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킨윗수염박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킨윗수염박쥐는 윗수염박쥐속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전완장은 3.6–4.1cm이고, 체중은 7.1–9.4g이며, 어깨에 짙은 갈색 반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킨윗수염박쥐는 해안 지역과 도시 지역에서 발견되며, 나무나 바위 틈에서 보금자리를 튼다. 야행성이며 곤충을 먹고, 야생에서는 12년 이상, 사육 상태에서는 19년까지 생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윗수염박쥐속은 넓은주둥이윗수염박쥐를 포함하는 구대륙 분류군과 신북구 분류군, 신열대구 분류군으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5년 기재된 포유류 - 베어드뒤쥐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는 베어드뒤쥐는 털 색깔이 계절에 따라 변하며 두 개의 아종으로 나뉜다.
  • 1895년 기재된 포유류 - 큰멕시코작은귀땃쥐
    큰멕시코작은귀땃쥐는 땃쥐과에 속하며 멕시코 고유종으로 서식지 감소로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 윗수염박쥐속 - 호지슨박쥐
    호지슨박쥐는 윗수염박쥐속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으로, 과거 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2014년 연구를 통해 여러 종으로 분리되었으며, 현재 IUCN 적색 목록에서 준위협종으로 분류되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윗수염박쥐속 - 붉은박쥐
    붉은박쥐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중형 박쥐로, 오렌지색 털과 검은색 부위를 특징으로 하며, 산지 숲, 아열대 숲 등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여 살아가며,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킨윗수염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킨윗수염박쥐
킨윗수염박쥐
학명Myotis keenii
명명자Merriam, 1895
이명해당 없음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박쥐목
애기박쥐과
아과윗수염박쥐아과
윗수염박쥐속
킨윗수염박쥐 (M. keenii)
보전 상태
IUCN 적색 목록LC
참고IUCN 3.1
분포
킨윗수염박쥐 분포 지역
킨윗수염박쥐의 분포 지역
기타
웹사이트State University of New York Colleg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Forestry

2. 계통 분류

다음은 윗수염박쥐속의 계통 분류이다.[11]

넓은주둥이윗수염박쥐는 구대륙 분류군에 속한다.

신대륙 분류군은 신북구 분류군과 신열대구 분류군으로 나뉜다.

신북구 분류군에는 서부작은발박쥐, 캘리포니아윗수염박쥐, 동부작은발박쥐, 남서부윗수염박쥐, 북부윗수염박쥐, 인디애나박쥐, 긴발윗수염박쥐, 애리조나윗수염박쥐, 작은갈색박쥐, 술꼬리박쥐, 킨윗수염박쥐, 긴귀윗수염박쥐 등이 속한다.

신열대구 분류군에는 털다리윗수염박쥐, 붉은윗수염박쥐, 벨벳윗수염박쥐, 물가윗수염박쥐, 엘리겐트윗수염박쥐, 고기잡이박쥐, 회색박쥐, 남동부윗수염박쥐, 슈바르츠윗수염박쥐, 도미니카윗수염박쥐, 아타카마윗수염박쥐, 동굴윗수염박쥐, 유마윗수염박쥐, 칠레윗수염박쥐, 은색작은박쥐, 산지윗수염박쥐, 검은윗수염박쥐, 노랑윗수염박쥐 등이 있다.

구북구 분류군에는 큰수염박쥐, 우수리윗수염박쥐가 속한다.

2. 1. 구대륙 분류군

구대륙 분류군에는 넓은주둥이윗수염박쥐 등이 속한다.[11]

2. 2. 신대륙 분류군

신대륙 분류군은 신북구 분류군과 신열대구 분류군으로 나뉜다.[11]
신북구 분류군서부작은발박쥐, 캘리포니아윗수염박쥐, 동부작은발박쥐, 남서부윗수염박쥐, 북부윗수염박쥐, 인디애나박쥐, 긴발윗수염박쥐, 애리조나윗수염박쥐, 작은갈색박쥐, 술꼬리박쥐, 킨윗수염박쥐, 긴귀윗수염박쥐
신열대구 분류군털다리윗수염박쥐, 붉은윗수염박쥐, 벨벳윗수염박쥐, 물가윗수염박쥐, 엘리겐트윗수염박쥐, 고기잡이박쥐, 회색박쥐, 남동부윗수염박쥐, 슈바르츠윗수염박쥐, 도미니카윗수염박쥐, 아타카마윗수염박쥐, 동굴윗수염박쥐, 유마윗수염박쥐, 칠레윗수염박쥐, 은색작은박쥐, 산지윗수염박쥐, 검은윗수염박쥐, 노랑윗수염박쥐

2. 2. 1. 신북구 분류군

서부작은발박쥐, 캘리포니아윗수염박쥐, 동부작은발박쥐, 남서부윗수염박쥐, 북부윗수염박쥐, 인디애나박쥐, 긴발윗수염박쥐, 애리조나윗수염박쥐, 작은갈색박쥐, 술꼬리박쥐, 킨윗수염박쥐, 긴귀윗수염박쥐[11]

2. 2. 2. 신열대구 분류군

털다리윗수염박쥐[11]

붉은윗수염박쥐, 벨벳윗수염박쥐, 물가윗수염박쥐, 엘리겐트윗수염박쥐[11]

고기잡이박쥐[11]

회색박쥐, 남동부윗수염박쥐[11]

슈바르츠윗수염박쥐, 도미니카윗수염박쥐, 아타카마윗수염박쥐[11]

동굴윗수염박쥐, 유마윗수염박쥐[11]

칠레윗수염박쥐[11]

은색작은박쥐, 산지윗수염박쥐, 검은윗수염박쥐, 노랑윗수염박쥐[11]

2. 2. 3. 구북구 분류군

큰수염박쥐, 우수리윗수염박쥐[11]

3. 형태

킨윗수염박쥐는 윗수염박쥐속에 속하며, 종에 따라 크기와 털 색깔 등이 다양하다.[4] 전완장은 3.6–4.1cm이고, 체중은 7.1–9.4g이다. 몸길이는 평균 8–9cm, 꼬리 길이는 4–5cm이다.[4] 어깨에 짙은 갈색 반점이 있는 것이 특징으로, 서식지가 겹치는 다른 긴 귀 박쥐와 구별된다.[5]

4. 생태

킨수염박쥐는 해안 서식지를 선호하지만, 도시 지역에서도 자주 발견된다.[6] 나무와 바위 틈에서 자주 보금자리를 튼다.[6] 킨수염박쥐는 야행성이며 곤충을 먹는다.[5] 킨수염박쥐는 다른 온대 지방의 애기박쥐과와 같은 번식 습성을 보일 것으로 추정되지만, 관련 자료는 거의 없다.[7]

5. 습성

킨윗수염박쥐는 해안 서식지를 선호하지만, 도시 지역에서도 자주 발견된다.[6] 나무와 바위 틈에서 자주 보금자리를 튼다.[6] 윗수염박쥐속 박쥐들은 대부분 야행성이며, 곤충을 먹는다.[5] 번식 습성은 온대 지방의 다른 애기박쥐과 박쥐들과 비슷할 것으로 추정되지만, 자세한 자료는 부족하다.[7]

6. 수명

야생에서 킨윗수염박쥐는 12년 이상 생존하는 것으로 기록되었으며,[8] 사육 상태에서는 19년까지 생존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7]

참조

[1] 간행물 "''Myotis keenii''" 2017
[2] 웹사이트 Keen's myotis http://www.esf.edu/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Colleg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Forestry 2010-11-07
[3] 간행물 "''Myotis keenii''" http://www.iucnredli[...] 2021-11-11
[4] 웹사이트 Mammals of Washington http://collections.b[...] University of Washington 2014-12-09
[5] 웹사이트 Myotis Keenii http://explorer.natu[...] NatureServe 2014-12-09
[6] 웹사이트 "COSEWIC Assessment and Update Report on the Keen's Long-eared Bat ''Myotis Keenii'' in Canada" http://www.sararegis[...] COSEWIC 2003-01-01
[7] 웹사이트 Myotis Keenii http://animaldiversi[...]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2014-12-09
[8] 웹사이트 "COSEWIC Assessment and Update Report on the Keen's Long-eared Bat ''Myotis Keenii'' in Canada" http://www.sararegis[...] COSEWIC 2003-01-01
[9] 간행물 Myotis keenii
[10] 웹인용 Keen's myotis http://www.esf.edu/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Colleg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Forestry 2010-11-07
[11]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New World ''Myoti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inferred from mitochondrial and nuclear DNA genes http://dx.doi.org/10[...]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