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정 (양궁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효정은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로, 여주여자종합고등학교와 강남대학교를 졸업했다. 1993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조윤정, 이은경, 이희정과 함께 여자 단체전 금메달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메달리스트 - 김우진 (양궁 선수)
김우진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2관왕을 시작으로 세계 선수권, 올림픽에서 다수의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양궁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양궁 선수이다. -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메달리스트 - 김진호 (양궁 선수)
김진호는 '신궁의 원조'로 불리는 대한민국의 전 양궁 선수로, 세계 선수권 대회 5관왕,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동메달, 서울 아시안 게임 3관왕 등을 달성하며 명성을 떨쳤고, 은퇴 후 한국체육대학교 교수를 거쳐 대학원장으로 선임되었으며 그의 이름을 딴 양궁장도 존재한다. - 대한민국의 여자 양궁 선수 - 김진호 (양궁 선수)
김진호는 '신궁의 원조'로 불리는 대한민국의 전 양궁 선수로, 세계 선수권 대회 5관왕,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동메달, 서울 아시안 게임 3관왕 등을 달성하며 명성을 떨쳤고, 은퇴 후 한국체육대학교 교수를 거쳐 대학원장으로 선임되었으며 그의 이름을 딴 양궁장도 존재한다. - 대한민국의 여자 양궁 선수 - 최미선 (양궁 선수)
최미선은 2013년 국가대표 발탁 후 2015년 월드컵 우승, 2016년 리우 올림픽 단체전 금메달, 2017년 세계 선수권 금메달 등 국제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이다. -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메달리스트 - 김우진 (양궁 선수)
김우진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2관왕을 시작으로 세계 선수권, 올림픽에서 다수의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한민국 양궁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양궁 선수이다. -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메달리스트 - 최미선 (양궁 선수)
최미선은 2013년 국가대표 발탁 후 2015년 월드컵 우승, 2016년 리우 올림픽 단체전 금메달, 2017년 세계 선수권 금메달 등 국제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대한민국의 양궁 선수이다.
김효정 (양궁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명 | 金孝貞 |
본명 | 김효정 |
로마자 표기 | Gim Hyo-jeong |
출생일 | 1977년 6월 27일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양궁 선수 |
메달 기록 | |
금메달 | 1993 안탈랴 개인전 |
금메달 | 1993 안탈랴 단체전 |
2. 생애
여주여자종합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강남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93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모두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3.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리커브 여자 단체 금메달리스트
연도 우승 국가 금메달리스트 1937 영국 사이먼, 루이자 샌드퍼드, 네틀턴, E. 앳킨슨 1938 폴란드 쿠르코프스카, 두바이바, 스코루프스카 1939 폴란드 쿠르코프스카, 슈치친스카, 구지안카 1946 영국 버, 네틀턴, 빌슨 1947 덴마크 트롤센, 젠슨, 레슬로프, 라스무센 1948 체코슬로바키아 피코바, 사치바, 레슬로프, 로코바 1949 영국 워터하우스, 피셔, 버 1950 핀란드 스톨베리, 파르타넨, 라이나 내스만, 살로논 1952 미국 리, J. 리처드, C. 리처드 1953 핀란드 산타오자, 부르마이스터, 밀리넨, 파르타넨 1955 영국 워너, 심슨, 플라워 1957 미국 마인하트, 클라크, 슈미트 1958 미국 마인하트, 코비, 세비 1959 미국 마인하트, 코비, 샤인 1961 미국 쿡, 본더하이데, 프라이 1963 미국 쿡, 본더하이데, 넬슨 1965 미국 앰보르스키, 손튼, 밀스 1967 폴란드 몽친스카, 피스코레크, 시드워프스카 1969 소련 코지나, 갑첸코, 오브라스초바 1971 폴란드 몽친스카, 쇼슐레르빌레이토, 시드워프스카 1973 소련 갑첸코, 코브판, 로사베리제 1975 소련 루스타모바, 코브판, 홀츠마이어 1977 미국 라이언, 다우벤스펙, 로우 1979 대한민국 김진호, 황숙주, 박영숙, 안재순 1981 소련 부투조바, 로사베리제, 로고바 1983 대한민국 김미영, 김진호, 정재봉, 박영숙 1985 소련 솔다토바, 아르잔니코바, 루스타모바, 곰보자포바 1987 소련 아르잔니코바, 루스타모바, 마르펠 1989 대한민국 김수녕, 김경욱, 왕희경, 박미경 1991 대한민국 김수녕, 이은경, 이선희, 조윤정 1993 대한민국 조윤정, 이은경, 김효정, 이희정 1995 대한민국 염연자, 김조순, 황진해 1997 대한민국 김두리, 김조순, 강현지 1999 이탈리아 알데가니, 이오리아티, 발레예바 2001 중국 장쥐안쥐안, 허잉, 양젠핑 2003 대한민국 윤미진, 이현정, 박성현 2005 대한민국 윤미진, 이특영, 박성현 2007 대한민국 최은영, 이특영, 박성현 2009 대한민국 주현정, 곽예지, 윤옥희 2011 이탈리아 발레예바, 사르토리, 토마시 2013 대한민국 장혜진, 기보배, 윤옥희 2015 러시아 다시도르지예바, 페로바, 스테파노바 2017 대한민국 장혜진, 최미선, 강채영 2019 중화 타이베이 레이첸잉, 펑자마오, 탕야팅 2021 대한민국 안산, 장민희, 강채영 2023 독일 바우어, 크로펜, 슈바르츠
3. 1. 1930년대 ~ 1980년대
(내용 없음)
3. 2. 1990년대 ~ 현재
1990년대 이후 세계 양궁 선수권 대회 리커브 여자 단체전에서는 대한민국 여자 양궁 대표팀의 뛰어난 활약이 두드러졌다. 대한민국은 이 시기 이후 개최된 거의 대부분의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여자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하며 독보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대한민국의 압도적인 강세 속에서도 이탈리아, 중국, 러시아, 대만, 독일 등 다양한 국가의 선수들이 금메달을 획득하며 경쟁 구도를 형성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 여자 양궁 대표팀은 꾸준히 세계 정상급 기량을 선보이며 양궁 최강국으로서의 면모를 과시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