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한 (교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영한은 대한민국의 개신교 신학자이자 철학자로, 1971년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및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숭실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동 대학교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기독교학술원 원장, 한국개혁신학회 회장, 한국해석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고, 샬롬나비 상임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기독교신앙개설』, 『바르트에서 몰트만까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 전영택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개신교 목사인 전영택은 1919년 한국 최초의 문학 동인지 《창조》를 창간하고, 단편소설 〈화수분〉, 〈소〉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개신교 관련 간행물 발행, 중앙신학교 및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한국문인협회 초대 회장 등을 역임했다. -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 윤항기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목사이자 음악학자인 윤항기는 가수 윤복희의 오빠이며, 연세대학교와 미드웨스트 신학대학교, 트리니티 신학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 후 예음종합예술원 명예원장 겸 명예학장, 예음교회 담임목사 등으로 활동했다. - 백석대학교 교수 - 조덕영
조덕영은 참기쁜교회 담임목사이자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등에서 강의하며 창조신학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는 조직신학자로, 자연과학과 신학의 관계를 탐구하고 창조론 연구 및 알리기에 힘썼으며, 한국문학연구회와 기독월간지에서 활동하며 저서와 논문을 발표하고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을 수상했다. - 백석대학교 교수 - 류근찬
류근찬은 KBS 기자 및 앵커 출신으로 보도국장과 보도본부장을 역임한 언론인이자, 자유민주연합을 시작으로 여러 정당에서 당직을 맡고 제17대, 18대 국회의원과 자유선진당 원내대표를 지낸 정치인이다. - 한신대학교 교수 - 김상곤
김상곤은 대한민국의 교육인,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한신대학교 교수, 경기도교육감,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한국교직원공제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 한신대학교 교수 - 전영택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개신교 목사인 전영택은 1919년 한국 최초의 문학 동인지 《창조》를 창간하고, 단편소설 〈화수분〉, 〈소〉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개신교 관련 간행물 발행, 중앙신학교 및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한국문인협회 초대 회장 등을 역임했다.
김영한 (교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김영한 | |
개인 정보 | |
이름 | 김영한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일 | 1946년 10월 18일 |
종교 | 개신교 (예장통합) |
학력 | |
학위 | 철학박사(Dr. Phil.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신학박사(Dr. theol.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
경력 | |
직업 | 대학교수(조직신학, 기독교철학) |
주요 경력 | 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명예교수 |
활동 기간 | 1971년 ~ 현재 |
학문 분야 | |
학파 | 서구적 기독교 철학 |
2. 학력
김영한은 1971년 서울대학교 문리과 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1974년에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철학부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5년부터 1977년까지 마르부르크 대학교 신학부에서 연구원으로 있었다. 1984년에는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신학부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4년부터 1985년까지 미국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방문학자(Visiting Scholar)로, 1990년부터 1991년까지 영국 캠브리지 대학 신학부에서 방문학자로, 1991년부터 1992년까지 미국 예일 대학교 신학부에서 방문 연구원(Visiting Fellow)으로 있었다. 2004년 3월부터 8월까지 독일 복훔대 신학부에서 방문학자로, 2004년 9월부터 2005년 2월까지 미국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방문학자로 있었다.
3. 경력
3. 1. 교계 경력
김영한은 1980년 4월 대한예수교 장로회(통합) 남노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1978년부터 1982년까지, 그리고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숭실대학교 교목실장을 역임했다. 1986년부터 1989년까지 할렐루야교회 부목사, 1992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교회 부목사로 활동했다.
1994년부터 1998년까지 한국 기독교총연합회 남북교회협력위원회 위원을 지냈고, 1996년부터 1998년까지는 한국 기독교총연합회 통일정책위원회 총무를 맡았다. 2002년부터 현재까지 한국복음주의협의회 신학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2010년 6월부터는 샬롬나비(샬롬을 꿈꾸는 나비행동, 개혁주의 이론실천학회) 상임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3. 2. 학계 경력
김영한은 1978년 3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숭실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1978년부터 1982년까지 조교수, 1982년부터 1987년까지 부교수, 1987년부터 현재까지 정교수로 재직했다. 1999년부터 2012년까지 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정교수를 역임했다. 2012년 3월부터는 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명예교수로 있다.
1982년부터 1998년까지 기독교학술원 창립 및 부원장을 역임했고, 1998년부터 현재까지 기독교학술원 2대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1986년부터 1989년, 1991년부터 2003년까지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장을 역임했다.
1996년부터 2004년까지 한국개혁신학회 창립 및 초대, 2대, 3대 회장을 역임했고, 2004년부터 현재까지 한국개혁신학회 고문으로 있다. 1998년부터 2004년까지 한국기독교철학회 창립 및 부회장을 역임했고, 2006년부터 현재까지 한국기독교철학회 제 4대, 5대, 6대 회장을 맡고 있다.
1998년부터 2003년까지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설립, 초대, 2대, 3대 대학원장을 역임했고, 2005년부터 2009년까지 5대, 6대 대학원장을 역임했다.
1986년 4월부터 1996년 4월, 2004년 4월부터 2006년 4월까지 한국 복음주의 신학회 학회지 「성경과 신학」 편집위원을 맡았다. 1996년 4월부터 2000년 4월까지 한국복음주의신학회 부회장, 2000년부터 2002년까지 한국복음주의신학회장을 역임했다. 2009년부터 현재까지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고문으로 있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한국해석학회장을 역임했고, 2006년 9월부터 현재까지 한국해석학회 고문으로 있다. 2008년부터 현재 아시아 복음주의 연맹 신학위원장을 맡고 있다.
그 외에도 1986년부터 1987년까지 서울대 기독교 동문회장을 역임했고, 1989년부터 현재까지 자유지성 300인회 이사, 1995년부터 현재까지 서울대 총동창회 이사, 2000년 3월부터 현재까지 서울대 기독교동문회 증경회장단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1984년에서 1985년에는 프린스턴 신학대학원, 1990년에서 1991년에는 예일 대학교 신학부, 2004년 3월부터 8월까지는 보훔 루르 대학교 신학부, 2004년 9월부터 2005년 2월까지 프린스턴 신학대학원에서 방문학자로 있었다.
4. 저서
김영한은 다음과 같은 국문 저서를 저술하였다.
- 『기독교신앙개설』 (형설출판사, 1982, 1995( 완전개정판))
- 『바르트에서 몰트만까지』 (대한기독교서회, 1982, 2001(20판))
- 『현대신학의 전망』 (대한기독교서회, 1984, 1992(5판))
- 『하이데거에서 리꾀르까지』 (박영사, 1987, 1994(4판))
- 『현대신학과 개혁신학』 (대학촌, 1990)
- 『평화통일과 한국기독교』 (풍만, 1990)
- 『한국기독교문화신학』 (성광문화사, 1992)
- 『개혁신학이란 무엇인가』 (IVP, 1994)
- 『21세기와 개혁신학』 (한국 장로교 출판사, 1998)
- 제 1권, 21세기와 개혁사상, 387쪽
- 제 2권, 포스트모더니즘과 개혁신학, 285쪽
- 제 3권, 개혁신학의 현대적 이해, 573쪽
- 『헬무트 틸리케』 (살림 출판사, 2005년)
- 『21세기 문화신학 시리즈』 (예영 커뮤니케이션)
- 제 1권, 21세기 세계관과 개혁신앙, 2006년 8월, 360쪽
- 제 2권, 21C 문화변혁과 개혁신앙., 2007년 5월, 368쪽
- 제 3권, 21C 사이버-및 생명문화 개혁신앙. 2007년 9월, 464쪽
- 제 4권,『21세기 한국기독교문화와 개혁신앙』, 2008년 4월
- 『포스트모던 시대의 세계관』 (숭실대 출판부, 2009년 2월)
- 『기독교 세계관』 (기독교 세계관 시리즈 제 1권, 숭실대 출판부, 2010년 2월)
- 『안토니우스에서 베니딕트』 (정통 기독교영성가 시리즈(1), 서울: 기독교학술원 출판사, 2011년 2월)
- 쉴라이에르마허/Schleiermacherde에서 리꾀르/Ricoeur프랑스어까지』 (현대 철학적 해석학의 흐름, 숭실대 출판부, 2011년 2월)
- 『개혁주의 평화통일신학 - 선진사회적 자유민주통일론 -』 (숭실대 출판부, 2012)
- 『영적분별: 개혁신학의 입장에서 본』 (킹덤북스, 2014)
- 『나세렛 예수: 개혁정통신앙에서 본』 (제 1권, 킹덤북스, 2017)
- 『나세렛 예수: 개혁정통신앙에서 본』 (제 2권, 킹덤북스, 2021)
4. 1. 국문 저서
김영한은 다음과 같은 국문 저서를 저술하였다.- 『기독교신앙개설』 (형설출판사, 1982, 1995( 완전개정판))
- 『바르트에서 몰트만까지』 (대한기독교서회, 1982, 2001(20판))
- 『현대신학의 전망』 (대한기독교서회, 1984, 1992(5판))
- 『하이데거에서 리꾀르까지』 (박영사, 1987, 1994(4판))
- 『현대신학과 개혁신학』 (대학촌, 1990)
- 『평화통일과 한국기독교』 (풍만, 1990)
- 『한국기독교문화신학』 (성광문화사, 1992)
- 『개혁신학이란 무엇인가』 (IVP, 1994)
- 『21세기와 개혁신학』 (한국 장로교 출판사, 1998)
- 『헬무트 틸리케』 (살림 출판사, 2005년)
- 『21세기 문화신학 시리즈』 (예영 커뮤니케이션)
- 『포스트모던 시대의 세계관』 (숭실대 출판부, 2009년 2월)
- 『기독교 세계관』 (기독교 세계관 시리즈 제 1권, 숭실대 출판부, 2010년 2월)
- 『안토니우스에서 베니딕트』 (정통 기독교영성가 시리즈(1), 서울: 기독교학술원 출판사, 2011년 2월)
- 쉴라이에르마허/Schleiermacherde에서 리꾀르/Ricoeur프랑스어까지』 (현대 철학적 해석학의 흐름, 숭실대 출판부, 2011년 2월)
- 『개혁주의 평화통일신학 - 선진사회적 자유민주통일론 -』 (숭실대 출판부, 2012)
- 『영적분별: 개혁신학의 입장에서 본』 (킹덤북스, 2014)
- 『나세렛 예수: 개혁정통신앙에서 본』 (제 1권, 킹덤북스, 2017)
- 『나세렛 예수: 개혁정통신앙에서 본』 (제 2권, 킹덤북스, 2021)
4. 2. 영문 저서 및 논문
- ''Husserl und Natorp. Studien zur Letztbegründung der Philosophie bei Husserls Phänomenologie und Natorps Neukantianisher Theorie.'' (phil. Diss. Heidelberg, 1974)
- ''Phänomenologie und Theologie. Studien zur Fruchtbarmachung des Husserlschen transzendental-phänomenologischen Denkens zum christlich-dogmatischen Denken.'' (theol. Diss. Heidelberg, 1984)
- "Spiritual Challenge of the Twenty-First Century," in ''Reformed Theology: Identity and Ecumenicity'', Vol. I, ed. by Wallace M. Alston Jr. and Mirchael Welker (Eerdmans: 2003), 3-19.
- "A Century of Soong Sil and the Second Century," in ''Asia and a Christian College in the 21st Century'' (August 1998), 253-274.
- 후설의 초월 현상학적 사유 속의 신/Gott in Husserls Transcendental-Phenomenological Thinkingde, in ''Phänomenologie in Korea'', ed. by Kah-Kyung Cho and Jeon Sook Hahn, Orbis Phaenomenologicus (Freiburg, Munich: Alber2001), 129-155.
- "The Task of Reformed Theology in the 21st Century in Korean Context," in ''Bible and Theology'', Vol. XXX, The Proposition of Korean Evangelical Theology to Western Theology (Korean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2001), 96-114.
- "The Idea of a Transformed Hermeneutics," in ''Evangelical Review of Theology'', ed. by David Parker, Vol. 25, No. 3 (July 2001), 196-209.
- "The Proposition of Korean Evangelical Theology to Western Theology," in ''Bible and Theology'', Vol. XXX, The Proposition of Korean Evangelical Theology to Western Theology (Korean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2002), 6-11.
- "Reformed Theology of the 21st Century: Identity and Ecumenicity: Reformed Theology as Transformative Cultural Theology," in ''Reformed Theology: Identity and Ecumenicity'', ed. by Wallace M. Alston & Michael Welker (Grand Rapids: Eerdmans, 2003), 3-19.
- "The Unity and Diversity of Evangelicalism," in ''Bible and Theology'', Vol. 35 (April 25, 2004), 17.
- "Christianity and Korean Culture: The Reason for the Success of Korean Christianity," in ''EXCHANGE'', Vol. 33, No. 2 (E. J. Brill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June 30, 2004), 132-152.
- "Culture in the 21st Century and Reformed Faith," in ''The Journal of Korean Christian Studies'', Vol. 36 (October 31, 2004), 73-95.
- 한국의 새로운 문화 신학/Korea's New Cultural Theologyde, in ''Zeitschrift für Evangelische Ethik'', 50, Jg. Gütersloher Verlagahaus (March 2006), 60-69.
- "Reformed Evangelical Theology," in ''International Journal for Christian Studies'', Vol. 1 (June 1, 2006), Graduate School of Christian Studies/Department of Christian Studies, Soongsil University, 2006, 13-34.
- "The Identity and Scientificity of Theology," in ''International Journal for Christian Studies'', Vol. III (June 1, 2007), Graduate School of Christian Studies/Department of Christian Studies, Soongsil University, 15-46.
- "Critical Reflection on Barth and Van Til in the Reformed Tradition," in ''International Journal for Christian Studies'', Soongsil University (June 2008), 15-33.
- "Towards an Open Orthodox Reformed Theology; Reflections on Traditional Western Theology & Desirable Theological Movement for the Korean Church," in ''KIMCHI Theology Journal'' (December 2009).
5. 상훈
김영한은 1989년 저서 『하이데거에서 리꾀르까지』로 열암학술상을 수상했다. 1993년에는 저서 『한국기독교문화신학』으로 한국기독교출판문화최우수저작상을 받았다. 1999년에는 저서 『21세기와 개혁신학』 I, II, III로 숭실대학교 교수저작상을 수상했다. 2011년과 2012년에는 교육분야 숭실펠로십교수(SFP, Soongsil Fellowship Professor)로 선정되었으며, 2012년 대한민국 옥조근정훈장을 수여받았다.
참조
[1]
간행물
Korea Reformed Theology Society
2022-05-00
[2]
뉴스
Yung Han Kim, "Yung Han Kim Chairman of Korea Reformed Theological Society"
http://news.joins.co[...]
Joongang News Paper
1996-04-05
[3]
웹사이트
Shalomnabi Homepage
http://shalomnabi.co[...]
[4]
뉴스
shalomnabi conference
http://news.kmib.co.[...]
Kukminilbo
2017-04-01
[5]
웹사이트
Korea Evangelical Theological Society
http://www.kets.kr
[6]
웹사이트
Korea Society for Hermeneutics
http://www.hermes.or[...]
[7]
뉴스
Christian Philosophy Society
http://news.naver.co[...]
[8]
웹사이트
Korea Reformed Theology Society Homepage
https://krts.jams.or[...]
[9]
논문
On the identity of Korean Evangelical Theology -Toward the Reformed Evangelical Theology
http://www.riss.kr/s[...]
[10]
Youtube
Heidelberg Caeechism (1563)
https://www.youtube.[...]
[11]
웹사이트
Yung-Han Kim, Korea Theological Seminary Library
http://lib.kts.ac.kr[...]
[12]
뉴스
Reformation Tradition, Present Salvation and Eschatological Judgment
http://www.christian[...]
Christiantoday
2017-09-01
[13]
간행물
Gadamer's Hermeneutics
http://dlps.nanet.go[...]
Korea Hermeneutic Society
1985-00-00
[14]
뉴스
Rewarded on Studies on Hermeneutics
http://newslibrary.n[...]
1989-12-08
[15]
웹사이트
Korea Christian Culture Institute
http://news.naver.co[...]
[16]
뉴스
Luther and Zwingli and Calvin on Spirituality
http://www.christian[...]
Christian Daily News
2017-09-04
[17]
뉴스
김영한, 개혁신학회 초대회장에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1996-04-05
[18]
논문
김영한 박사님의 정년퇴임 기념호를 내면서
http://210.101.116.2[...]
한국개혁신학회
2011-00-00
[19]
웹사이트
김영한의 글들
http://www.newspow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