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렛에서 발굴된 조지아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사렛에서 발굴된 조지아 문자는 나사렛에서 발견된 단편적인 비문들로, 가장 오래된 조지아 문자 기록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 비문들은 5세기로 추정되며, 사도 바울, 예수 그리스도, 기오르기를 언급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시나이 반도에서도 조지아 문자가 새겨진 비문들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순례자들이 남긴 것으로 추정된다. 나사렛 비문은 이베리아의 기독교화 이후 조지아 기독교인들의 성지 순례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베르너 자이비트는 팔레스타인으로 망명한 조지아 수도사들에 의해 조지아 문자가 발명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아 문자 - 파르나바즈 1세
파르나바즈 1세는 카르틀리 왕국의 초대 왕으로, 아존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라 왕국을 강화했으며 조지아 문자를 창제했다는 전승으로 조지아 역사에서 건국 영웅으로 추앙받는다. - 시나이산 - 성녀 가타리나 수도원
성녀 가타리나 수도원은 이집트 시나이 반도에 위치한 동방 정교회 수도원이며, 527년에서 565년 사이에 건축되었고,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지붕 트러스와 고대 필사본을 소장한 도서관을 갖추었으며, 2002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나사렛에서 발굴된 조지아 문자 | |
---|---|
개요 | |
이름 | 나사렛과 시나이의 조지아 낙서 |
재료 | 회반죽 |
문자 | 아솜타브룰리 |
언어 | 초기 고대 조지아어 |
제작 시기 | 5세기 |
발견 시기 | 1950년대 |
위치 | 이스라엘 나사렛 이집트 시나이산 |
2. 나사렛 비문
나사렛에서 발견된 조지아 문자는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단편적인 형태이다. 그리스 문자, 시리아 문자, 라틴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와 함께 고대 신전 유적의 석고에 새겨져 발견되었으며, 잔 에. 테일러에 의해 파괴된 비잔틴 제국 교회 모자이크 포장 아래에서 발견된 이 유적은 340년에서 427년 사이로 추정된다.[12][13] 따라서 나사렛의 초기 성소는 330년에서 427년 사이로 추정되며, 조지아 문자 및 기타 낙서들은 이 연대기적 틀 내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4세기 중반에서 5세기 사이의 연대는 그리스어 및 시리아어 비문에는 적합해 보이지만, 아르메니아어 및 조지아어 낙서에는 너무 이른 시기이다. 나사렛에서 발견된 조지아 비문은 5세기로 추정된다.[14]
유대 사막에서 발견된 조지아 비르 엘 쿠트 비문과 함께, 이 낙서 비문들은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조지아 비문이다.[5] 이는 이베리아의 기독교화 직후 조지아 기독교인들의 성지로의 초기 순례를 보여준다. 베르너 자이비트는 조지아 문자가 시리아-팔레스타인에서 망명한 조지아 수도사들에 의해 발명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이들은 팔레스타인에서 비잔틴 사령관이었던 이베리아의 바쿠리우스와 같은 고위 귀족 출신의 동포들의 지원을 받았을 수 있다고 보았다.[15]
2. 1. 해독된 비문
네 개의 비문 중 완전한 문장으로 해독할 수 있는 것은 단 하나뿐인데, 이는 다음과 같은 네 개의 약자로 구성되어 있다.[5][9]:ႥႪႤ
:ႪႨ
:'''음역:''' ''vle li''
:'''번역:''' "사도 바울"
:ႸႤ ႨႳ ႵႤ ႢႨ
:'''음역:''' ''she iu ke gi''
:'''번역:''' "예수 그리스도, 기오르기를 불쌍히 여기소서".
2. 2. 연구 및 보존
나사렛에서 발견된 조지아 유물은 조지아 역사가이자 언어학자인 자자 알렉시제에 의해 연구 및 발표되었다.[5] 이 유물들은 수태고지 그리스 정교회 근처 프란체스코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5]3. 시나이 비문
시나이 반도에서는 총 12개의 조지아 문자 비문이 발견되었다. 이 비문들은 순례자들이 시나이의 성소로 가거나 돌아오는 길에 남긴 것이다. 비문 대부분은 비교적 낮고 접근하기 쉬운 곳에 새겨져 있으며, 글자는 대개 작아서 크기가 몇 센티미터를 넘지 않는다. 가장 큰 비문조차 글자 높이가 12cm에 불과하여 기념비적인 성격을 띠지는 않는다.[11]
3. 1. 발견 장소
비문들은 와디 무카탑과 와디 하가그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 이 두 지역은 비잔틴 시대와 초기 이슬람 시대에 순례자들이 많이 지나다니는 주요 경로였다.[10]3. 2. 비문의 내용
조지아 문자 | 음역 | 번역 |
---|---|---|
ႵႤ ႦႭႱႨႫႤ ႸႤ | ke zosime she | "예수 그리스도, 조시메를 불쌍히 여기소서". |
ႵႤ ႸႪႤ ႫႬჂ | ke shle mny | "예수 그리스도, 당신의 수도승을 불쌍히 여기소서". |
ႼႭ ႱႨႬႠ ႸႤ ႫႤ ႼႭ | tsʼo sina she me tsʼo | "거룩한 시나이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오 거룩한 자여". |
ႣႤ ႠႫ | de am | "위대함, 아멘". |
ႭႭ ႸႤ ႫႨႱႵႨ ႸႤ ႾႪႬႨ ႢႡႪ | oo she miski / she khlni / gbl | "오, 주님, 미스키를 불쌍히 여기소서, 가브리엘의 열매(?)를 불쌍히 여기소서". |
ႤႣ ႢႥ | ed gv | "기도를 위해" (?) |
ႢႰႨႢႭႪ | "그리골" |
4. 연대 추정
나사렛에서 발견된 조지아 문자는 그리스 문자, 시리아 문자, 라틴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와 함께 고대 신전 유적의 석고에 새겨져 발견되었다.[12][13]
4. 1. 초기 연대 추정
잔 에. 테일러는 파괴된 비잔틴 제국 교회 모자이크 포장 아래에서 발견된 유적이 340년에서 427년 사이로 추정된다고 밝혔다.[12][13] 따라서 나사렛의 초기 성소는 330년에서 427년 사이로 추정되며, 조지아 문자 및 기타 낙서들은 이 연대기적 틀 안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4세기 중반에서 5세기 사이의 연대는 그리스어 및 시리아어 비문에는 적합해 보이지만, 아르메니아어 및 조지아어 낙서에는 매우 이른 시기이다. 나사렛에서 발견된 조지아 비문은 5세기로 추정된다.[14]4. 2. 5세기 추정
나자렛에서 발견된 조지아 비문은 5세기로 추정된다.[14] 조지아 유물은 조지아 역사가이자 언어학자인 자자 알렉시제가 연구 및 발표하였다. 이 모든 유물들은 수태고지 그리스 정교회 근처 프란체스코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5]유대 사막에서 발견된 조지아 비르 엘 쿠트 비문과 함께, 이 낙서 비문들은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조지아 비문이다.[5] 이것들은 이베리아의 기독교화 직후 조지아 기독교인들의 성지로의 초기 순례를 보여준다.
4. 3. 가장 오래된 기록
유대 사막에서 발견된 조지아 비르 엘 쿠트 비문과 함께, 이 낙서 비문들은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조지아 비문이다.[5] 이는 이베리아의 기독교화 직후 조지아 기독교인들의 성지로의 초기 순례를 보여준다. 베르너 자이비트는 조지아 문자가 시리아-팔레스타인에서 망명한 조지아 수도사들에 의해 발명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이들은 팔레스타인에서 비잔틴 사령관이었던 이베리아의 바쿠리우스와 같은 고위 귀족 출신 동포들의 지원을 받았을 수 있다고 추정한다.[15]5. 역사적 의의
이 비문들은 이베리아의 기독교화 직후 조지아 기독교인들의 성지 순례를 보여준다.[15] 베르너 자이비트는 조지아 문자가 시리아-팔레스타인에서 망명한 조지아 수도사들에 의해 발명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15] 이들은 팔레스타인에서 비잔틴 사령관이었던 이베리아의 바쿠리우스와 같은 고위 귀족 출신의 동포들의 지원을 받았을 수 있다.[15]
6. 관련 연구
나자렛에서 발견된 조지아 문자는 이베리아의 기독교화 직후 조지아 기독교인들의 성지로의 초기 순례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5] 이 유물들은 조지아의 역사가이자 언어학자인 자자 알렉시제에 의해 연구 및 발표되었으며, 현재 수태고지 그리스 정교회 근처 프란체스코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5]
베르너 자이비트는 조지아 문자가 시리아-팔레스타인에서 망명한 조지아 수도사들에 의해 발명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이 수도사들이 팔레스타인에서 비잔틴 사령관을 지낸 이베리아의 바쿠리우스와 같은 고위 귀족 출신 동포들의 지원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한다.[15]
다음은 관련 연구 자료들이다.
- 조지아 전통 문화, 역사와 문학. 트빌리시 2017[5]
- B. Bagatti, Excavations in Nazareth. I: From the Beginning till the XII Century (SBF. Collectio Maior 17), Jerusalem 1969[5]
- Z. Alexidze, “Louvre, Mt. Sinai, Nazareth: Epigraphic Etudes”, Tbilisi 2000, 10-25 (in Georgian).[5]
- 코도니어, J. S. (2014) 기독교 국가를 위한 새로운 알파벳: 4세기에서 10세기 사이 비잔틴 연방의 변경 전략, 바야돌리드 대학교
- 체카노베츠, Y. (2018) 성지의 코카서스 고고학: 4세기에서 11세기 사이의 아르메니아, 조지아, 알바니아 공동체, 브릴, 라이덴/보스턴
- 체카노베츠, Y. (2011) 성지에 대한 초기 조지아 순례, Liber Annuus 61
- 후르칠라바, B. (2018) 성지에서 조지아인의 흔적, 트빌리시
참조
[1]
서적
Tchekhanovets (2011), p. 464
[2]
서적
Tchekhanovets (2011), p. 457
[3]
서적
Khurtsilava, p. 37
[4]
서적
Khurtsilava, p. 14
[5]
서적
Tchekhanovets, pp. 193–195
[6]
서적
Tchekhanovets (2011), p. 458
[7]
서적
Tchekhanovets (2011), p. 466
[8]
서적
Khurtsilava, p. 145
[9]
서적
Tchekhanovets (2011), p. 459
[10]
서적
Tchekhanovets (2011), p. 462
[11]
서적
Tchekhanovets (2011), p. 463
[12]
서적
Codoñer, p. 137
[13]
서적
Khurtsilava, p. 38
[14]
서적
The Caucasian Archaeology of the Holy Land: Armenian, Georgian and Albanian communities between the fourth and eleventh centuries CE
https://www.google.c[...]
BRILL
2018-05-07
[15]
서적
Codoñer, p. 13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