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브라링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탐브라링가는 970년에서 14세기까지 존재했던 고대 정치체로, 현재 태국 남부 지역에 위치했다. 중국 기록에는 '단류미'로, 13세기에는 스리비자야의 속국 '단마령'으로 기록되었다. 1183년 크메르어 명문과 1230년 산스크리트어 명문은 탐브라링가의 정치 상황을 보여준다. 10세기에는 독립국으로 중국에 사절을 보냈고, 10세기부터 13세기 중엽까지 전성기를 누리며 주변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1247년에는 스리랑카를 침공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쇠퇴하여 14세기에는 멜라유 왕국에 편입되었다.
탐브라링가에 관한 기록은 중국 측 기록과 현지 기록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2. 관련 기록
탐브라링가 역사에 관한 현지 사료는 1183년에 제작된 고대 크메르어 명문이 있다. 수랏타니 주(Surat Thani Province) 차이야 구(Chaiya District)의 왓 화 위앙(Wat Hua Wiang, 화 위앙 사원)에서 발굴된 청동 불상의 기반에 새겨진 이 명문은 12세기 후반 탐브라링가의 정치 상황을 알려준다.[53] 또 다른 중요한 사료는 1230년 찬드라바누 왕에게 헌정된 산스크리트어 명문이다. 이 명문에는 찬드라바누를 '스리 다르마라자(Śrī Dharmarāja)'로 칭하고 있는데, 이는 산스크리트어로 '나가라 스리 다르마라자(Nagara Śrī Dharmarāja)'라고 하는 '나콘 시 탐마랏(Nakhon Si Thammarat)'이 곧 탐브라링가라는 것을 보여준다.[54][55]
2. 1. 중국 측 기록
중국의 『송회요고(宋會要稿)』에는 '단류미(丹流眉)'로 기록되어 있으며 970-1070년의 기록이 적혀 있다. 기록에 의하면 단류미는 당시 독립국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1001년, 1016년, 1070년 송에 사절단을 파견하였다. 단류미는 탐브라링가의 음차로 보이지만 국가의 위치는 정확하게 묘사되어 있지 않다. 마단림(馬端臨)의 『문헌통고(文獻通考)』와 『송사(宋史)』에는 각각 '주미류(州眉流)'와 '단미류(丹眉流)'로 기재되어 있으며 모두 1001년에 중국에 사절단을 보냈다고 기록하고 있다.[50]
13세기 조여괄(趙汝适)의 『제번지(諸蕃誌)』에는 스리비자야의 속국으로 '단마령(單馬令)'이 기재되어 있다. 단마령이 탐브라링가라는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학자도 있지만,[51] 중국학자 로드리히 프탁(Roderich Ptak)은 단마령을 파항(Pahang)의 템벨링(Tembeling)으로 비정하였다.[52]
2. 2. 현지 기록
중국의 『송회요고(宋會要稿)』에는 '단류미(丹流眉)'로 기록되어 있으며 970-1070년의 기록이 적혀 있다. 기록에 의하면 단류미는 당시 독립국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1001년, 1016년, 1070년 송에 사절단을 파견하였다. 단류미는 탐브라링가의 음차로 보이지만 국가의 위치는 정확하게 묘사되어 있지 않다. 마단림(馬端臨)의 『문헌통고(文獻通考)』와 『송사(宋史)』에는 각각 '주미류(州眉流)'와 '단미류(丹眉流)'로 기재되어 있으며 모두 1001년에 중국에 사절단을 보냈다고 기록하고 있다.[50]
13세기 조여괄(趙汝适)의 『제번지(諸蕃誌)』에는 스리비자야의 속국으로 '단마령(單馬令)'이 기재되어 있다. 단마령이 탐브라링가라는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학자도 있지만,[51] 중국학자 로드리히 프탁(Roderich Ptak)은 단마령을 파항(Pahang)의 템벨링(Tembeling)으로 비정하였다.[52]
탐브라링가 역사에 관한 현지 사료는 1183년에 제작된 고대크메르어 명문으로, 수랏타니 주(Surat Thani Province) 차이야 구(Chaiya District)의 왓 화 위앙(Wat Hua Wiang) 즉 화 위앙 사원(Hua Wiang temple)에서 발굴된 청동 불상의 기반에 새겨졌다. 명문은 12세기 후반 탐브라링가의 정치 상황을 알려준다.[53] 또다른 중요한 사료는 1230년 찬드라바누왕에게 헌정된 산스크리트어 명문이다. 명문에는 찬드라바누를 '스리 다르마라자(Śrī Dharmarāja)'로 칭하고 있는데, 이는 산스크리트어로 '나가라 스리 다르마라자(Nagara Śrī Dharmarāja)'라고 하는 '나콘 시 탐마랏(Nakhon Si Thammarat)'이 곧 탐브라링가라는 것의 증거가 된다.[54][55]
3. 역사
나콘시탐마랏 주 인근 차이야(Chaiya)의 화 위엥 사원(Hua wieng temple)에서 발굴된 24번 명문(inscription No. 24)에 따르면, 탐브라링가의 군주 찬드라바누는 로터스 왕조(Lotus dynasty) 파드마밤사(Padmavamsa)의 국왕이었다.[56] 찬드라바누는 1230년에 통치하기 시작하여, 같은 해 나콘시탐마랏의 탑인 프라 보로마탓(Phra Borommathat)의 수리와 축하연을 가졌다.
13세기 중엽, 찬드라바누는 탐브라링가를 최절정기로 이끌었다. 스리랑카와 타밀 자료 및 원문에 따르면, 1247년 스리랑카를 침공한 탐브라링가왕 사바칸(Savakan)이었다. 그의 해군은 스리랑카섬 남부를 공격했지만 스리랑카 국왕에게 패배했다. 이후 찬드라바누는 스리랑카섬 북쪽에 자프나 왕국(Jaffna kingdom)을 지배하는 독립 정권을 설립할 수 있었지만, 1258년 타밀 황제 자타바르만 순다라 판디아(Jatavarman Sundara Pandyan)에게 공격을 받고 항복하였다.[56] 찬드라바누는 판디아 왕조(Pandyan dynasty)에 보석과 코끼리를 조공해야 했다.
1262년, 찬드라바누는 다시 스리랑카섬 남부를 공격하였고 그의 군대는 타밀족과 싱할리족(Sihanlese) 군대를 늘림으로써 강화되었지만, 판디아와 스리랑카가 합세하자 패배하였다. 이때 자타바르만 순다라 판디아의 형제 자타바르만 베에라 판디아(Jatavarman Veera Pandyan)가 개입하였고 찬드라바누는 전사하였다. 찬드라바누의 아들 사바칸마인단(Savakanmaindan)은 왕좌를 물려받았고 베에라 판디아의 지배에 복속되었으며, 보상금을 받고 북부 왕국의 통제를 유지하였다. 사바칸마인단의 통치도 1270년대 마라바르만 쿨라세카라 판디아 1세(Maravarman Kulasekara Pandyan I)의 등극과 판디아 군대의 침공으로 소멸하였다. 마라바르만 쿨라세카라 판디아 1세는 침공을 담당한 장관 아랴차크라바르티(Aryachakravarti)의 쿨라세카라 신카이아리얀(Kulasekara Cinkaiariyan)을 자프나의 새로운 왕으로 임명하였다.
탐브라링가의 급속한 확장은 두 가지 의미에서 동남아시아사에 있어 예외적인 것이었다. 첫째, 찬드라바누의 스리랑카 침공과 자프나 점령은 오늘날 동남아시아 영역 너머로 수행되었던 유일한 동남아시아 국가의 해외 군사 원정이었다. 둘째, 동남아시아 역사 기록에서 태국 남부는 자바(Java), 수마트라(Sumatra), 말라카해협(Malacca Strait), 캄보디아(Cambodia), 참파(Champa), 베트남(Vietnam), 버마(Burma) 등에 비해 부차적인 역할을 했다. 따라서 13세기 탐브라링가가 중앙 무대로 갑작스럽게 등장한 것은 매우 흔치 않은 일이었다.
14세기 말, 탐브라링가는 자바의 지원을 받은 수마트라의 멜라유 왕국(Melayu Kingdom)에 포함되었다. 1365년, 자바의 마자파힛 왕국(Majapahit Kingdom)은 나콘 스리 다르마라자(Nakorn Sri Dharmaraja)를 나가라크레타가마(Nagarakretagama)에 적혀 있는 '다르마나가리(Dharmanagari)'로 인식하였다. 13세기 급격하게 두각을 드러냈음에도, 중국 사서에 의하면 14세기 '삼불제(三佛齊)'의 일원이었던 '단마령', 즉 스리비자야 혹은 자바카(Javaka)의 일원이었던 탐브라링가는 시암(Siam)의 일부가 되었다.
3. 1. 초기 해안 정치체 (기원전 5세기 - 서기 5세기)
현재의 말레이 반도 태국은 원사 시대(기원전 500년경 ~ 서기 500년경)부터 남중국해와 인도양 사이의 관문으로서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 중요한 지역으로 여겨져 왔다.[14] 헤르만 쿨케(Hermann Kulke)는 현재의 말레이 반도 태국에 복잡한 인도화 이전의 정치적 실체가 서기 1천 년 전에 존재했으며, 인도화를 통해 서기 1천 년 중반경에 중앙 집권적인 정치 체제로 발전했다고 주장했다.[14] 이는 신성한 군주 지위와 역동적인 전통을 제도화하는 것과 더불어 권력을 확장하기 위해 인도 사상을 채택함으로써 이루어졌다.[15] 탐브라링가는 서기 2세기의 인도 문헌에 언급된 이 지역의 중요한 중앙 집권적 정치 체제 중 하나였다.[16] 이전 학자들은 현대 나콘시탐마랏 또는 리고르 근처에 탐브라링가가 위치해 있었다고 추정했는데, 이는 서기 5세기에 산스크리트어로 팔라바 문자로 새겨진 현대 나콘시탐마랏 중심부의 왓 프라 마하탓 사원에서 발견된 비문 28호의 텍스트를 근거로 한 것이다.[14]
3. 2. 초기 만달라 시대 (5세기 - 10세기)
중국 연대기인 『송회요고(宋會要稿)』는 970년부터 1070년까지의 기간 동안 "단류미(丹流眉)(Tan-liu-mei)"라는 국가를 언급하고 있다. 이 기록은 그 왕국이 1001년, 1016년, 1070년에 송나라 조정에 사절단을 파견하며 당시 독립 국가였음을 시사한다. "단류미(Danliumei)"는 그 국가의 위치가 정확하게 묘사되어 있지 않지만, "탐브라링가"의 중국식 표기로 추정된다. 마두안린의 연대기 및 『송사』는 유사한 이름을 가진 국가인 "주메이류(Zhoumeiliu)(Chou-mei-liu)"와 "단메이류(Danmeiliu)(Tan-liu-mei)"를 각각 언급하며, 이들 또한 1001년에 처음으로 중국에 사절단을 보낸 것으로 보고되어 동일한 국가를 지칭할 가능성이 높다.[17]
이 시대에 탐브라링가는 5개의 주요 만다라로 구성되었다.
만다라 위치 |
---|
Khlong Tha Khwai |
Khlong Tha Chieo – Tha Thon |
Khlong Tha Lat |
Maying 강둑 |
Haad Sai Keao 사구 (탐브라링가의 중심부로 추정)[14] |
이 만다라 각각은 주변 지역의 여러 공동체로 형성되었으며, 가장 신성한 장소의 사당이 중심이었고, 수로와 육로로 다른 만다라와 연결되었다.[14] 힌두교의 바이슈나바파는 중앙 태국과 코랏 고원에서 소승 불교가 지배적인 것과는 달리, 두드러진 신념 체계였다.[14] 탐브라링가의 왕들은 시바-왕으로 제도화되었지만, 왕의 권력은 아마도 행정적인 부하와 그의 친족 집단에 의해 공유되었을 것이다.[14]
이 지역은 7세기경부터 몬족 이민자들을 받기 시작했다.[18] 나콘 시 탐마랏의 전설에 따르면, 몬족의 한타와디 출신인 프라야 스리 탐마소카라즈(พญาธรรมาโศกราชth[19][42])는 동생인 다라논트(ธรนนท์th)와 함께 친척들과 30,000명의 군인, 두 명의 승려인 프라 풋타캄피엔(พระพุทธคัมเภียรth)과 프라 풋타사콘(พระพุทธสาครth)을 데리고 남쪽으로 이동하여 현재 끄라비 주의 카오 차와 프라브(เขาชวาปราบth)에 정착한 후 나콘 시 탐마랏을 건설하기 위해 이주했다.[19]
3. 3. 전성기 (10세기 - 13세기 중엽)
나콘시탐마랏 주 인근 차이야(Chaiya)의 화 위엥 사원(Hua wieng temple)에서 발굴된 24번 명문(inscription No. 24)에 따르면, 탐브라링가의 군주 찬드라바누는 로터스 왕조(Lotus dynasty) 파드마밤사(Padmavamsa)의 국왕이었다.[56] 찬드라바누는 1230년에 통치하기 시작하여, 같은 해 나콘시탐마랏의 탑인 프라 보로마탓(Phra Boromathat)의 수리와 축하연을 가졌다.찬드라바누는 13세기 중엽 탐브라링가를 최절정기로 이끌었다. 스리랑카와 타밀 자료 및 원문에 따르면, 찬드라바누는 1247년 스리랑카를 침공한 탐브라링가왕 사바칸(Savakan)이었다. 그의 해군은 스리랑카섬 남부를 공격했지만 스리랑카 국왕에게 패배했다.
이후 찬드라바누는 스리랑카섬 북쪽에 자프나 왕국(Jaffna kingdom)을 지배하는 독립 정권을 세울 수 있었지만, 1258년 타밀 황제 자타바르만 순다라 판디아(Jatavarman Sundara Pandyan)에게 공격받고 항복하였다.[56] 그는 판디아 왕조(Pandyan dynasty)에 보석과 코끼리를 조공해야 했다. 1262년, 찬드라바누는 다시 스리랑카섬 남부를 공격하였고, 그의 군대는 타밀족과 싱할리족(Sihanlese) 군대를 늘림으로써 강화되었지만, 판디아와 스리랑카 연합군에 패배하였다. 이때 자타바르만 순다라 판디아의 형제 자타바르만 베에라 판디아(Jatavarman Veera Pandyan)가 개입하였고 찬드라바누는 전사하였다. 찬드라바누의 아들 사바칸마인단(Savakanmaindan)은 왕좌를 물려받았고 베에라 판디아의 지배에 복속되었으며, 보상금을 받고 북부 왕국 통제를 유지하였다. 사바칸마인단의 통치도 1270년대 마라바르만 쿨라세카라 판디아 1세(Maravarman Kulasekara Pandyan I)의 등극과 판디아 군대의 스리랑카 재침으로 소멸하였다. 마라바르만 쿨라세카라 판디아 1세는 침공을 담당한 장관 아랴차크라바르티(Aryachakravarti)의 쿨라세카라 신카이아리얀(Kulasekara Cinkaiariyan)을 자프나의 새로운 왕으로 임명하였다.
탐브라링가의 급속한 확장은 두 가지 의미에서 동남아시아사에 있어 예외적인 것이었다. 첫째, 찬드라바누의 스리랑카 침공과 자프나 점령은 오늘날 동남아시아 영역 너머로 수행되었던 유일한 동남아시아 국가의 해외 군사 원정이었다. 둘째, 동남아시아 역사 기록에서 태국 남부는 자바(Java), 수마트라(Sumatra), 말라카해협(Malacca Strait), 캄보디아(Cambodia), 참파(Champa), 베트남(Vietnam), 버마(Burma) 등에 비해 부차적인 역할을 했다. 따라서 13세기 탐브라링가가 중앙 무대로 갑작스럽게 등장한 것은 매우 흔치 않은 일이었다.
3. 3. 1. 북방 확장 (10세기 - 11세기)
10세기에서 11세기 동안, 탐브라링가는 수지타 왕의 지휘 아래 스리비자야로부터 독립하였다.[10] 이 시기 탐브라링가는 중국 조정에 여러 사절단을 파견하고, 라보 왕국[2] 정복을 위한 군대를 지원하는등, 당시 주요 만다라였던 앙코르의 왕좌를 차지하면서 정치적, 경제적으로 매우 강력해졌다.[14]수지타(지바카스)의 기원은 불분명하다. 쾨데스는 "지바카스"라는 용어를 자바인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왕의 혈통이 자바를 중심으로 하는 스리비자야 왕조 출신의 토착 자바-말레이계임을 주장했다. 반면, 피에르 뒤퐁은 지바카스가 앙코르 출신이거나 적어도 그의 아내가 앙코르 공주였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뒤퐁은 또한 925~927 탐브라링가–라보–하리푼자야 전쟁에서 라보에 대한 앙코르의 영향력을 잃지 않기 위해 수지타가 몬의 하리푼자야에 의해 점령되기 전에 군대를 북쪽으로 이동시켜 라보를 점령했다고 언급한다.[20] 그러나 뒤퐁의 이론은 스리비자야 연구 전문가인 프라툼 춤펭판에 의해 반박되었는데, 그는 앙코르인들이 메남 계곡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기 전에 전쟁이 일어났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당시 "라보–하리푼자야" 간의 갈등은 "앙코르와 몬" 사이의 싸움이 아니라, 친족 관계인 중부 지역의 "드바라바티의 몬"과 북부 지역 간의 권력 다툼이었다.[20]
10세기 초, 몬족 만달라인 라보 왕국과 하리푼자야 사이에서 여러 차례 전투가 벌어졌다.[20] O 스마흐 비문에 따르면, 하리푼자야의 라타사트카라 왕은 즉위 2년 후 남쪽으로 이동하여 라보 왕국을 공격했다. 라보 왕인 우치타카 차크와트 왕은 방어하기 위해 북쪽으로 이동했다. 그러나 이 두 자매 국가 간의 전쟁은 시리담마나(탐브라링가) 남쪽 왕국으로 확산되었고, 시리담마나의 지바카 왕은 라보를 점령하기 위해 이를 이용했다.[26] 라보를 잃은 두 몬족 왕은 하리푼자야를 점령하기 위해 북쪽으로 집결했지만, 결국 라타사트카라 왕은 라보 왕에게 도시를 잃었다. 하리푼자야를 탈환하는 데 실패한 라타사트카라 왕은 남쪽으로 이동하여 프라엑 시 라차(현재의 산카부리 구)에 정착했다.[27] 이 전투는 지나카라마리와 차마데비밤사와 같은 여러 연대기에도 언급되어 있다.[2]
지바카가 라보의 수도인 라바푸르를 점령한 후 그는 자신의 아들 캄포치 또는 캄보자라자를 새로운 통치자로 임명하고, 전 라보 여왕을 그의 배우자로 옹립했다. 그는 라보에 거주했거나 시리담마나를 통치하기 위해 돌아갔다는 증거는 없다. 3년 후, 캄포치 왕은 하리푼자야를 공격했지만 패배했다.[28] 그는 그 후 또 다른 북부 도시인 나가부리를 점령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그 이후로 하리푼자야와 라보 사이에서 여러 차례 전투가 벌어졌다. 캄포치는 앙코르 왕조의 피바람에서 도망친 크메르 제국 공주와 결혼했다.[28]
이후 960년, 라바푸르는 아유디아에서 온 샴족에 의해 합병되었으며,[29] 그들은 또한 탐브라링가 왕국과 정치적 관계를 공유했다.[30]
3. 3. 2. 불교의 우세 (11세기 - 13세기)
1026년 촐라 제국과의 전쟁에서 수지타 왕조가 패배한 후, 탐브라링가는 북쪽의 귀족 가문인 파드마밤사(ปัทมวงศ์|팟마웡th)에 의해 부활했다. 파드마밤사의 정확한 위치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라보[21], 인타팟 나콘(아마도 야소다라푸라[42]), 또는 한타와디[19][42]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스리랑카에서 온 사람들과 승려들의 유입이 기록되었으며, 이로 인해 불교가 왕국의 지배적인 신앙이 되었다.[22]태국 학자 찬치라유왓 랏차니(หม่อมเจ้าจันทร์จิรายุวัฒน์ รัชนี|찬치라유왓 랏차니th)는 1026년 촐라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한 후, 1168년에 파견된 외교관이 중국 조정에 제공한 정보에 따르면 동부 시암 반도의 권력 중심지가 1077년에 차이야에서 나콘시탐마랏(리고르)으로 이동했다고 주장한다. 이전 왕의 아들이 새로운 통치자로 즉위했다.[21] 고든 루스는 담마라자카 비문(Pl. I 19, 1198 CE)에 기록된 바와 같이, 이 지역이 1060년부터 1200년까지 파간 왕국의 지배를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하며, 비문은 왕국의 남쪽 경계를 ''타쿠아''(타쿠아 파), ''살랑크레''(정크 실론?, 푸껫) 및 두 개의 다른 장소(거의 읽을 수 없음), 그리고 접미사 ''나쿠이w'''(나가라)로 끝나는 도시로 표시하고 있다. 1164년에는 파간 찬지타의 손자와 실론의 파라크라마바후 1세 사이의 크라 지협 통행권에 대한 분쟁이 기록되었다.[23] 이 다툼은 계속되었고, 찬드라반에 의한 1247년 스리랑카 침공의 원인이 되었으며, 그의 계보는 북쪽에서 이동한 것으로 여겨졌다.[35]
탐브라링가와 타이 지도자들 사이의 관계는 찬드라반(Chandrabhanu) 1세의 통치 기간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10] 이것이 스리비자야가 탐브라링가에 대한 영향력을 잃은 이유 중 하나로 예상된다.[10]
1244년, 찬드라반 왕은 스리랑카를 침공하여 '스리다르마라자'라는 칭호를 사용하고 자파나의 왕으로 즉위했다. 이 시대는 1247–1270 탐브라링가-스리랑카 전쟁에서 탐브라링가가 패배하면서 끝을 맺었다. 여러 지역 전설에 따르면 파드마밤사 가문은 역병으로 멸망했다.[42]
3. 3. 3. 1247-1270년 탐브라링가-스리랑카 전쟁
나콘시탐마랏 주 인근 차이야(Chaiya)의 화 위엥 사원(Hua wieng temple)에서 발굴된 24번 명문에 의하면, 탐브라링가의 군주 찬드라바누는 로터스 왕조(Lotus dynasty) 파드마밤사(Padmavamsa)의 국왕이었다.[56] 찬드라바누는 1230년에 통치하기 시작하였고, 같은 해 나콘시탐마랏의 탑인 프라 보로마탓(Phra Borommathat)의 수리와 축하연을 가졌다. 13세기 중엽 탐브라링가를 최절정기에 이르게 한 찬드라바누는 1247년 스리랑카를 침공한 탐브라링가왕 사바칸(Savakan)이었다. 그의 해군은 스리랑카섬 남부를 공격했지만 스리랑카 국왕에게 패배했다.찬드라바누는 스리랑카섬 북쪽에 자프나 왕국(Jaffna kingdom)을 지배하는 독립 정권을 설립할 수 있었지만, 1258년 타밀 황제 자타바르만 순다라 판디아(Jatavarman Sundara Pandyan)에게 공격을 받고 항복하였다.[56] 그는 판디아 왕조(Pandyan dynasty)에 보석과 코끼리를 조공해야 했다. 1262년, 찬드라바누는 다시 스리랑카섬 남부를 공격하였고 그의 군대는 타밀족과 싱할리족(Sihanlese) 군대를 늘림으로써 강화되었지만, 판디아와 스리랑카가 합세하자 패배하였다. 이때 자타바르만 순다라 판디아의 형제 자타바르만 베에라 판디아(Jatavarman Veera Pandyan)가 개입하였고 찬드라바누는 전사하였다. 찬드라바누의 아들 사바칸마인단(Savakanmaindan)은 왕좌를 물려받았고 베에라 판디아의 지배에 복속하였으며, 보상금을 받고 북부 왕국의 통제를 유지하였다. 그의 통치도 1270년대 마라바르만 쿨라세카라 판디아 1세(Maravarman Kulasekara Pandyan I)의 등극과 판디아 군대의 침공으로 소멸하였다. 마라바르만 쿨라세카라 판디아 1세는 침공을 담당한 장관 아랴차크라바르티(Aryachakravarti)의 쿨라세카라 신카이아리얀(Kulasekara Cinkaiariyan)을 자프나의 새로운 왕으로 임명하였다.
탐브라링가의 급속한 확장은 두 가지 의미에서 동남아시아사에 있어 예외적인 것이었다. 첫째, 찬드라바누의 스리랑카 침공과 자프나 점령은 오늘날 동남아시아 영역 너머로 수행되었던 유일한 동남아시아 국가의 해외 군대 원정이었다. 둘째, 동남아시아 역사 기록에 있어, 태국 남부는 자바(Java), 수마트라(Sumatra), 말라카해협(Malacca Strait), 캄보디아(Cambodia), 참파(Champa), 베트남(Vietnam), 버마(Burma) 등에 비하여 부차적인 역할을 했다. 따라서 13세기 탐브라링가가 중앙 무대로 갑작스럽게 등장한 것은 매우 흔치 않은 일이었다.
3. 4. 쇠퇴 (13세기 말 - 14세기)
14세기 말, 탐브라링가는 자바의 지원을 받은 수마트라의 멜라유 왕국에 포함되었다. 1365년, 자바의 마자파힛 왕국은 나콘 시 탐마랏을 나가라크레타가마에 적혀 있는 '다르마나가리(Dharmanagari)'로 인식하였다.[25] 13세기 급격하게 두각을 드러냈음에도, 중국 사서에 의하면 14세기 '삼불제(三佛齊)'의 일원이었던 '단마령', 즉 스리비자야 혹은 자바카의 일원이었던 탐브라링가는 시암(Siam)의 일부가 되었다.[25]찬드라바누(스리 탐마소카라지 3세)가 스리랑카 전투에서 사망한 후, 그의 아들이 계승자가 되어 스리 탐마소카라지 4세(ศรีธรรมาโศกราชที่ 4th)로 즉위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탐브라링가는 1268-69년 싱가사리의 왕 케르타나가라의 침략과 1270년의 역병을 포함한 여러 상황에 직면했으며, 이로 인해 탐브라링가가 쇠퇴했다.[21] 스리 탐마소카라지 4세는 1272년에 후계자 없이 사망했고, 이는 Padmavamsa 씨족의 종말을 의미했다.[21]
그 후, 펫차부리–아유타야 씨족의 왕자인 파놈왕(พระพนมวังth)은 그의 아내 사디엥 통(สะเดียงทองth)과 아들 스리 라차(เจ้าศรีราชาth)와 함께 나콘 시 탐마랏을 부활시키기 위해 파견되었다.[42] 이는 의 형성과 타이의 영향력이 크라 지협 남부로 확장되는 결과를 낳았다.[42] 왕위 계승은 부계 계승이었지만, 아유타야의 임명이 필요했다.[42] 1283년(또는 1292년)의 람캄행 비문에 따르면, 나콘 시 탐마랏으로 알려진 탐브라링가는 수코타이의 최남단 조공국이 되었다.[24]
4. 유산과 복구
나콘시탐마랏 도시사에 따르면, 1278년 도시가 재건되었을 때 요새가 있었다. 1283년 람캄행 비문에는 나콘시탐마랏이 수코타이 왕국의 조공국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다. 1365년 고대 자바어로 기술된 '데사와르나나' 문서에 의하면, 마자파힛 왕국 역시 나콘시탐마랏을 시암의 속국으로 인식하였다.[57] 1468년 제작된 보로마트라일록카낫 왕의 '팔라티나테 법'에 의하면, 나콘시탐마랏은 아유타야 왕국에 속하는 8대 대도시 중 하나였다. 나레수안 대왕 통치기에는 1등급 주인 '므앙 엑'이 되었다.
아유타야 왕국의 라메수안 왕과 나라이 왕 시대에 복구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나라이 왕 시대의 복원은 프랑스 기술자 드 라 마흐(M. de la Mare)가 지원하였다.
나콘시탐마랏 성벽은 동서 456미터, 남북 2,238미터 길이이며, 약 1km2의 넓이를 둘러싸고 있다. 북벽에는 '프라투 차이 누에아' 혹은 '프라투 차이 삭'이라는 문이 하나 있다. 남벽에도 문이 하나 있었다. 동벽에는 문이 셋 있어 바다로 통하게 했다. 서벽에는 문이 5개 있었다. 오늘날 북문과 북벽 일부만이 남아 있다.
찬드라바누(스리 탐마소카라지 3세)가 스리랑카 전투에서 사망한 후, 그의 아들이 스리 탐마소카라지 4세(ศรีธรรมาโศกราชที่ 4th)로 즉위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탐브라링가는 1268-69년 싱가사리의 왕 케르타나가라의 침략과 1270년의 역병을 포함한 여러 상황에 직면했으며, 이로 인해 탐브라링가가 쇠퇴했다.[21] 스리 탐마소카라지 4세는 1272년에 후계자 없이 사망했고, 이는 Padmavamsa 씨족의 종말을 의미했다.[21]
그 후, 펫차부리–아유타야 씨족의 왕자인 파놈왕(พระพนมวังth)은 그의 아내 사디엥 통(สะเดียงทองth)과 아들 스리 라차(เจ้าศรีราชาth)와 함께 나콘 시 탐마랏을 부활시키기 위해 파견되었다.[42] 이는 스리 탐마소카라지 씨족의 형성과 타이의 영향력이 크라 지협 남부로 확장되는 결과를 낳았다.[42] 왕위 계승은 부계 계승이었지만, 아유타야의 임명이 필요했다.[42] 1283년(또는 1292년)의 람캄행 비문에 따르면, 나콘 시 탐마랏으로 알려진 탐브라링가는 수코타이의 최남단 조공국이 되었다.[24]
1365년 자바의 마자파힛 왕국은 나콘 시 다르마라자를 ''Dharmanagari''로 인정했으며, 이는 나가라크레타가마에 기록되었다. 13세기에 급부상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 세기에는 산포시 – 자바카의 전 구성국이었던 단말링, 즉 탐브라링가가 시암의 일부가 되었다.[25]
5. 역대 통치자
통치자 | 재위 기간 | 비고 | 동시대 사건 | |
---|---|---|---|---|
로마자 표기 | 태국어 표기 | |||
colspan=5| | ||||
수지타[14]/바라라자/시바카/To-hsi-chi | พระเยาวรราช/ชีวกราช/สุชิตราช/สุรชิตราช/ | 970?–1003 | 라보의 왕 캄보자라자의 아버지.[14] | 드바라바티 문명의 멸망 (11세기) |
미상 | 1004–1025 | 촐라 제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한 후 왕조는 멸망했다.[35][33][34] | ||
colspan=4|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5%;"
|-
! colspan=2| 통치자 !! rowspan=2| 재위 기간 !! rowspan=2| 비고 !! rowspan=2| 시암 시대
|-
! 로마자 표기 !! 태국어 이름
|-
|colspan=6|
|-
| ''불명'' || ||1077–?||이전 통치자의 아들.[21]||라보의 섭정 (1069–1082년 재위)
|-
| ''불명'' || ||?–1157?|| ||아유타야의 사이 남 푸엉 (1111–1165년 재위)
|-
| 스리 탐마소카라지 1세ศรีธรรมาโศกราชที่ 1/พญานรบดีth (노라바디)||1157?–1181/82[21]||rowspan=2|
- 아마도 라보[21] 또는 인타팟 나콘 (อินทปัตถ์นครth)[42] 또는 한타와디[19][42] 또는 지역 왕조 출신일 것이다.[21]
- 1168년 중국에 조공을 보냈다.[21]
- 1196년 핏차이텝 치앙 센과의 영토 전쟁. (아유타야의 왕 우통 1세의 아버지)[21]
|아유타야의 담마리카라자 (1165–1205년 재위)
|-
| 스리 탐마소카라지 2세ศรีธรรมาโศกราชที่ 2/ จันทรภาณุที่ 1th
(구. 찬드라바누[21])||1181/82–1227[21]
|아유타야의 우통 1세 (1205–1253년 재위)
|-
| 스리 탐마소카라지 3세ศรีธรรมาโศกราชที่ 3/จันทรภาณุที่ 2/พงษาสุระth(구.퐁사수라)[21], 찬드라바누 2세로 알려짐 || 1227 또는 1244 –1262 || 영토를 스리랑카까지 확장||rowspan=2|아유타야의 차이센 (1253–1289년 재위)
|-
| 사바칸마인다/ศรีธรรมาโศกราชที่ 4th스리 탐마소카라지 4세?[21]|| 1263–1272[21] 또는 1277 || 탐브라링가의 파드마밤사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
|-
|colspan=6|
통치자 | 재위 기간 | 비고 | 샴 시대 | |
---|---|---|---|---|
로마자 표기 이름 | 태국어 이름 | |||
스리 사이야나롱/ศรีไสยณรงค์th | 수코타이의 람캄행 (r.1279–1298) | |||
colspan=6| | ||||
탐마카삿?ธรรมกษัตริย์th | 1298?–? | 수코타이의 로에 타이 (r.1298–1323) | ||
colspan=6| | ||||
파놈왕พนมวังth | 1342–? | อาณาจักรพริบพรี|lt=펫차부리th의 왕 파놈 탈레 스리(พนมทะเลศรีth)의 아들[42] | 아유타야/ 아유타야의 라마티보디 1세 (우통) (r.1344–1369) | |
스리 탐마소카라지 (구 스리 라차)ศรีธรรมาโศกราช/ศรีราชาth | 전임자의 아들. | |||
우 อูth | rowspan=2| | 공동 통치자; 우는 전임자의 손자였고, 유는 동생이었다.[42] | rowspan=2| | |
유อยู่th | ||||
스리 촘랏/람ศรีจอมรัตน์/รามth | 우의 아들,[42] 스리 탐마소카라지 가문의 마지막 통치자.[42] | |||
스리 마하라자 (구 인타라) ศรีมหาราชา/อินทาราth | 지방 가문 출신, 스리 마하라자, 란 사카에 근거지를 둠. 스리 촘랏의 딸 우에이와 결혼한 후 나콘 시 탐마랏의 통치자가 됨.[42] | |||
스리 타누/스리 툰/스리 마하라자 2세ศรีทนู/ศรีทูนth | 전임자의 아들.[42] | |||
colspan=5| |
참조
[1]
간행물
อารยธรรมแดนใต้ ตามพรลิงค์ ลังกาสุกะ ศรีวิชัย และศรีธรรมราชมหานคร (เมืองสิบสองนักษัตร)
https://so06.tci-tha[...]
2014
[2]
웹사이트
๑ สหัสวรรษ แห่ง "พระนิยม"
https://www.finearts[...]
2023-10-26
[3]
서적
A Study of Ancient Times in the Malay Peninsula and the Straits of Malaccam and Notes on Ancient Times in Malaya
Malaysi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4]
서적
Nakhon Sri Thammarat: The Archaeology, History and Legend of a Southern Thai Town
White Lotus Press
[5]
서적
The Malay Peninsula: Crossroads of the Maritime Silk-Road (100 BCE–1300 CE)
Brill
[6]
서적
Power, Protection and Magic in Thailand: The Cosmos of a Southern Policeman
ANU Press
[7]
서적
The Malay Peninsula: Crossroads of the Maritime Silk-Road (100 BCE–1300 CE)
Brill
[8]
서적
The Malay Peninsula: Crossroads of the Maritime Silk-Road (100 BCE–1300 CE)
Brill
[9]
서적
China, the Portuguese, and the Nanyang
Ashgate
[10]
간행물
The Khmer Empire and the Malay Peninsula
https://www.jstor.or[...]
Duke University Press
1950
[11]
서적
The Malay Peninsula: Crossroads of the Maritime Silk-Road (100 BCE–1300 CE)
Brill
[12]
서적
The Malay Peninsula: Crossroads of the Maritime Silk-Road (100 BCE–1300 CE)
Brill
[13]
서적
Nakhon Sri Thammarat: The Archaeology, History and Legend of a Southern Thai Town
White Lotus Press
[14]
웹사이트
The Significance of Peninsular Siam in the Southeast Asia Maritime World during 500 BC to AD 1000
https://scholarspace[...]
University of Hawaiʻi
2005
[15]
서적
Ancient Civilization and Trade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1975
[16]
웹사이트
The Golden Khersonese
https://thesiamsocie[...]
University of Malaya Press
1966
[17]
서적
The Malay Peninsula: Crossroads of the Maritime Silk-Road (100 BCE–1300 CE)
Brill
[18]
간행물
Dvaravati Civilization Footprints, Its Maximus Creeds and Cultures in Siam Suvarnbhumi, Ancient Thailand
https://so18.tci-tha[...]
2021
[19]
웹사이트
ใครคือ "พระเจ้าศรีธรรมาโศกราช" ในจารึก "ดงแม่นางเมือง"?
https://archive.toda[...]
2020-08-13
[20]
웹사이트
ปริศนาโบราณคดี l 'สงครามสามนคร' (1): กษัตริย์หริภุญไชยผู้พลัดถิ่นหนีไปแถบเมืองสรรคบุรี?
https://www.matichon[...]
Matichon
2019-08-28
[21]
웹사이트
พระเจ้าศรีธรรมาโศกราช
https://web.archive.[...]
2005-10
[22]
웹사이트
ตำนานและพุทธศาสนาจากลังกา
https://web.archive.[...]
[23]
간행물
The Early Syam in Burma's History: A Supplement
https://web.archive.[...]
1958
[24]
서적
Thailand: A Short History
Silkworm Books
[25]
간행물
The Rise of Tambralinga and the Southeast Asian Commercial Boom in the Thirteenth Century
[26]
웹사이트
๑ สหัสวรรษ แห่ง "พระนิยม"
https://www.finearts[...]
2023-10-26
[27]
웹사이트
ปริศนาโบราณคดี l 'สงครามสามนคร' (1): กษัตริย์หริภุญไชยผู้พลัดถิ่นหนีไปแถบเมืองสรรคบุรี?
https://www.matichon[...]
Matichon
2019-08-28
[28]
웹사이트
ปริศนาโบราณคดี : 'สงครามสามนคร' (จบ) : การปรากฏนามของพระเจ้ากัมโพชแห่งกรุงละโว้?
https://www.matichon[...]
Matichon
2019-09-12
[29]
웹사이트
รัชกาลที่ ๒๐ มหาจักรพรรดิพ่อศรีมงคลอาทิตย์ กรุงละโว้ ปี พ.ศ.๑๕๐๓-๑๕๐๔
http://www.usakanaen[...]
2020
[30]
웹사이트
เส้นทางศรีวิชัย : เครือข่ายทางการค้าที่ยิ่งใหญ่ที่สุดในทะเลใต้ยุคโบราณ ตอน ราชวงศ์ไศเลนทร์ที่จัมบิ (ประมาณ พ.ศ.1395-1533) (ตอนจบ)
https://mgronline.co[...]
Manager Daily
2023-12-01
[31]
서적
The Malay Peninsula: Crossroads of the Maritime Silk Road (100 BC – 1300 AD)
Brill
[32]
웹사이트
Jongko Inscription: New Evidence of King Jayavirvarman
https://archive.org/[...]
2021-01-01
[33]
문서
Kenneth R. Hall (October 1975), "Khmer Commercial Development and Foreign Contacts under Sūryavarman I", Journal of the Economic and Social History of the Orient 18 (3), pp. 318-336, Brill Publishers
[34]
문서
"R. C. Majumdar]] (1961), "The Overseas Expeditions of King Rājendra Cola", Artibus Asiae 24 (3/4), pp. 338-342, Artibus Asiae Publishers"
[35]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http://hdl.handle.ne[...]
University of Hawaii Press
[36]
서적
Buddhism, Diplomacy, and Trade: The Realignment of Sino-Indian Relations
[37]
서적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38]
서적
History Without Borders: The Making of an Asian World Region, 1000-1800
[39]
서적
Singapore and the Silk Road of the Sea, 1300-1800
[40]
서적
Nagapattinam to Suvarnadwipa: Reflections on the Chola Naval Expeditions to Southeast Asia
[41]
서적
The Cōlas
University of Madras
[42]
웹사이트
ความสัมพันธ์ระหว่างราชวงศ์ศรีธรรมาโศกราชกับราชวงศ์ศรีมหาราชา (ศรีมหาราช)
https://www.tungsong[...]
[43]
웹사이트
ปาไซ-สยามยุทธ์: "พ่อขุนแดนใต้" รบ "แขกสุมาตรา"
https://archive.toda[...]
2024-05-17
[44]
간행물
The Rise of Tambralinga and the Southeast Asian Commercial Boom in the Thirteenth Century
[45]
서적
A Study of Ancient Times in the Malay Peninsula and the Straits of Malaccam and Notes on Ancient Times in Malaya
Malaysi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46]
서적
Nakhon Sri Thammarat: The Archaeology, History and Legend of a Southern Thai Town
White Lotus Press
[47]
서적
The Malay Peninsula: Crossroads of the Maritime Silk-Road (100 BC–1300 AD)
Brill
[48]
서적
Power, Protection and Magic in Thailand: The Cosmos of a Southern Policeman
ANU Press
[49]
서적
The Malay Peninsula: Crossroads of the Maritime Silk-Road (100 BC–1300 AD)
Brill
[50]
서적
The Malay Peninsula: Crossroads of the Maritime Silk-Road (100 BC–1300 AD)
Brill
[51]
서적
The Malay Peninsula: Crossroads of the Maritime Silk-Road (100 BC–1300 AD)
Brill
[52]
서적
China, the Portuguese, and the Nanyang
Ashgate
[53]
서적
The Malay Peninsula: Crossroads of the Maritime Silk-Road (100 BC–1300 AD)
Brill
[54]
서적
The Malay Peninsula: Crossroads of the Maritime Silk-Road (100 BC–1300 AD)
Brill
[55]
서적
Nakhon Sri Thammarat: The Archaeology, History and Legend of a Southern Thai Town
White Lotus Press
[56]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57]
저널
The Rise of Tambralinga and the Southeast Asian Commercial Boom in the Thirteenth Centu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