북도 삭주, 의주, 구성, 창성 등지에서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하였다. 김성범은 천마단 사령부 오장(伍長)으로서 결사대를 이끌고 46회나 국경을 넘나들며 초산, 창성, 벽동, 강계, 희천, 태천 등지에서 군자금 모집, 친일파 처단, 면사무소 습격 등의 활동을 20여 회나 전개하였다.
2. 3. 체포와 순국
그는 대한독립군 전투 전개를 활성화하던 중 1926년 8월 11일을 기하여 평안남도 평양을 떠나 1926년 8월 22일 평안북도 영변군 소림면 추동 산속에 잠복하여 있다가 평안북도 영변 경찰에 체포되었다. 김성범은 평양 복심법원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수십여 일간 단식을 하며 투쟁하다가 1930년 3월 17일, 평양형무소에서 사형이 집행되어 순국하였다.3. 사후
사후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1995년 3월 1일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