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성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성계는 1970~80년대 남성 해방 운동에서 기원한 온라인 커뮤니티 그룹으로, 남성 권리 운동가, 잉셀, 제 갈 길 가는 남자, 픽업 아티스트, 아버지 권리 단체 등을 포함한다. 남성계는 블로그스피어를 변형한 용어로, 2009년 처음 등장했으며, 웹 2.0과 소셜 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확장되었다. 남성성, 반페미니즘, 여성 혐오를 조장하며, 백인 우월주의 및 극우 이데올로기와 연관되어 온라인 괴롭힘, 여성에 대한 폭력 미화와 관련되어 비판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성주의와 남성 - 반여성주의
    반여성주의는 페미니즘의 일부 또는 전체에 반대하는 사상 및 운동으로, 여성 권리 신장 반대, 전통적 성 역할 고수, 페미니즘 운동 비판 등의 형태로 나타나며 시대와 문화를 거쳐 변화하고 남녀 모두에게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 여성주의와 남성 - MGTOW
    MGTOW는 남성이 여성과의 관계를 피하는 것을 옹호하는 남성 분리주의 이념으로, 페미니즘에 반대하며 여성에 대한 적대감을 특징으로 하고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며 여성혐오적이고 반페미니즘적인 성향을 보인다.
  • 남성주의 - 남성운동
    남성운동은 남성과 젠더 관련 활동에 참여하는 남성들의 다양한 흐름을 포괄하며, 남성 해방 운동, 친페미니스트 남성 운동, 남성 권리 운동, 신화적 남성 운동 등을 포함한다.
  • 남성주의 - 군필자 가산점 제도
    군필자 가산점 제도는 제대군인 지원책으로 공무원 채용 시험 등에서 군 복무 경험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여 취업을 지원하는 제도였으나, 평등권 침해 논란으로 1999년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으로 폐지되었다.
  • 남성계 - 이대남
    이대남은 2010년대 후반부터 대한민국 20대 남성의 정치·사회적 특징을 나타내는 용어로, 문재인 정부의 페미니즘 정책에 대한 반감과 공정성 요구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보수적인 성향을 띠며, 2022년 대통령 선거의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우파 및 사회 보수주의 세력의 지지 기반으로 활용된다.
  • 남성계 - 닉 푸엔테스
남성계
개요
유형남성주의 웹사이트 및 포럼 모음
관련 주제남성 권리 운동
인셀
여성 혐오
남성 혐오
미소지니
여성차별
성차별
온라인 괴롭힘
온라인 폭력
극단주의
대안 우파
핵심 이념남성이 현대 사회에서 차별받고 있으며 여성에게 권력을 빼앗겼다고 주장하는 다양한 남성주의 운동 및 이념들을 포함
하위 문화
주요 하위 문화남성 권리 운동 (MRM)
인셀 (Incel)
자발적 독신주의 (MGTOW)
픽업 아티스트 (PUA)
아버지의 권리
특징여성 혐오
여성에 대한 적대감
성차별적 견해
온라인 괴롭힘
폭력 선동
사회적 불만
소외감
온라인 활동웹사이트
포럼
소셜 미디어
역사 및 배경
기원2000년대 초반, 온라인 포럼 및 게시판을 중심으로 형성
주요 인물엘리엇 로저 (Elliot Rodger): 2014년 캘리포니아 총기 난사 사건 가해자, 매노스피어에 영향 받음
사회적 영향
비판여성 혐오 및 폭력 조장
극단주의 성향
온라인 괴롭힘 및 사이버 폭력
사회적 분열 및 갈등 심화
옹호론남성의 권리 옹호
성 평등 추구 (주류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적 시각)
남성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 촉구
기타
관련 용어안드로스피어 (Androsphere): 매노스피어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됨
문제점온라인 상의 혐오 발언 및 폭력 선동
사회적 고립 및 정신 건강 문제
극단주의로의 발전 가능성

2. 역사

남성계의 기원은 1970년대와 1980년대의 남성 해방 운동에 뿌리를 두고 있다.[6] 초기 남성 해방 운동은 전통적인 남성 성 역할의 제한적인 성격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되었으나, 1970년대 후반 남성 권리 운동은 남성의 문제점을 페미니즘과 여성의 권한 강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돌리기 시작했다.[6]

월드 와이드 웹의 성장은 반페미니즘, 여성 혐오, 그리고 이와 관련된 폭력적인 수사법의 확산을 가속화시켰다.[6] '남성계'라는 용어는 2009년 블로그스팟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여겨지며,[7] 이후 포르노 마케터 이안 아이언우드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200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초반은 남성계 커뮤니티가 인터넷의 가장자리에서 주류로 이동하는 전환점으로 평가되는데, 이는 웹 2.0의 등장과 소셜 미디어의 부상, 그리고 가부장제 문화 내에서 지속적인 조직적인 여성 혐오와 결합된 결과로 추론된다.

2. 1. 남성 해방 운동과의 관계

초기 남성 해방 운동은 전통적인 남성 성 역할의 제한적인 성격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되었다.[6] 1970년대 후반, 남성 권리 운동은 남성의 문제점을 페미니즘과 여성의 권한 강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돌리기 시작했다.[6]

2. 2. 인터넷의 발달과 남성계의 확장

월드 와이드 웹의 성장은 반페미니즘, 여성 혐오, 그리고 이와 관련된 폭력적인 수사법의 확산을 가속화시켰다.[6] '남성계'라는 용어는 2009년 블로그스팟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여겨지며,[7] 이후 포르노 마케터 이안 아이언우드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200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초반은 남성계 커뮤니티가 인터넷의 가장자리에서 주류로 이동하는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이는 웹 2.0의 등장과 소셜 미디어의 부상, 그리고 가부장제 문화 내에서 지속적인 조직적인 여성 혐오와 결합된 결과로 추론된다.

3. 주요 특징 및 이념

남성계는 남성 인권 운동가(MRAs),[9] 잉셀(비자발적 금욕주의자),[10] 제 갈 길 가는 남자(MGTOW),[11] 픽업 아티스트(PUAs),[12] 아버지 권리 단체 등 다양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포함한다.[13]

3. 1. 하위 그룹 간의 관계

남성계 내 일부 그룹은 서로 적대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14] 깅(Ging)은 남성 인권 운동가와 픽업 아티스트와 같은 하위 그룹이 "철학이 거의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내부 투쟁을 과장한다"고 썼다.

3. 2. 공통된 이념

남성계 그룹들의 공통된 이념은 남성성, 반페미니즘, 여성 혐오를 조장하는 데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15] 각 그룹의 신념은 때때로 상충되기도 한다.[15] 특히, 페미니스트들은 남성 성폭력 피해자를 무시하고 남성에 대한 강간 무고를 조장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언론인 케이트린 듀이는 남성계의 주요 원칙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1) 남녀 간의 고유한 성적 차이를 위반하며, 페미니즘에 의해 현대 사회가 타락했다는 점, (2) 남성이 과장된 남성성 역할을 채택하고 여성에게 복종을 강요함으로써 사회를 구원하거나 성적 능력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16] 범죄학자 리사 스기우라는 남성계 내의 이질적인 그룹들이 "페미니즘에 의해 추진된 여성적 가치가 사회를 지배하고 '남성 혐오' 이념을 조장하며 이를 타도해야 한다는 중심적인 믿음으로 뭉쳐져 있다"고 썼다.

3. 3. 다른 운동과의 연관성

남성계는 백인 우월주의 및 극우 이데올로기와 중첩되는 경향이 있으며, 신반동주의, 백인 민족주의적 알트-라이트 운동과 연관되어 있다.[21] 주커버그는 많은 알트-라이트 구성원들이 픽업 아티스트 또는 MGTOW이며 "백인 여성의 성(性)에 대한 감시는 알트-라이트의 주요 관심사"라고 적고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 내에서 주장되는 반페미니즘의 정도는 상당히 온건한 성차별주의를 옹호하는 것부터 극심한 여성 혐오를 미화하는 것까지 다양하다. 인종차별과 외국인 혐오 역시 남성계 그룹에서 흔히 나타나며, 서구 문명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되는 것이 인기 있는 주제이다.[22] 오픈 대학교의 트레이시 파렐과 동료들은 남성계가 알트-라이트와 관련된 "분노한 백인 남성" 외에도 "미의 기준과 지위까지 확장되는 조직적인 인종차별에 고통받는 유색 인종 남성"도 포함하고 있다고 적고 있다.

4. 급진화 및 폭력과의 연관성

남성계는 온라인 괴롭힘, 남성들을 여성혐오적 신념으로 급진화시키고 여성에 대한 폭력을 미화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23] 일부 자료는 남성계 기반 급진화가 여성 혐오에 의해 동기 부여된 대량 총격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남성계를 통한 극우 이데올로기로의 급진화는 대안 우파 파이프라인 개념과 연결되기도 한다.

5. 주요 웹사이트

남성계는 다양한 웹사이트, 블로그 및 온라인 포럼으로 구성된다. 레딧은 남성계 지지자들의 인기 있는 모임 장소였으나, 2010년대 후반과 2020년대에 레딧이 극단적인 남성계 서브레딧을 억제하기 시작하면서 일부는 운영이 중단되기도 하였다.

5. 1. 주요 사이트

주목할 만한 사이트로는 /r/TheRedPill, ''Return of Kings'', ''A Voice for Men'', (현재는 운영되지 않는) ''PUAHate'' 및 ''SlutHate''가 있다.[24]

5. 2. 레딧과의 관계

레딧은 남성계 지지자들의 인기 있는 집합 장소였으나, 2010년대 후반과 2020년대에 더 극단적인 남성계 서브레딧을 억제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기 시작했다.[25] /r/incels(2017년 금지), 그 후속 서브레딧 /r/braincels(2018년 금지), /r/MGTOW(2021년 8월 금지)와 같은 일부 서브레딧이 금지되었으며, /r/TheRedPill과 같은 다른 서브레딧은 "격리"되었다.[26] 이는 사용자에게 서브레딧의 내용에 대한 경고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로그인해야만 입장이 허용됨을 의미한다.[26] 그 결과, 이러한 커뮤니티 중 일부는 Gab과 같이 극단적인 콘텐츠를 더 환영하는 웹사이트에서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았다.

6. 사회적 인식 및 비판

남성계는 2014년 캘리포니아 앨라 비스타 살인 사건, 2015년 엄콰 커뮤니티 칼리지 총기 난사 사건, 2018년 토론토 밴 공격과 같은 폭력 사건과 연관되어 미디어의 주목을 받았다.[27] 앨라 비스타 총기 난사 사건의 범인 엘리엇 로저는 남성계 포럼인 'PUAHate'의 활동적인 참여자였다.[28]

미국남부빈곤법률센터(SPLC)는 남성계를 여성증오적 세계관을 묘사한다는 이유로 "혐오집단" 목록에 포함시켰으며,[32][33] 이들의 포럼이 "전적으로 있는 그대로의 여성에의 증오"로 가득 차 있다고 주장했다.[34] 2018년 SPLC는 남성 우월주의를 혐오 단체 목록에서 추적하는 범주로 추가했다. 영국의 반극단주의 단체 호프 낫 헤이트는 2019년 ''혐오의 현황'' 보고서에 남성계를 포함시켰다.

참조

[1] 간행물 Hodapp 2017
[2] 간행물 Lumsden 2019
[3] 간행물 Jane 2018
[4] 간행물 Marwick Lewis 2017
[5] 간행물 Sugiura 2021
[6] 간행물 Winter 2019
[7] 간행물 Lumsden 2019
[8] 간행물 Ging 2019
[9] 간행물 Marche 2016
[10] 간행물 Winter 2019
[11] 간행물 Lumsden 2019
[12] 간행물 Ging 2019
[13] 간행물 Marche 2016
[14] 간행물 Lewis 2019
[15] 간행물 Dewey 2014
[16] 간행물 Tye 2021
[17] 간행물 Ging 2019
[18] 간행물 Jones Trott Wright 2020
[19] 간행물 Zuckerberg 2018
[20] 간행물 Ging 2019
[21] 간행물 Jones Trott Wright 2020
[22] 간행물 Ribeiro Blackburn Bradlyn De Cristofaro 2021
[23] 간행물 Ribeiro Blackburn Bradlyn De Cristofaro 2021
[24] 간행물 Nagle 2017
[25] 간행물 Ging 2019
[26] 간행물 Marwick Caplan 2018
[27] 간행물 Hodapp 2017
[28] 간행물 Jones Trott Wright 2020
[29] 간행물 Ging 2019
[30] 간행물 Van Valkenburgh 2021
[31] 간행물 Sugiura 2021
[32] 간행물 Nagle 2017
[33] 간행물 Jones Trott Wright 2020
[34] 간행물 Zuckerberg 2018
[35] 간행물 Hodapp 2017
[36] 간행물 Sugiura 2021
[37] 간행물 Marwick Caplan 2018
[38] 간행물 Jones Trott Wright 2020
[39] 간행물 Nicholas Agius 2018
[40] 간행물 Zuckerberg 2018
[41] 간행물 Nagle 2017
[42] 간행물 Hodapp 2017
[43] 간행물 Jane 2018
[44] 간행물 Marwick Lewis 2017
[45] 간행물 Dewey 2014
[46] 간행물 Hodapp 2017
[47] 간행물 Winter 2019
[48] 간행물 Lumsden 2019
[49] 간행물 Ging 2019
[50] 간행물 Marche 2016
[51] 간행물 Marwick Caplan 2018
[52] 간행물 Lumsden 2019
[53] 간행물 Lewis 2019
[54] 간행물 Zuckerberg 2018
[55] 간행물 Nagle 2017
[56] 간행물 Friedland 2018
[57] 간행물 Ging 2019
[58] 간행물 Ging 2019
[59] 간행물 Zuckerberg 2018
[60] 간행물 Nagle 2017
[61] 간행물 Nicholas Agius 2018
[62] 간행물 Zuckerberg 2018
[63] 간행물 Nagle 2017
[64] 간행물 Lewis 2019
[65] 간행물 Zuckerberg 2018
[66] 간행물 Nicholas Agius 2018
[67] 간행물 Farrell Fernandez Novotny Alani 2019
[68] 간행물 Jones Trott Wright 2020
[69] 간행물 Van Valkenburgh 2021
[70] 간행물 Ging 2019
[71] 간행물 Marwick Lewis 2017
[72] 간행물 Hodapp 2017
[73] 간행물 Zuckerberg 2018
[74] 간행물 Nagle 2017
[75] 간행물 Ging 2019
[76] 간행물 Jones Trott Wright 2020
[77] 간행물 Ging 2019
[78] 간행물 Jones Trott Wright 2020
[79] 간행물 Van Valkenburgh 2021
[80] 간행물 Farrell Fernandez Novotny Alani 2019
[81] 간행물 Basu 2020
[82] 간행물 Ging 2019
[83] 간행물 Jones Trott Wright 2020
[84] 간행물 Zuckerberg 2018
[85] 간행물 Zuckerberg 2018
[86] 간행물 Nagle 2017
[87] 웹인용 Inside the 'manosphere' that inspired Santa Barbara shooter Elliot Rodger http://www.washingto[...] 워싱턴 포스트 2014-05-27
[88] 웹인용 The everyday fear of violence every woman has to cope with http://www.theguardi[...] 가디언 2014-06-01
[89] 웹인용 The everyday fear of violence every woman has to cope with http://www.theguardi[...] 가디언 2014-06-01
[90] 웹인용 Women Battle Online Anti-Women Hate From the 'Manosphere' http://abcnews.go.co[...] ABC 2013-10-16
[91] 웹인용 A Civil Rights Group Is Now Criticizing Random Jerks For Not Calling Women Back After Sex http://www.businessi[...] 비지니스 인사이더 2012-03-09
[92] 웹인용 Santa Barbara killings: Did misogynist hate groups play a role? http://www.csmonitor[...] 크리스찬 사이언스 모니터 2014-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