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시 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양주시 갑은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남양주시 선거구가 분구되면서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경기도 남양주시의 화도읍, 수동면, 호평동, 평내동을 관할하며, 2016년 남양주시 병 선거구 신설로 일부 지역이 조정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최재성, 조응천, 최민희가 있으며, 더불어민주당 계열 후보들이 주로 당선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양주시의 정치 - 남양주시 병
남양주시 병은 남양주시 인구 증가로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와부읍, 진건읍 등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20대 총선에서는 주광덕, 21대와 22대 총선에서는 김용민 후보가 당선되었다. - 남양주시의 정치 - 남양주시 을
남양주시 을은 경기도 남양주시 북부 지역을 관할하는 국회의원 선거구로, 인구 증가를 겪고 있으며 더불어민주당 계열 후보들이 강세를 보이는 지역이다. - 2004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노원구 병
노원구 병은 2004년 신설되어 2024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노원구 을에서 분리된 상계동 일부로 구성되었으며, 임채정, 홍정욱, 노회찬, 안철수, 김성환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2004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청주시 흥덕구 을
청주시 흥덕구 을은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운천신봉동, 복대1동 등을 관할했으며, 청주시와 청원군 통합 이후 오송읍 등을 추가로 관할했으나 20대 총선을 앞두고 청주시 흥덕구 선거구로 통합되었다. - 경기도의 선거구 - 성남시 분당구 을
성남시 분당구 을은 2000년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분당동, 수내동, 정자동, 금곡동, 구미동을 관할하며 임태희, 손학규, 김병욱, 김은혜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경기도의 선거구 - 성남시 중원구 (선거구)
성남시 중원구는 1996년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성남시 중원구 전역을 관할하며, 조성준, 이상락, 신상진, 김미희, 윤영찬, 이수진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보수와 진보 정당이 번갈아 당선되는 경합 지역이다.
남양주시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의회 | 국회 |
유형 | 국회 |
연도 | 2004 |
이전 선거구 | 남양주시 |
이후 선거구 | 남양주시 병 (2016년 분리) |
의원수 | 1인 |
당선자 정보 | |
의원 | 최민희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지방 의회 정보 | |
지방 의회 | 경기 |
기타 정보 |
2. 역사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남양주시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최재성 의원이 내리 3선을 하였다. 이후 제20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조응천 의원이,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최민희 의원이 당선되었다. 이처럼 남양주시 갑 선거구에서는 역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계열 정당 후보들이 지속적으로 당선되어,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세가 강한 지역임을 보여준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남양주시의 인구 증가로 인해 남양주시 병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이에 금곡동, 양정동, 와부읍, 조안면이 신설되는 남양주시 병 선거구로 편입되었다.
3. 관할 구역
4. 역대 국회의원
4.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5. 역대 선거 결과
남양주시 갑 선거구는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남양주시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 이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남양주시 병 선거구가 신설되면서 금곡동, 양정동, 와부읍, 조안면이 남양주시 병 선거구로 편입되었다.
역대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계열 정당 후보들이 강세를 보였다.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최재성 후보가 연이어 당선되었고,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와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조응천 후보가 당선되었다.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최민희 후보가 당선되며 더불어민주당의 강세가 이어졌다.
하지만, 국민의힘 계열 정당 후보들과의 경쟁은 치열했다. 특히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조응천 의원이 개혁신당 소속으로 출마하여 13.18%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양당 구도에 변화를 가져왔다.
5. 1.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최재성 | 열린우리당 | 30,877 | 39.76 |
안형준 | 한나라당 | 25,035 | 32.23 |
신낙균 | 새천년민주당 | 13,104 | 16.87 |
박상대 | 무소속 | 4,414 | 5.68 |
김창희 | 민주노동당 | 4,222 | 5.43 |
합계 | 77,652 | 100 |
5. 2.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5. 3.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최재성 | 민주통합당 | 59,468 | 53.27 |
송영선 | 새누리당 | 46,722 | 41.85 |
양홍관 | 무소속 | 2,166 | 1.94 |
김지용 | 무소속 | 2,113 | 1.89 |
배일도 | 국민생각 | 1,148 | 1.02 |
합계 | 111,617 | 100 |
5. 4.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조응천 | 더불어민주당 | 32,785 | 40.07% |
심장수 | 새누리당 | 32,536 | 39.77% |
유영훈 | 국민의당 | 13,524 | 16.53% |
이인희 | 무소속 | 2,263 | 2.76% |
이기원 | 민중연합당 | 694 | 0.84% |
합계 | 81,802 | 100.00% |
5. 5.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조응천 | 더불어민주당 | 59,779 | 57.95 |
심장수 | 미래통합당 | 39,318 | 38.11 |
이인희 | 민생당 | 2,904 | 2.81 |
한명선 | 국가혁명배당금당 | 674 | 0.65 |
송영진 | 우리공화당2020 | 469 | 0.45 |
합계 | 103,144 | 100 |
5. 6.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최민희 후보가 51.0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국민의힘 유낙준 후보는 35.73%, 개혁신당 조응천 후보는 13.18%를 득표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