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서부윗수염박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서부윗수염박쥐는 박쥐목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종이다. 1955년 처음에는 긴귀윗수염박쥐로 분류되었으나, 이후 킨윗수염박쥐에 포함되었다가 1969년에 독립된 종으로 인정받았다. 일반적으로 서식하는 다른 윗수염박쥐속 종보다 크며, 갈색 털과 큰 귀, 두개골을 가지고 있다. 날개나 꼬리날개막에 털이 없고, 큰 갈색 귀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나방을 주로 먹으며, 1년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과테말라, 멕시코, 미국 남부에 분포하며, 폰데로사 소나무 숲을 선호하는 서식지로, 계절에 따라 이동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5년 기재된 포유류 - 사할린밭쥐
    사할린밭쥐는 러시아 사할린섬 북부와 중부 지역에서 발견되며, 암컷은 따뜻한 계절에 한 번에 4~7마리의 새끼를 낳는 밭쥐의 일종이다.
  • 1955년 기재된 포유류 - 과테말라윗수염박쥐
    정의, 특징, 생태, 분포 및 서식지 정보 부족으로 과테말라윗수염박쥐에 대한 위키백과 소개글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 윗수염박쥐속 - 호지슨박쥐
    호지슨박쥐는 윗수염박쥐속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으로, 과거 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2014년 연구를 통해 여러 종으로 분리되었으며, 현재 IUCN 적색 목록에서 준위협종으로 분류되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윗수염박쥐속 - 붉은박쥐
    붉은박쥐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중형 박쥐로, 오렌지색 털과 검은색 부위를 특징으로 하며, 산지 숲, 아열대 숲 등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여 살아가며,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남서부윗수염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학명Myotis auriculus
명명자Baker & Stains, 1955
상태LC
상태 기준IUCN3.1
상태 참고IUCN 적색 목록
이명해당사항 없음
분포 지도
남서부윗수염박쥐의 분포 지역

2. 분류학

남서부윗수염박쥐는 박쥐목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종이다. 1955년 베이커(Baker)와 스테인스(Stains)가 발견하였고, 처음에는 긴귀윗수염박쥐(''M. evotis'')로 간주했다.[8] 두 종은 모두 같은 지역에 살며, 유사한 생태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같은 해, 호프마이스터(Hoffmeister)와 크루츠쉬(Krutzsch)가 긴귀윗수염박쥐의 새로운 아종 "아파케(''Myotis evotis apache'')"로 명명했다. 1959년 홀(Hall)과 켈슨(Kelson)가 아종 ''Myotis evotis apache''을 ''Myotis evotis auriculus''로 변경했다. 1960년 남서부윗수염박쥐가 긴귀윗수염박쥐(''M. evotis'')의 아종이 아니라 사실상 킨윗수염박쥐(''M. keenii'')에 포함된다고 과학자 핀들리(Findley)가 결정했다. 1969년이 되어서야 과학자 게노웨이스(Genoways)와 존스(Jones)에 의해 별도의 독립된 종으로 인정받았다.[8]

남서부윗수염박쥐와 긴귀윗수염박쥐는 턱 모양이 다르다. 특히 두 종은 같은 지역에서 발견된다. 남서부윗수염박쥐는 긴귀윗수염박쥐보다 턱이 크고 약하며, 두개골도 더 크다.[9]

3. 특징

남서부윗수염박쥐는 과테말라와 멕시코, 미국 남부에서 발견되며 야행성, 식충성 동물이다. 겨울잠을 자기 위해 계절성 이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3. 1. 신체적 특징

남서부윗수염박쥐는 일반적으로 분포 지역에 서식하는 다른 유사한 종보다 크다. 부드러운 갈색 털과 큰 두개골, 큰 귀를 갖고 있다. 귀는 갈색을 띠고, 반향정위에 사용된다.[10] 성적이형성은 나타나지 않는다.[10]

남서부윗수염박쥐의 여러 특징이 윗수염박쥐속의 다른 종들과 차이가 난다. 앞팔과 귀, 두개골이 북부윗수염박쥐킨윗수염박쥐 같은 윗수염박쥐속의 다른 종들보다 크다. 전완장은 일반적으로 37mm 이상이고, 귀는 19mm 이상, 두개골은 15.7mm 이상이다.[10],[4]

남서부윗수염박쥐는 날개나 꼬리날개막에 미세한 털이 없다. 큰 갈색 귀도 특징적이다. 유사한 ''윗수염박쥐'' 속 구성원은 검은색 귀를 가지고 있다.[4]

4. 생태

남서부윗수염박쥐는 일반적으로 분포 지역에 서식하는 다른 유사한 종보다 크다. 부드러운 갈색 털과 큰 두개골, 큰 귀를 갖고 있으며, 귀는 갈색을 띠고 반향정위에 사용된다.[10] 야행성이며, 식충성 동물이고 성적이형성은 나타나지 않는다. 어디로 이동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겨울잠을 자기 위해 계절성 이동을 한다.[10]

나방은 남서부윗수염박쥐 식단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다른 것도 먹을 수 있지만, 대부분 나방을 먹고 산다. 이 종은 성적 이형성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수컷 박쥐가 암컷보다 훨씬 더 많은 나방을 먹는다. 암수 모두 해 질 녘 한두 시간 후에 먹이를 먹는 것을 선호한다. 남서부윗수염박쥐는 사냥 장소를 특별히 가리지 않으며, 도시 밖과 안 모두에서 사냥한다.[4]

남서부윗수염박쥐는 보통 6월에 새끼를 낳으며, 1년에 한 마리의 새끼만을 낳는다. 더 남쪽에 서식하는 박쥐는 더 늦게 새끼를 낳는다. 출산 시기는 환경적 요인에 맞춰진 것으로 여겨진다. 남서부윗수염박쥐의 최소 수명은 3년 2개월이다.[4]

5. 분포 및 서식지

남서부윗수염박쥐는 이동하기 때문에 다양한 서식지에 산다. 그러나 이 박쥐가 선호하는 서식지는 폰데로사 소나무 숲이다.[5] 남서부윗수염박쥐는 남쪽의 과테말라에서 북쪽의 애리조나와 뉴멕시코까지 이동한다. 이 종의 모든 구성원이 과테말라나 미국까지 이동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이동은 온도 외의 요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지만, 남서부윗수염박쥐는 먹이 활동 시간 동안 11°C - 19°C일 때 더 활발하게 먹이 활동을 한다.[4] 북쪽으로는 애리조나주 플래그스태프와 뉴멕시코주 산타페까지 발견되었다.[5]

6. 행동

몇몇 지역에서 남서부윗수염박쥐는 윗수염박쥐(`M. evotis`)와 공존한다. 이 두 박쥐는 이러한 지역에서 경쟁으로 인해 행동이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예를 들어, 뉴멕시코주의 산마테오 산맥에서 두 종 모두 낮은 고도와 높은 고도에서 서식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M. auralius''는 낮은 고도에서, ''M. evotis''는 높은 고도에서 더 자주 발견된다.[6]

7. 계통 분류

남서부윗수염박쥐는 1955년 베이커(Baker)와 스테인스(Stains)가 발견하였고, 처음에는 긴귀윗수염박쥐(''M. evotis'')로 간주했다.[8] 1959년 홀(Hall)과 켈슨(Kelson)이 ''Myotis evotis apache''을 ''Myotis evotis auriculus''로 변경했다. 1960년 남서부윗수염박쥐가 긴귀윗수염박쥐(''M. evotis'')의 아종이 아니라 사실상 킨윗수염박쥐(''M. keenii'')에 포함된다고 결정했다. 이 결정은 과학자 핀들리(Findley)가 수행했다. 1969년이 되어서야 과학자 게노웨이스(Genoways)와 존스(Jones)에 의해 별도의 독립된 종으로 인정받았다.[8] 남서부윗수염박쥐와 긴귀윗수염박쥐는 턱 모양이 다르다. 특히 두 종은 같은 지역에서 발견된다. 남서부윗수염박쥐는 긴귀윗수염박쥐보다 턱이 크고 약하다. 긴귀윗수염박쥐보다도 두개골이 아주 크다.[9]

다음은 윗수염박쥐속의 계통 분류이다.[11]

{| class="wikitable"

|-

! colspan="2" | 윗수염박쥐속

|-

| 넓은주둥이윗수염박쥐

|

{| class="wikitable"

|-

! 구대륙 분류군

! 신대륙 분류군

|-

|

|

{| class="wikitable"

|-

! 신북구
분류군

!

|-

|

{| class="wikitable"

|-

| 서부작은발박쥐, 캘리포니아윗수염박쥐, 동부작은발박쥐

|-

|

{| class="wikitable"

|-

| 남서부윗수염박쥐, 북부윗수염박쥐

|-

|

{| class="wikitable"

|-

| 인디애나박쥐, 긴발윗수염박쥐

|-

|



|}

|}

|}

|}

|-

|

{| class="wikitable"

|-

! 구북구
분류군

! 신열대구
분류군

|-

| 큰수염박쥐, 우수리윗수염박쥐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고기잡이박쥐

|-

|

{| class="wikitable"

|-

| 회색박쥐, 남동부윗수염박쥐

|-

| 슈바르츠윗수염박쥐, 도미니카윗수염박쥐, 아타카마윗수염박쥐

|-

| 동굴윗수염박쥐, 유마윗수염박쥐

|-

|



|}

|}

|}

|}

|}

|}

|}

참조

[1] 간행물 "''Myotis auriculus''" 2017
[2] 저널 First Record of Myotis auriculus from Guatemala 1987
[3] 저널 Character Displacement and Ecomorphological Analysis of Two Long-Eared Myotis (M. Auriculus and M. Evotis) 2006
[4] 웹사이트 Mammalian Species Myotis auriculus http://www.science.s[...] The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1982
[5] 저널 Presence of Myotis auriculus (Vespertilionidae) in Northern Arizona 1981
[6] 저널 Syntopy between Two Species of Long-Eared Bats (Myotis evotis and Myotis auriculus) 1998
[7] 간행물 Myotis auriculus
[8] 저널 First Record of Myotis auriculus from Guatemala 1987
[9] 저널 CHARACTER DISPLACEMENT AND ECOMORPHOLOGICAL ANALYSIS OF TWO LONG-EARED MYOTIS (M. AURICULUS AND M. EVOTIS) 2006
[10] 웹인용 Mammalian Species Myotis auriculus http://www.science.s[...] The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1982
[11] 서적 Molecular phylogeny of New World Myoti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inferred from mitochondrial and nuclear DNA genes http://dx.doi.org/10[...]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