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영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영택은 일제강점기 시대의 소설가, 목사, 언론인이며, 한국 문학 초창기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그는 평양 대성학교, 일본 아오야마가쿠인 대학, 미국 퍼시픽 신학교 등에서 기독교 신학을 공부했으며, 김동인, 주요한 등과 함께 동인지 《창조》를 발간하며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해방 후에는 조선민주당 당료, 문교부 편집국장 등을 지냈으며, 중앙신학교, 감리교신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1961년에는 한국 문인협회 초대 회장을 지냈으며, 1968년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주요 작품으로 소설 《화수분》, 《소》 등이 있으며, 찬송가 〈내 진정 사모하는〉을 번역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남대학교 교수 - 김행숙
    김행숙은 1970년 서울 출생으로 고려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1999년 등단하여 실험적인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시집 《사춘기》를 출간하고 노작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현재 강남대학교에서 한국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 강남대학교 교수 - 노재헌
    노재헌은 노태우 전 대통령의 장남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정치학 및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5.18 민주 묘지 참배 등 활동을 하였고, 제20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국민통합위원회 정치분과위원을 지냈다.
  • 조선민주당 당원 - 조만식
    조만식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민족주의 지도자이자 독립운동가로, 간디의 비폭력 저항 사상에 영향을 받아 실력 양성 운동에 참여하고 신탁통치 반대 운동을 주도했으나, 한국 전쟁 중 처형되었다.
  • 조선민주당 당원 - 이윤영 (1890년)
    3·1 운동 참여, 신사참배 저항 등의 활동을 한 일제강점기 목사이자 교육자이며 해방 후 조선민주당 창당, 제헌 국회의원, 무임소장관, 사회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신흥대학 학장을 지낸 정치인이다.
  •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 윤항기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목사이자 음악학자인 윤항기는 가수 윤복희의 오빠이며, 연세대학교와 미드웨스트 신학대학교, 트리니티 신학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 후 예음종합예술원 명예원장 겸 명예학장, 예음교회 담임목사 등으로 활동했다.
  •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 김성진 (철학자)
    김성진은 소비에트 소련 군정 시대에 출생하여 고려대학교,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고대 그리스 철학, 중세 기독교 철학, 환경 생태 철학을 연구했으며, 철학 상담 치료 분야의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철학자이다.
전영택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전영택
한글전영택
한자田榮澤
일본어 가나でん えいたく
일본어 가타카나チョニョンテク
출생일1894년 1월 18일
출생지조선 평안도 평양
사망일1968년 1월 16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신설동
필명호(號)는 늘봄·추호(秋湖)
직업소설가, 수필가, 목회자, 대학 교수
국적대한민국
본관담양
활동 기간1918년~1968년
언어조선어
종교개신교(장로회)
학력 및 경력
학력미국 캘리포니아 주 퍼시픽 신학교 학사
경력중앙신학교 교수
감리교신학교 교수
한국문인협회 초대 이사장
문학 활동
장르소설, 수필
주요 작품단편 소설 - 〈화수분〉, 〈소〉, 〈천치(天痴)냐? 천재(天才)냐?〉
장편 소설 - 《청춘곡》
수필 - 《하늘을 바라보는 여인》, 《어머니가 그리워》, 《의의 태양》
데뷔 작품
수상
수상대한민국 문화 포상 대통령상(1963.12.31.)
기타
웹사이트두피디아 전영택

2. 생애

그는 일제 강점기 시대 초중기에는, 평양 대성학교를 거쳐, 일본 도쿄 아오야마 학원 문학부와 신학부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 주 퍼시픽 신학교(태평양 신학교)를 나오는 등, 주로 기독교 신학을 공부하였다. 1945년 8월 15일에 을유해방이 도래한 직후에, 평남 평양에서부터 삼팔선 남쪽으로 넘어오면서 미군정 시대의 수도 서울로 월남해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중앙신학교 교수(1953년~1955년)와 감리교신학교 교수(1955년~1956년)를 지냈다.

1894년 1월 18일 평양시 사창동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농업 경영자인 田錫泳(전석영), 어머니는 康順愛(강순애)이다. 8남매 중 셋째 아들이다. 5세부터 한문을 배우고, 아버지가 설립한 보동학교를 13세에 졸업했다. 17세에 경성의 관립 의학교에 입학했으나,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의 청산학원 중학교 4학년에 편입했다. 이후 청산학원 대학 문학부를 졸업하고 신학부에 재입학했다. 이 무렵 김동인, 주요한, 오천석 등과 함께 동인지 『창조』를 발간했다. 1919년 도쿄 유학생들의 독립 시위에 참가하고 3월에 귀국했다. 4월 29일 삼숭학교 교사인 채혜수와 결혼했으나, 독립운동 관련 혐의로 다음 날 아내가 체포되었다. 채혜수 대신 삼숭학교에 부임하여 교장이 되었다. 1921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청산학원에 복학하여 1923년 신학부를 졸업했다.

1930년 미국으로 건너가 캘리포니아주의 태평양 신학교에 재학하며 독립운동 단체인 흥사단에 가입했다. 해방 후에는 목사 활동보다 집필에 힘썼으며, 1960년에는 서울시 문화상을 수상했고, 이듬해에는 한국문인협회 초대 회장에 취임했다. 1968년 1월 16일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김포의 기독교 메소디스트 협회 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전영택은 일제 시대 평양 대성고등보통학교 속성과정을 졸업하였다.(1911년) 이후 일본 도쿄 아오야마 학원에서 문학부와 신학부 전문학사 학위를 각각 1916년과 1921년에 취득하였다. 1926년에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퍼시픽 신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2. 2. 문학 활동과 사회 참여

1918년 춘사 김동인, 송아 주요한 등과 함께 한반도 한민족 최초의 문학 동인지 《창조》를 주도적으로 창간하였으며, 1935년 기독교 잡지 《새 사람》을 발행하였다. 그는 자작 소설 《화수분》에서도 가난한 이들의 삶을 있는 그대로 그리되, 저체온증으로 죽은 화수분 내외 품안에서 엄마, 아빠의 몸 온도 덕분에 살아남은 아기를 나뭇꾼이 구원한다는 결말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전소설 시대와 신소설 시대를 거쳐 자리잡은 근대 소설 문학 처음의 작가로 리얼하면서도, 아무리 심리적으로도 기독교 사상 곧 가난한 이들에 대한 따뜻한 인정을 보여 주었다.

2. 3. 광복 이후 활동

1945년 광복 후 조선민주당 당료, 문교부 편수국장 등을 지냈으며 중앙신학교(강남대학교감리교신학교(감리교신학대학교)의 교수·국립 맹아학교 교장·개신교예장합동에서 발행하는 신문기독신문 주간·《신생명》 주필·기독교 문학인 클럽 회장을 지냈다. 한국 전쟁 이후에는 소설 발표보다 장로교 목사로 주력 활동을 했으며, 1961년 문인협회 초대 이사장에 취임하였다. 1963년 대한민국 문화 포상 대통령상을 받았다.

1968년 1월 16일, 기독교 방송국기독교연합신문사에 기고문을 올리고 동대문구 이문동의 자택으로 돌아가기 위해 오후 3시 50분경 종로구 종로2가에서 전차를 타려고 길을 건너다가 코로나 택시에 치여 후송됐고, 그 날 저녁 사망했다. 같은 해 6월 16일에 교통사고로 인해 김수영 시인이 별세했기 때문에, 1968년은 문학사(文學史)에서 큰사람을 두 분이나 잃은 해이기도 하다. 1969년 1월 16일한신대학교 설립자인 장공 김재준 목사가 전영택 작가를 1주기 추모했는데, 성품이 너그럽고 어진 분이라 누구나 그 분 앞에서는 솔직하게 자신의 생각을 말했다고 한다.

2. 4. 사망

3. 작품 세계

1918년 춘사 김동인, 송아 주요한 등과 함께 한반도 한민족 최초의 문학 동인지 《창조》를 주도적으로 창간하였다. 1935년 기독교 잡지 《새 사람》을 발행하였다. 그는 자작 소설 《화수분》에서도 가난한 이들의 삶을 있는 그대로 그렸는데, 저체온증으로 죽은 화수분 내외 품안에서 엄마, 아빠의 몸 온도 덕분에 살아남은 아기를 나뭇꾼이 구원한다는 결말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전소설 시대와 신소설 시대를 거쳐 자리잡은 근대 소설 문학 처음의 작가로 리얼하면서도, 아무리 심리적으로도 기독교 사상 곧 가난한 이들에 대한 따뜻한 인정을 보여 주었다.

중앙대학교 오창은 연구교수가 쓴 논문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68271 식민지 지식인의 근대 인식과 윤리의식-전영택 단편소설 연구]에서 전영택의 문학 세계를 확인할 수 있다.

3. 1. 초기 소설

1918년 춘사 김동인, 송아 주요한 등과 함께 한반도 한민족 최초의 문학 동인지 《창조》를 주도적으로 창간하였다. 1935년 기독교 잡지 《새 사람》을 발행하였다. 그는 자작 소설 《화수분》에서도 가난한 이들의 삶을 있는 그대로 그렸는데, 저체온증으로 죽은 화수분 내외 품안에서 엄마, 아빠의 몸 온도 덕분에 살아남은 아기를 나뭇꾼이 구원한다는 결말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전소설 시대와 신소설 시대를 거쳐 자리잡은 근대 소설 문학 처음의 작가로 리얼하면서도, 아무리 심리적으로도 기독교 사상 곧 가난한 이들에 대한 따뜻한 인정을 보여 주었다.

전영택 작가/목사의 문학세계 등에 대한 논문은 중앙대학교 오창은 연구교수가 쓴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68271 식민지 지식인의 근대 인식과 윤리의식-전영택 단편소설 연구]가 있다.

3. 2. 기독교적 세계관

중앙대학교 오창은 연구교수가 쓴 논문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68271 식민지 지식인의 근대 인식과 윤리의식-전영택 단편소설 연구]에서 전영택의 문학 세계를 확인할 수 있다.

3. 3. 사회 참여적 문학

중앙대학교 오창은 연구교수가 쓴 논문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68271 식민지 지식인의 근대 인식과 윤리의식-전영택 단편소설 연구]에서 전영택의 문학 세계를 살펴볼 수 있다.

4. 연보


  • 1894년 1월 8일, 평양성 내 사창동에서 태어났다. 6월, 청일전쟁으로 평양성 외곽 서면 금려대(金呂岱)로 이주하였다.
  • 1901년, 보동학교에 입학하였다.
  • 1907년, 평양의 대성학교에 입학하였다.
  • 1910년, 대성학교 중퇴 후 삼숭학교 교원이 되었다. 이 해, 김창식 목사로부터 세례를 받았다.
  • 1911년, 경성의 관립의학교에 입학하였다.
  • 1912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의 아오야마가쿠인 중학교 4학년에 편입하였다.
  • 1915년, 아오야마가쿠인 고등학부 문과를 거쳐 대학 문학부에 입학하였다.
  • 1918년, 아오야마가쿠인대학 문학부 졸업. 동교의 신학부에 재입학하였다. 12월, 동인지 『창조』를 발간하였다.
  • 1919년 3월, 귀국하였다. 4월, 채혜수와 결혼하였다.
  • 1921년, 일본으로 건너가 아오야마가쿠인 신학부에 복학하였다.
  • 1923년, 장녀가 태어났다. 아오야마가쿠인 신학부를 졸업하고 귀국하였다. 서울감리교신학교 교수를 역임하였다.
  • 1927년, 서울의 아현교회 목사로 임명되었다.
  • 1930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태평양신학교에 입학하였다. 시카고흥사단에 입단하였다.
  • 1932년, 태평양신학교를 수료하고 귀국하였다.
  • 1933년, 황해도의 기독교감리교봉산교회에 부임하였다.
  • 1935년, 잡지 『세사람』을 발간하였다. 경성에서 1937년까지 기독교신문사 주간을 역임하였다.
  • 1938년, 평양요한학교, 동여자성경학교에 근무하였다.
  • 1944년, 평양신리교회에서의 설교가 반일적이라는 이유로 체포되었다.
  • 1945년, 해방과 동시에 조선민주당의 문교부장이 되었다.
  • 1946년, 서울의 문교부 편집국 편집관을 역임하였다.
  • 1947년, 1950년까지 국립맹아학교장을 역임하였다.
  • 1948년, 중앙신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하였다.
  • 1949년, 감리교신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하였다.
  • 1952년, 일본으로 건너가 재일본도쿄한국복음신문 주간을 맡았다.
  • 1954년, 1961년까지 대한기독교문서출판교회, 기독교서회 편집국장을 맡았다.
  • 1960년, 서울시문화상을 수상하였다.
  • 1961년, 한국문인협회 초대 회장을 역임하였다.
  • 1963년 8월 15일, 대한민국문화포장을 수훈받았다. 기독교계몽교 회장을 맡았다.
  • 1968년 1월 16일, 교통사고로 서거하였다.

5. 작품 목록

작품으로 단편소설 〈화수분〉, 〈소〉와 장편 《청춘곡》 등이 있으며, 저서로 수필집 《하늘을 바라보는 여인》, 《어머니가 그리워》, 《의의 태양》 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논설집·수필집 등이 있다. 개신교 목사인 전영택은 구세군 신자인 찰스 윌리엄 프라이(Charles W. Fry, 1838년-1882년)가 구약성서 아가서 2장 1절「나는 샤론의 수선화요, 골짜기의 백합화로다」를 모티브로 작사한 찬송가 〈릴리 오브 더 밸리/''Lily of the Velly''영어〉를 〈내 진정 사모하는〉(통일찬송가 88장)라는 제목으로 번역하였다.[4] 1943년에는 개신교에서 신사참배를 하자, 전영택 목사는 회개를 요구하는 성가/찬송가인 [https://www.youtube.com/watch?v=jIH9U5lJ6wM 어서 돌아오오](새찬송가 527장, 성공회성가 215장)의 가사를 짓고, 음악가박재훈 목사가 전영택 목사가 지은 가사에 을 붙임으로써 하나님의 자비와 사랑을 노래하였으며, 루가복음서 15장에 나오는 탕자의 비유번안한 일화를 자주 들려주었다. 어느 아들이 재물과 패물을 가지고 집을 나갔는데, 탕진하고 집에 돌아오니 엄마가 아들이 오기를 기다리면서 이사도 안 가셨다는 일화이다. 복음서 저자들처럼, 전영택 목사도 기독교 사상을 이해하고 서사문학으로써 이야기를 들려주는 이야기꾼(서술자)이었다.[4]

5. 1. 단편 소설

전영택의 단편 소설로는 〈화수분〉, 〈소〉 등이 있다.[4] 그 외에도 〈천치냐 천재냐〉(1919), 〈운명〉(1919), 〈독약을 마시는 여자〉(1920), 〈K와 그 어머니의 죽음〉(1921), 〈사진〉(1925), 〈흰닭〉(1925), 〈홍련과 백련〉(1925), 〈바람 부는 저녁〉(1927), 〈후회〉(1929), 〈남매〉(1940), 〈첫미음〉(1940), 〈크리스마스 새벽〉(1948), 〈하늘을 바라보는 여자〉(1949), 〈김탄실과 그 아들〉(1955), 〈외로움〉(1955), 〈집〉(1957), 〈돌팔이와 그 아내〉(1959), 〈해바라기〉(1959), 〈금붕어〉(1959), 〈한 마리 양〉(1959), 〈눈 내리는 오후〉(1959), 〈크리스마스 전야의 풍경〉(1960), 〈방황〉(1960), 〈차돌멩이〉(1961), 〈새일파이〉(1964), 〈말없는 사람〉(1964) 등이 있다. 개신교 목사였던 전영택은 구세군 신자인 찰스 윌리엄 프라이가 구약성서 아가서 2장 1절을 모티브로 작사한 찬송가를 〈내 진정 사모하는〉으로 번역하였다.[4] 또한, 1943년 신사참배에 대한 회개를 촉구하는 찬송가 [https://www.youtube.com/watch?v=jIH9U5lJ6wM 어서 돌아오오]의 가사를 짓고, 박재훈 목사가 곡을 붙였다.[4] 전영택은 루가복음서 15장에 나오는 탕자의 비유를 번안한 이야기를 자주 들려주었는데, 이는 복음서 저자들처럼 기독교 사상을 서사문학으로 풀어내는 이야기꾼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준다.[4]

5. 2. 중・장편 소설

전영택은 단편소설 〈화수분〉, 〈소〉와 장편 《청춘곡》 등을 발표했다.[4] 저서로는 수필집 《하늘을 바라보는 여인》, 《어머니가 그리워》, 《의의 태양》 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논설집·수필집 등이 있다. 개신교 목사였던 그는 구세군 신자인 찰스 윌리엄 프라이가 구약성서 아가서 2장 1절을 모티브로 작사한 찬송가 〈''Lily of the Velly''〉를 〈내 진정 사모하는〉으로 번역하였다.[4] 1943년 신사참배에 대한 회개를 요구하는 찬송가인 [https://www.youtube.com/watch?v=jIH9U5lJ6wM 어서 돌아오오]의 가사를 짓고, 박재훈 목사가 을 붙여 하나님의 자비와 사랑을 노래했다.[4] 루가복음서 15장에 나오는 탕자의 비유번안한 일화를 자주 들려주었는데, 어느 아들이 재물과 패물을 가지고 집을 나갔다가 탕진하고 돌아오니, 어머니가 아들이 오기를 기다리면서 이사도 가지 않았다는 이야기이다.[4] 전영택은 복음서 저자들처럼 기독교 사상을 이해하고 서사문학으로써 이야기를 들려주는 이야기꾼(서술자)이었다.[4]

5. 3. 수필집

저서로 수필집 《하늘을 바라보는 여인》, 《어머니가 그리워》, 《의의 태양》 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논설집·수필집 등이 있다.[4]

5. 4. 기타

작품으로 단편소설 〈화수분〉, 〈소〉와 장편 《청춘곡》 등이 있으며, 저서로 수필집 《하늘을 바라보는 여인》, 《어머니가 그리워》, 《의의 태양》 등이 있다. 그 밖에도 논설집·수필집 등이 있다. 개신교 목사인 전영택은 구세군 신자인 찰스 윌리엄 프라이(Charles W. Fry, 1838년-1882년)가 구약성서 아가서 2장 1절「나는 샤론의 수선화요, 골짜기의 백합화로다」를 모티브로 작사한 찬송가 〈''Lily of the Velly''〉를 〈내 진정 사모하는〉(통일찬송가 88장)라는 제목으로 번역하였다.[4] 1943년에는 개신교에서 신사참배를 하자, 전영택 목사는 회개를 요구하는 성가/찬송가인 [https://www.youtube.com/watch?v=jIH9U5lJ6wM 어서 돌아오오](새찬송가 527장, 성공회성가 215장)의 가사를 짓고, 음악가박재훈 목사가 전영택 목사가 지은 가사에 을 붙임으로써 하나님의 자비와 사랑을 노래하였다.[4] 루가복음서 15장에 나오는 탕자의 비유번안한 일화를 자주 들려주었는데, 어느 아들이 재물과 패물을 가지고 집을 나갔는데, 탕진하고 집에 돌아오니 엄마가 아들이 오기를 기다리면서 이사도 안 가셨다는 이야기이다.[4] 복음서 저자들처럼, 전영택 목사도 기독교 사상을 이해하고 서사문학으로써 이야기를 들려주는 이야기꾼(서술자)이었다.[4]

참조

[1] 웹사이트 인물 지식(人物知識) http://k.daum.net/qn[...] 2011-09-21
[2] 웹사이트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2011-09-21
[3] 뉴스 택시에 치여 숨진「따뜻한生活(생활)의作家(작가)」田榮澤(전영택)씨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8-01-17
[4] 웹사이트 구세군 자료실 http://salvationarm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