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콘시탐마랏 왕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콘시탐마랏 왕국은 13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존재했던 타이족의 도시 국가로, 현재의 태국 남부에 위치했다. 13세기 수코타이 왕국의 조공국으로 시작하여 아유타야 왕국 시기에는 독립성을 유지하며 번영을 누렸으나, 18세기 톤부리 왕국과 라타나코신 왕국에 차례로 복속되었다. 19세기 말, 시암의 테사피반 개혁으로 시암에 완전히 병합되어 몬톤 나콘시탐마랏의 일부가 되었다. 이 왕국은 12개의 낙삿 도시(Mueang Sip-Song Naksat)에 둘러싸여 있었으며, 통치자들은 다양한 칭호로 불렸으나, 시암에 복속된 후에는 행정관으로 격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나콘시탐마랏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나콘시탐마랏 왕국 |
태국어 명칭 | อาณาจักรนครศรีธรรมราช |
로마자 표기 | Anachak Nakhon Si Thammarat |
시대 | 중세, 근세 |
존속 상태 | 수코타이 왕국(약 1283–1438)의 종속국, 아유타야 왕국(16세기–1767)의 종속국, 톤부리 왕국(1769–1782)의 종속국, 라따나코신 왕국(1782)의 종속국 |
건국 | 타이 왕국 설립 (13세기) |
수코타이 속국 | 약 1279–1298년 |
아유타야 속국 | 16세기 |
아유타야 2차 멸망 | 1767년 |
톤부리 속국 | 1769년 |
해체 | 라따나코신 왕국의 지방으로 격하 (1782년) |
이전 국가 | 탐브랄링가 |
이후 국가 | 라따나코신 왕국 |
위치 | |
수도 | 나콘시탐마랏(리고르) |
언어 | |
공용어 | 수코타이 문자 – 공식 (1283년-17세기 후반) 남부 태국어(Early Modern Southern Thai) – 공식 (17세기 후반) 크메르어 – 링구아 프랑카 산스크리트어 및 팔리어 – 종교 및 의례용 말레이어 – 말레이인 사이에서 사용 다양한 중국어 방언 – 중국인 사이에서 사용 |
종교 | |
종교 | 상좌부 불교(주류), 이슬람교, 힌두교 |
정치 | |
정치 체제 | 군주제 |
국왕 | 스리 탐마소카라즈 |
재위 시작 | 1283년 |
통화 | |
통화 | 알 수 없음 |
2. 역사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10~13세기에 있었던 탐브라링가 왕조를 나콘시탐마랏의 전임으로 간주하고 있다.
나콘시탐마랏의 역사는 크게 수코타이 시기, 아유타야 시기, 톤부리 시기, 라따나꼬신 시기, 그리고 시암 중앙국가로의 합병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각 시기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수코타이 시기 (13세기 - 14세기):''' 람캄행 비석에 따르면 나콘시탐마랏은 수코타이의 최남단 조공국이었다. 람캄행 사후 독립하여 말레이 반도에서 지배적인 세력이 되었다.
- '''아유타야 시기 (14세기 - 18세기):''' 나콘시탐마랏은 아유타야의 1급 주로, 자체적인 왕조를 유지하며 번영했다. 아유타야 왕위 계승 전쟁과 시암 혁명에서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 '''톤부리 시기 (18세기):''' 버마-시암 전쟁 이후 잠시 독립했으나, 딱신 대왕에게 다시 복속되었다.
- '''라따나꼬신 시기 (18세기 - 19세기):''' 나콘시탐마랏 군주의 지위가 격하되고, 남부 주들을 관리하는 장관의 감독을 받았다.
- '''시암 중앙국가로의 합병 (19세기 - 20세기):''' 테사피반 개혁으로 나콘시탐마랏 왕국은 시암에 완전히 흡수되었고, 몬톤 나콘시탐마랏의 일부가 되었다.
2. 1. 수코타이 시기 (13세기 - 14세기)
타이족은 1000년을 전후로 동남아시아 대륙부로 확장하였다. 13세기까지 이들은 나콘시탐마랏을 도시국가, 즉 '므앙'(mueang)으로 만들었다.[27] 이 지역에서 초기 불교 왕국과 인도화 왕국을 타이족들이 접수하였던 정확한 배경은 불분명하다.
1283년 혹은 1292년 세워진 람캄행 비석은 나콘시탐마랏을 수코타이 최남단 조공국으로 기재하고 있다. 당시 수코타이 국왕은 람 캄행 국왕의 친척 스리 탐마소카라지였을 것이다. 나콘시탐마랏의 상좌부불교(Theravada) 전통은 수코타이 왕국 전체의 모범이었다.[28] 동남아시아 만달라(Mandala)의 전형이며, 수코타이에 대한 종속은 개인적이었으며 제도에 관한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람캄행 사후 나콘시탐마랏은 독립했고 말레이 반도에서 지배적인 타이족 므앙이 되었다.
2. 2. 아유타야 시기 (14세기 - 18세기)
1365년 자바 고대 기록 데사와르나나는 마자파히트 제국이 나콘시탐마랏을 시암의 일부로 인식했다고 기록했다.[29] 1468년 트라일록 왕의 팔라틴 법은 나콘시탐마랏을 아유타야 왕국에 속한 8개의 '큰 도시(프라야 마하 나콘, phraya maha nakhon)' 중 하나로 규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콘시탐마랏은 자체적인 왕조와 속국을 유지하며 어느 정도 독립성을 유지했다.[30]나레수안 대왕(재위 1590-1605) 통치 시기에 나콘시탐마랏은 '1급 주(무에앙 엑, mueang ek)'가 되었지만, 주 행정관은 구 나콘시탐마랏 왕조에서 세습되었다. 나콘시탐마랏은 아유타야 남부에서 가장 중요한 주였으며, 해외 무역을 통해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1629년 아유타야 왕위 계승 전쟁에서 나콘시탐마랏은 프라삿 통 왕에게 반기를 들었다. 프라삿 통은 영향력 있던 일본인 모험가 야마다 나가마사와 그의 용병을 파견하여 반란을 진압하게 하였고, 야마다 나가마사를 잠시 나콘시탐마랏 주 장관이자 영주로 임명했다.[31] 1688년 시암혁명 이후 나콘시탐마랏은 다시 수도를 향해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때 영주는 찬탈자 페트라차를 인정하지 않았다.[32]
2. 3. 톤부리 시기 (18세기)
1767년 버마-시암 전쟁에서 아유타야가 패배한 후, 나콘시탐마랏은 말레이반도 주들을 종속하며 잠시 독립을 되찾았다.[33] 그러나 1769년 딱신 대왕이 시암 통일 전쟁을 벌여 나콘시탐마랏을 다시 시암에 복속시켰다.[33][15]2. 4. 라따나꼬신 시기 (18세기 - 19세기)
라마 1세 치하에서 나콘시탐마랏 군주의 지위는 속국 통치자에서 1급 주 장관으로 격하되었으며, 파타니를 포함한 북부 말레이 술탄국들에 대한 지배권도 박탈되었다. 대신 송클라 주의 행정관직을 보상받았다.[34] 나콘시탐마랏은 칼라홈이라는 남부 주들을 관리하는 장관의 감독을 받았다.[35] 1821년과 1831년에는 라마 2세와 라마 3세가 다시 나콘시탐마랏 주 장관에게 케다의 말레이 술탄국에서 발생한 반란을 진압하는 임무를 맡겼다.[36]2. 5. 시암 중앙국가로의 합병 (19세기 - 20세기)
담롱 라자누브합 왕자의 '테사피반(Thesaphiban)' 개혁으로, 나콘시탐마랏 왕국은 시암에 완전히 흡수되었다. 새로운 행정 단위인 몬톤(monthon)이 만들어져 여러 주를 감독했다. 1896년 신설된 몬톤 나콘시탐마랏은 송클라, 나콘시탐마랏, 파탈룽 주 등 반도 동쪽 해안 지역들을 담당하였다.3. 낙삿 도시들
16세기 나콘시탐마랏의 연대기와 프라 탓 나콘이라는 연대기에는 나콘시탐마랏이 12개의 연결된 도시들(낙삿, เมือง ๑๒ นักษัตร|므앙 십송 낙삿th)에 둘러싸여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37] 낙삿 도시들은 나콘시탐마랏(리고르)을 둘러싸고 외부 방어 역할을 했으며, 육지로 연결되어 기습이 있을 경우 서로 지원했다.[37]
태국어 '낙삿(naksat)'은 산스크리트어 '낙샤트라(nakshatra)'에서 유래했으며, '피 낙삿(Pi Naksat)'이라는 중국식 십이지(十二支)에 기반한 12진법 주기의 음력 체계를 의미한다.
찬드 치라유 라자니는 12개 도시 중 11개 도시와 각 십이지를 다음과 같이 비정했다.[37]
'묘'에 해당하는 므앙 파항의 정확한 위치는 불분명하다.[37]
그러나 나콘시탐마랏이 실제로 이 도시들을 지배했는지는 역사적 근거가 없다.[38] 이 설명은 아유타야 왕국 시기 중반 시암인(타이인)들이 말레이 남부 지역에 대한 종주권을 주장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39]
4. 통치자 목록
통치자 이름 | 통치 기간 | 칭호 | 왕조명 | 비고 | 시암 역사 시기 |
---|---|---|---|---|---|
루앙 스리 워라웡 | 1375년 - ? | 행정관(governor) | |||
루앙 페렌트라텝 | ? - ? | 행정관(governor) | 스리 워라웡과 피렌트라텝 사이의 통치자 관련 기록이 없음.[40] | ||
마하라차 왕조(Maharacha Dynasty) | |||||
*공식 왕조명은 아니지만, 사서에는 명백한 부계 계승이 이뤄진 왕조라고 기록되어 있다. | |||||
스리 마하라차 1세 | 마하라차(Maharacha) | 란타카(Lantaka) 건국, 나콘시탐마랏 국왕이었는지 불분명 | |||
스리 마하라차 2세 (프라 라Phra La 인가?) | 마하라차(Maharacha) | 마하라차 1세 아들 | |||
쿤 인드라 1세 | 마하라차(Maharacha) | 마하라차 2세 아들 | |||
스리 다누 (쿤 인드라 2세, 스리 마하라차 3세) | 1493년 - ? | 마하라차(Maharacha) | 쿤 인드라 1세 아들 | ||
시암 임명 통치자 제1기(First Era of Siamese-appointed Rulers) | |||||
쿤 라타나칸 | 행정관(governor) | ? | |||
스리 마하라차 4세 | 먼로-헤이는 그가 아유타야에 의해 임명되었으며, 이전 왕조 가문의 친척으로서 연대기 사서에 기록되지 않았다고 본다.[41] | ||||
프라야 폰테파랏 | 1495년 - ? | 짜오프라야 나콘스리탐마랏(Chao Phraya Nakhon Sri Thammarat) | 먼로-헤이는 아유타야로부터 임명되었다고 주장[42] | ||
스리 탐마라차뎃 왕조(Sri Thammarachadet Dynasty) | |||||
*공식 왕조명은 아니다. 연대기 사서에는 이 시기가 스리 탐마라차뎃(Sri Thammarachadet)에서 시작하여 그의 손자 혹은 조카 스리 탐마랏(Sri Thammarat) 대에 끝났다고만 기술되어 있다. | |||||
프라야 스리 탐마라차뎃 | 1497년 - ? | 행정관(governor) | 스리 탐마라차뎃(Sri Thammarachadet) | ||
프라야 람라차타야남 | 1500년 - ? | 행정관(governor) | 람라차타야남(Ramrachatayanam) 왕조로 교체된 듯 | 먼로-헤이는 그를 아유타야에 의해 임명된 인물로 간단히 항목에 올렸을 뿐, 그가 스리 탐마라차뎃과 연관되어 있는지는 언급하지 않는다. | 보롬마라차티랏 4세(1529년 - 1533년) |
람라차타야남 | 1532년 - ? | 행정관(governor) | 람라차타야남(Ramrachatayanam) 왕조로 교체된 듯 | 먼로-헤이는 그를 아유타야에 의해 임명된 인물로 간단히 항목에 올렸을 뿐, 그가 람라차타야남 1세와 연관되어 있는지는 언급하지 않는다. | 보롬마라차티랏 4세(1529년 - 1533년) |
프라야 스리 탐마랏 | 1535년 - ? | 행정관(governor) | 스리 탐마라차뎃(Sri Thammarachadet) | 프라야 스리 탐마라차뎃의 손자 혹은 조카 | 차이라차(재위 1533년 - 1546년) |
시암 임명 통치자 제2기(Second Era of Siamese-Appointed Rulers) | |||||
*정보가 거의 없다. 특히 16세기 말 17세기 중엽 내지 말기의 정보가 없다. | |||||
프라야 폰라랏 | 1553년 - ? | 짜오프라야 나콘스리탐마랏(Chao Phraya Nakhon Sri Thammarat) | 전임 테나세림(Tenasserim) 행정관 | 차끄라팟(재위 1548년 - 1569년) | |
인타라텝 | 행정관(governor) | 차끄라팟(재위 1548년 - 1569년) | |||
(불명) | 1612년 | 아들은 파탈룽(Phattalung) 행정관 | |||
(불명) | 폐위된 프라야 마하 나콘. 나콘시탐마랏은 1등급 주가 됨. | 나레수안 | |||
(불명) | ? - ? | 이 통치자의 형제 옥프라 아모라릿(Okphra Amorarit)만 언급된 듯 | |||
야마다 나가마사 | 1629년 - 1630년 | 행정관(governor) | 아유타야가 임명한 일본인 행정관(시암 관직 : 오캬 세니피목Okya Seniphimok) | 프라삿 통 | |
오쿤 세나피묵 | 1630년 - ? | 야마다 나가마사 아들, 미상의 전임 국왕의 형제의 딸과 결혼(옥프라 아모라릿Okphra Amorarit) | |||
(불명) | ? | 아유타야에서 보내져 오는 도중 병을 얻었다. | |||
(불명) | 1631년 | 반 블리엣(van Vliet)은 프라삿 통 아유타야 국왕이 나콘을 직접 공격하였으나, 이 이야기는 치앙마이(Chiangmai) 원정과 뒤섞인듯 하다.[43] | |||
(불명) | 1645년 | 신임 행정관이 아유타야에서 옴[44] | |||
(불명) | 1649년 | 리고르는 송클라에게 점령당함. 송클라는 파타니와 파탈룽과 통합됨[45] | |||
(불명) | 파 차이 | ||||
(불명) | 시 수탐마라차 | ||||
(불명) | 나라이가 나콘시탐마랏으로 유배 보낸 전임 궁정시인을 살해한 죄로 나라이는 행정관을 처형함.[46] | 나라이 | |||
(불명) | 나콘시탐마랏은 2등급 도시로 강등 | 나라이 | |||
프라야 람데조 | 1689년 - 92년 | 행정관(governor)(푸랑무앙pu rang muang) | 행정관을 했는지 불명, 말레이 계통, 나콘시탐마랏은 등급 강등. 나콘은 페트라차(Phethracha)의 왕위 찬탈을 인정하지 않고 반란을 일으킴 | 페트라차 | |
(불명) | 수리엔트라티보디 | ||||
(불명) | 푸민타라차(타이 사Thai Sa) | ||||
프라야 차이아티벳 | 1742년 - ? | 짜오프라야 나콘스리탐마랏(Chao Phraya Nakhon Sri Thammarat) | 보롬마콧 | ||
프라야 수코타이 | ? - 1758년 | 짜오프라야 나콘(Chao Phraya Nakhon) | 보롬마콧 | ||
프라야 라차수타와디 | 1758년 - 1760년 | 짜오무앙 나콘스리탐마랏(Chao Muang Nakhon Sri Thammarat) | 우툼폰(재위 1758년 - 1758년) / 에까탓(아유타야 마지막 왕) / 버마(Burma)의 알라웅파야(1760년 - 1767년)가 리고르 점령 | ||
팔랏 누 왕조(Palat Nu Dynasty) | |||||
*공식 왕조명이 아니다. 사서에는 누(Nu), 노이(Noi), 노이 클랑(Noi Klang), 누 프롬(Nu Prom) 대에 부계 계승이 이뤄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 |||||
누(Nu) | 1760년 - 1767년 | 짜오 나콘(Chao Nakhon) | 팔랏 누(Palat Nu) | 누는 프라야 라차수타와디(Phraya Rachasutawadi)의 부 행정관이었으며, 루앙 싯 라이 웬 마하틀렉(Luang Sit Rai Wen Mahatlek) 혹은 프라 팔랏 누(Phra Palat Nu)로 알려졌다. 그는 곧 북부의 춤폰(Chumpon)으로부터 켈란탄으로의 충성, 그리고 남쪽의 트렝가누(Trengganu)의 충성을 끌어내었다. | 에까탓(아유타야 마지막 왕) |
누(Nu) | 1767년 - 1769년 | 스스로 시암 전역의 국왕으로 선포 | 팔랏 누(Palat Nu) | 딱신에게 항복 | |
짜오 나라수리웡 | 1770년 - 1777년 | 짜오무앙 프라텟사랏(Chao muang pratetsarat) | 딱신 대왕의 조카, 누가 톤부리로 파견되었을 때 임명되었다. 나콘시탐마랏은 다시 조공국 지위로 승격되었다. | ||
누(Nu) | 1777년 - 1784년 | 프라짜오 나콘스리탐마랏(Phra chao Nakhon Sri Thammarat) / 짜오프라야 나콘(Chao Phraya Nakhon) | 팔랏 누(Palat Nu) | 누 역시 속국의 통치자인 프라텟사랏(prathetsarat)이었고, 톤부리 조정처럼 장관 임명 권한이 있었다.[47] 누의 직함은 짜오프라야로 강등되었다. | 탁신/라마 1세 |
팟(Phat) | 1784년 - 1811년 | 행정관(governor) | 팔랏 누(Palat Nu) | 전임 우파랏(uparat), 누의 사위[48], 나콘시탐마랏은 1급주로 강등 | 라마 1세/라마 2세 |
쁘라 아피락뿌벳(Phra Aphirakphubet) 혹은 노이(Noi) | 1811년 - 1839년 | 짜오프라야 나콘스리탐마랏(Chao Phraya Nakhon Sri Thammarat) | 팔랏 누(Palat Nu) | 누의 아들(프랑 비Lady Prang에 의함), 이전에 나콘의 보조 행정관 | 라마 2세 / 라마 3세 |
쁘라 산차몬트리(Phra Sanchamontri) 혹은 노이 클랑(Noi Klang) | 1839년 - 1867년 | 프라야 나콘스리탐마랏(Phraya Nakhon Sri Thammarat) | 팔랏 누(Palat Nu) | 노이의 아들 | 라마 3세 / 몽꿋(라마 4세) |
짜오프라야 수타몬트리(Chao Phraya Suthammontri) 혹은 누 프롬(Nu Prom) | 1867년 - 1901년 | 1867년 - 1894년, 짜오프라야 나콘스리탐마랏(Chao Phraya Nakhon Sri Thammarat) | 팔랏 누(Palat Nu) | 노이 클랑의 아들 | 몽꿋/출라롱콘 |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Ayutthaya: Siam in the Early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A History of Ayutthaya: Siam in the Early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Strange Parallels: Volume 1, Integration on the Mainland: Southeast Asia in Global Context, c.800–1830 (Studies in Comparative World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4]
서적
A History of Ayutthaya: Siam in the Early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The Siam Society Lecture: Uma Amizade Duradoura (31 May 2018)
https://www.youtube.[...]
[6]
서적
Strange Parallels: Volume 1, Integration on the Mainland: Southeast Asia in Global Context, c.800–1830 (Studies in Comparative World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7]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Silkworm Books
[8]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Silkworm Books
[9]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Silkworm Books
[10]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Silkworm Books
[11]
저널
The Rise of Tambralinga and the Southeast Asian Commercial Boom in the Thirteenth Century
[12]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Silkworm Books
[13]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Silkworm Books
[14]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Silkworm Books
[15]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Silkworm Books
[16]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Silkworm Books
[17]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Silkworm Books
[18]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Silkworm Books
[19]
서적
Siam Mapped
Silkworm Books
[20]
저널
Background To The Sri Vijaya Story—Part I
http://www.siamese-h[...]
[21]
서적
Nakhon Sri Thammarat: The Archeology, History and Legends of a Southern Thai Town
White Lotus Press
[22]
서적
Islam: An Illustrated History
Continuum
[23]
서적
A history of Thai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서적
Nakhon Sri Thammarat: The Archeology, History, and Legends of a Southern Thai Town
https://books.google[...]
White Lotus Press
2001
[25]
서적
A History of Ayutthaya: Siam in the Early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서적
A History of Ayutthaya: Siam in the Early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https://archive.org/[...]
Silkworm Books
[28]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https://archive.org/[...]
Silkworm Books
[29]
저널
The Rise of Tambralinga and the Southeast Asian Commercial Boom in the Thirteenth Century
[30]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https://archive.org/[...]
Silkworm Books
[31]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https://archive.org/[...]
Silkworm Books
[32]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https://archive.org/[...]
Silkworm Books
[33]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https://archive.org/[...]
Silkworm Books
[34]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https://archive.org/[...]
Silkworm Books
[35]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https://archive.org/[...]
Silkworm Books
[36]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https://archive.org/[...]
Silkworm Books
[37]
저널
Background To The Sri Vijaya Story—Part I
http://www.siamese-h[...]
[38]
서적
Nakhon Sri Thammarat: The Archeology, History and Legends of a Southern Thai Town
White Lotus Press
[39]
서적
Islam: An Illustrated History
https://archive.org/[...]
Continuum
[40]
문서
Munro-Hay, p.110
[41]
문서
Munro-Hay, p.110
[42]
문서
Munro-Hay, p.110
[43]
문서
Munro-Hay, p.237
[44]
문서
Munro-Hay, p.138, the Batavia ''Dagh-Register'' 인용
[45]
문서
Munro-Hay, p.139
[46]
문서
Munro-Hay p.156.
[47]
문서
출처 : 짜오프라야 티파코라웡(Chao Phraya Thiphakorawong) 작성 제1왕조 연대기(Chronicle of the First Reign).
[48]
문서
Munro-Hay, p.169
[49]
서적
Nakhon Sri Thammarat: The Archeology, History, and Legends of a Southern Thai Town
https://books.google[...]
White Lotus Press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