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전압 차분 신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VDS)는 1994년 내셔널 세미컨덕터의 FPD-Link를 기반으로 표준화된 차분 신호 시스템이다. 두 개의 전압을 전송하고 수신기에서 전압차를 비교하여 정보를 부호화하며, 낮은 전력 소비와 작은 전자기적 잡음,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주로 컴퓨터, 주변기기, 디스플레이, 통신 장비 등에 사용되었으며, 특히 노트북과 평판 디스플레이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하지만,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서 배선 수의 증가와 같은 한계로 인해 eDP, iDP, V-by-One HS 등의 대체 기술이 개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컴퓨터 버스 - NMEA 0183
NMEA 0183은 선박용 GPS, 자동식별장치(AIS) 등 항해 장비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ASCII 기반의 직렬 통신 프로토콜로, RS-422 전기 표준을 사용하며, 문장 형태의 데이터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고,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3가지 레이어로 구성되어 다양한 소프트웨어에서 지원된다. - 컴퓨터 버스 - 인피니밴드
인피니밴드는 고성능 컴퓨팅 환경에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치 간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직렬 통신 기술로, 슈퍼컴퓨터나 데이터 센터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이더넷 기반 기술과의 경쟁 및 새로운 컴퓨팅 환경에 대한 적응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낮은 전압 차분 신호 | |
---|---|
개요 | |
이름 | 낮은 전압 차분 신호 |
영어 이름 | 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
역사 | |
발명 시기 | 1994년 |
기술 정보 | |
대체 | 해당 사항 없음 |
대역폭 | 해당 사항 없음 |
장치 수 | 해당 사항 없음 |
속도 | 655 Mbit/s (최대 1-3 Gbit/s 가능) |
스타일 | 해당 사항 없음 |
핫플러그 | 해당 사항 없음 |
외부 연결 | 해당 사항 없음 |
2. 역사
1994년 미국 내셔널 세미컨덕터사의 FPD-Link (Flat Panel Display Link)를 기반으로, ANSI/TIA/EIA-644-A에서 LVDS가 표준화되었다.[1] 이 표준에서는 트위스트 페어 구리선에서 최대 655Mbit/s까지를 권장하고 있지만, 이상적인 전송로에서는 1.9Gbit/s를 초과하는 속도도 가능하다고 예측하고 있다.[1]
LVDS는 차등 신호 시스템으로, 송신기에서 서로 다른 두 개의 전압을 전송하고 수신기에서 이 신호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정보를 부호화하기 위해 두 전선 간의 전압 차이를 사용하며, 송신기는 일반적으로 3.5mA의 적은 전류를 사용한다. 이 전류는 수신기 끝단의 100 ~ 120Ω 저항(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를 맞춤)을 통과하며 소모되고, 다른 전선을 통해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간다. 옴의 법칙에 의해 저항 사이에 걸리는 전압은 대략 350mV이다. 수신기는 이 전압의 극성을 감지하여 논리 레벨을 판단한다. 이러한 신호 형태는 전류 루프라고 불린다.[11]
LVDS의 형식이 되기 전에는 SCI-LVD라고 불리는 방식이 시도되었는데,[1] 이는 Scalable Coherent Interconnect (SCI)의 서브셋으로, IEEE 1596.3에 규정되어 있다.[1] SCI-LVD는 여러 프로세서 간 통신을 위해 설계되었다.[1]
3. 기술 원리
LVDS는 신호의 진폭이 작고 두 연선이 전자기적으로 잘 결합되어 있어 방사되는 전자기적 잡음과 이에 따른 전력 소모가 적다. 일반 모드 전압이 약 1.25V(연선 전압의 평균)로 낮기 때문에, LVDS는 2.5V 이하의 저전압 IC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350mV의 낮은 차분 전압은 LVDS가 다른 시스템보다 적은 전력을 소모하게 한다.[1]
예를 들어, LVDS 부하 저항에서의 정적 전력 소모는 1.2mW이지만, RS-422 신호의 부하 저항에 의한 전력 소모는 90mW이다. 부하 저항이 없으면, 모든 데이터 비트에 대해 전체 전선의 부하를 걸거나 제거해야 한다. 고속 주파수와 부하 저항을 사용하면, 하나의 비트가 전선(광속으로 전송하는 동안)의 한 부분에만 걸치기 때문에 좀 더 전력 효율이 좋다.[8]
로직 레벨은 다음과 같다:[1]Vee VOL VOH Vcc VCMO GND 1.0 V 1.4 V 2.5–3.3 V 1.2 V
LVDS만이 차분 신호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는 LVDS만이 저전력과 고속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3. 1. 차분 신호 vs. 단일 신호
차분 신호 방식은 외부 노이즈에 강하며, 낮은 전압으로도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어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단일 신호 방식에 비해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신호 왜곡도 적다.
LVDS는 두 전선 간의 전압 차이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차분 신호 방식이다. 송신기는 두 전선에 서로 다른 전압을 보내고, 수신기는 이 두 전압의 차이를 비교하여 신호의 논리 레벨을 판단한다.[11]
일반적인 LVDS 구현에서 송신기는 3.5 암페어의 일정한 전류를 전선에 주입하며, 전류의 방향은 디지털 논리 레벨을 결정한다. 전류는 수신단의 약 100~120 옴의 종단 저항(반사를 줄이기 위해 케이블의 특성 임피던스에 맞춤)을 통과한 다음 다른 전선을 통해 반대 방향으로 돌아간다. 옴의 법칙에 따라 저항에 걸리는 전압 차이는 약 350 볼트이다. 수신기는 이 전압의 극성을 감지하여 논리 레벨을 결정한다.[1]
두 전선 사이에 전기적 및 자기적 필드가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으면 LVDS는 전자기 노이즈 생성을 줄일 수 있다. 이는 두 전선에서 동일하고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가 서로 상쇄되는 동일하고 반대 방향의 전자기장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또한, 밀접하게 결합된 전송 전선은 노이즈가 각 전선에 동일하게 영향을 미치고 공통 모드 노이즈로 나타나기 때문에 전자기 노이즈 간섭에 대한 민감도를 줄인다. LVDS 수신기는 차분 전압을 감지하기 때문에 공통 모드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1]
LVDS 송신기가 일정한 전류를 소비한다는 사실은 전원 공급 장치 디커플링에 대한 요구 사항을 훨씬 줄여 송신 회로의 전원 및 접지 라인에서 간섭이 덜 발생한다. 이로 인해 높은 논리 레벨과 낮은 논리 레벨이 서로 다른 전류를 소비하는 종단된 단일 종단 전송 라인 또는 스위칭 중에 갑자기 전류가 나타나는 비 종단 전송 라인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접지 바운스와 같은 현상이 줄어들거나 제거된다.[1]
약 1.2 볼트의 낮은 공통 모드 전압(두 전선의 전압 평균)은 2.5 볼트 또는 그 이하의 전원 공급 전압을 가진 광범위한 집적 회로에서 LVDS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약 350 밀리볼트의 낮은 차동 전압으로 인해 LVDS는 다른 신호 기술에 비해 전력 소비가 매우 적다. 2.5 볼트의 공급 전압에서 3.5 밀리암페어를 구동하는 전력은 8.75 밀리와트가 되며, 이는 RS-422 신호에 대한 부하 저항에서 소모되는 90 밀리와트에 비해 훨씬 적다.[1]
LVDS는 병렬 통신과 직렬 통신 모두에서 작동한다. 직렬 데이터 통신은 직렬 데이터 스트림 내에 클럭을 내장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한 병렬 클럭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1]
3. 2. 다중 LVDS (MLVDS)
'''다중 LVDS''' ('''MLVDS''')는 TIA 표준 (TIA-899)이며, AdvancedTCA에서 시차를 위해 사용되도록 발전하였다.[4][5]
MLVDS는 여러 개의 LVDS 송신기와 수신기를 하나의 버스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더 많은 장치 간의 통신을 지원한다. 주로 백플레인 연결 등에서 사용된다.
MLVDS에는 두 가지 형식의 수신기가 있다. 형식1은 LVDS와 거의 호환되고 0V 임계값을 사용한다. 형식2는 개방 회로와 단락 회로같은 다양한 오류를 지속적으로 처리하는 100mV 임계값을 사용한다. MLVDS의 전압은 다음과 같다.
최소/최대 입력 전압 | 최소/최대 출력 공통 모드 전압 | 최소/최대 출력 전압 |
---|---|---|
-1.4 / 3.8 V | 0.3 / 2.1 V | 0.480 / 0.650 V |
표준 LVDS 송신기는 점대 점연결로 설계되었지만, 다중 터미널에 입력이 가능하도록 고전류 출력으로 개선된 LVDS 송신기를 사용하여 버스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TI의 '''LVDM'''은 ''de facto'' 다중 LVDS 표준이다.
4. 표준
미국 표준 학회(ANSI)/미국 통신 산업 협회(TIA)/미국 전자 산업 협회(EIA-644-A)(2001년에 발표됨)에서 LVDS 표준을 정의했다. 이 표준은 연선 구리선을 통해 최대 655 Mbit/s의 데이터 속도를 권장했지만, 고품질 전송 매체에서 1~3 Gbit/s의 데이터 속도가 일반적이다.[6] 1994년에 ANSI/TIA/EIA-644-A에서 LVDS가 표준화되었으며, 트위스트 페어 구리선에서 최대 655Mbit/s까지를 권장하고 있지만, 이상적인 전송로에서는 1.9Gbit/s를 초과하는 속도도 가능하다고 예측하고 있다.
4. 1. 관련 표준
LVDS는 여러 표준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MLVDS (TIA-899): 다중 LVDS 표준이다.[8] MLVDS는 수신측에 2가지 종류가 있는데, Type-1은 대부분 LVDS와 호환되며 0V 임계값을 사용하고, Type-2는 회로가 개방되거나 단락되는 등 다양한 에러를 일정한 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해 100mV 임계값을 사용한다.
최소/최대 입력 전압 | 최소/최대 출력 공통 모드 전압 | 최소/최대 출력 전압 |
---|---|---|
-1.4 / 3.8 V | 0.3 / 2.1 V | 0.480 / 0.650 V |
5. 응용 분야
LVDS는 1990년대 중반부터 멀티미디어 및 슈퍼컴퓨터 사용자들의 대용량 데이터 전송과 수 미터에 달하는 긴 연결선(예: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워크스테이션으로)의 필요에 의해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다.[2]
LVDS는 컴퓨터 버스, 디스플레이, 카메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컴퓨터 버스에서는 하이퍼트랜스포트, 파이어와이어 등이 있으며, 디스플레이에서는 FPD-링크, OpenLDI 등이, 카메라에서는 카메라 링크 등이 활용된다.
5. 1. 컴퓨터 및 주변기기
LVDS는 1990년대 중반 이후 노트북, 데스크톱 컴퓨터, 서버 등에서 메인보드와 디스플레이, 저장 장치 등을 연결하는 데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특히, PCI 익스프레스, 하이퍼트랜스포트, 파이어와이어 등 고속 인터페이스에서도 LVDS 기술이 활용된다.[2]LVDS의 최초 상업적 성공 사례는 노트북 컴퓨터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링크를 통해 그래픽 처리 장치의 비디오 데이터를 평판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것이었다. FPD-Link 칩셋은 비디오 인터페이스와 클럭을 단 4개의 차동 쌍(8개 와이어)으로 줄여 디스플레이와 노트북 간 연결을 용이하게 했다.[2] 이는 1990년대 후반 노트북에서 사실상 표준이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노트북 및 태블릿 컴퓨터에서 주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로 사용되고 있다.
이후 LVDS는 카메라 링크와 같이 컴퓨터 비전 응용 분야를 위한 직렬 통신 프로토콜에도 사용되었다. 자동 이미징 협회(AIA)에서 관리하는 이 표준은 과학 및 산업 제품의 비디오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한다.
SATA, RapidIO, SpaceWire와 같은 고속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기술들 역시 LVDS를 사용한다.



5. 2. 디스플레이
LVDS는 영상 장치에서 컴퓨터 모니터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일부 평판 패널에서는 FPD-링크(Flat Panel Display Link)나 공개된 낮은 전압 차분 신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OpenLDI) 표준이 사용된다.[2] 이러한 표준은 최대 112MHz 화소 클럭을 지원하여 60 Hz 프레임에서 1400 x 1050 (SXGA+) 해상도를 표현할 수 있다. 이중 링크를 사용하면 60 Hz 프레임에서 최대 2048 x 1536 (QXGA) 해상도까지 표현할 수 있다. FPD-링크는 5m 이하의 케이블에서 동작하고, LDI는 10m까지 확장할 수 있다.
LVDS의 최초 상업적 성공 사례는 평판 디스플레이 링크를 사용하여 그래픽 처리 장치에서 평판 디스플레이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노트북 컴퓨터였다. 최초의 FPD-Link 칩셋은 21비트 폭의 비디오 인터페이스와 클럭을 단 4개의 차동 쌍(8개 와이어)으로 줄여, 디스플레이와 노트북 사이를 쉽게 연결할 수 있었고 LVDS의 저잡음 특성과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활용할 수 있었다. FPD-Link는 1990년대 후반에 노트북 응용 분야의 사실상 표준이 되었으며, 현재까지 노트북 및 태블릿 컴퓨터에서 지배적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이다.
LVDS 응용 분야는 화면 해상도와 색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 TV용 평판 디스플레이로 확장되었다. FPD-Link 칩셋은 비디오 데이터를 메인 비디오 프로세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이밍 컨트롤러로 전송하기 위한 내부 TV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 속도와 병렬 LVDS 채널 수를 계속 증가시켰다. FPD-Link(일반적으로 LVDS라고 함)는 이 내부 TV 상호 연결의 사실상 표준이 되었으며 2012년에도 이 응용 분야의 지배적인 인터페이스로 남아있다.
인텔(Intel)과 AMD는 2010년 12월 보도 자료를 통해 2013년까지 제품 라인에서 LVDS LCD 패널 인터페이스를 더 이상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임베디드 디스플레이포트 및 내부 디스플레이포트를 선호하는 솔루션으로 홍보하고 있다.[3] 그러나 LVDS LCD 패널 인터페이스는 비디오 처리 장치에서 LCD 패널 타이밍 컨트롤러로 스트리밍 비디오를 이동하는 가장 저렴한 방법으로 입증되었으며, 2018년 2월 LCD TV 및 노트북 제조업체는 LVDS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새로운 제품을 계속 출시하고 있다.
5. 3. 기타
LVDS는 카메라 링크,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산업용 장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컴퓨터 비전용으로 설계된 직렬 통신 프로토콜인 카메라 링크는 LVDS를 사용하는 채널 링크 칩셋을 기반으로 한다. 카메라 링크는 카메라, 케이블, 프레임 그래버 등 과학 및 산업 제품의 비디오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하며, 자동 이미징 협회(AIA)가 이 표준을 유지 관리한다.
컴퓨터 버스에서 사용되는 LVDS의 예로는 하이퍼트랜스포트와 파이어와이어가 있다. 이들은 SCI로 이어진 Futurebus 이후의 작업에서 개발되었다. LVDS는 SCSI 표준(Ultra-2 SCSI 이상)에서 더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와 더 긴 케이블 길이를 가능하게 하는 물리 계층 신호이기도 하다. SATA, RapidIO, SpaceWire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해 LVDS를 사용한다.
LVDS는 전송 폭에 유연성을 갖도록 설계되었다. 데이터 전송 속도를 크게 요구하지 않는 용도에서는 2개의 데이터선과 2개의 클럭선만 사용하여 전송로 양단에 "Serializer/Deserializer"(SerDes)라는 병렬 데이터와 직렬 데이터를 직렬/병렬로 변환하는 SerDes를 활용, 1쌍의 데이터선으로 1비트씩 송수신하는 구성을 채택하기도 한다. 이러한 "SerDes" 방식은 디지털 기기 내부의 병렬 버스보다 적은 수의 선을 사용하는 직렬 데이터 방식이 편리한 기판 간 결선 등에 사용된다.
6. 한계 및 대체 기술
2010년 현재 LVDS 기술을 채용한 제품에서도 최상위 고화질 대형 화면 TV 등에서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이미지 처리 LSI와 타이밍 컨트롤러 IC 사이에 데이터 선만 96개, 48쌍이나 되는 배선[9]이 필요하다. 이러한 많은 배선 수는 IC와 케이블 비용, 기기 공간의 자유도를 제한하고, 클럭과 데이터의 스큐(skew)나 EMI 방사 대책 등으로 기판 설계를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LVDS를 채용하고 있는 각 회사는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차세대 기술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들은 모두 클럭 신호를 데이터 선에 중첩하여 스큐 문제를 회피한다.[9] LVDS의 주요 대체 기술로는 eDP, iDP, V-by-One HS, FPD-Link II, Advanced PPmL 등이 있다.
명칭 | LVDS | eDP | iDP | V-by-One HS | FPD-Link II | Advanced PPmL |
---|---|---|---|---|---|---|
신호선 1쌍당 데이터 전송 속도 | 최대 1.05G비트/초 전후 (가변) | 2.7G비트/초 또는 1.62G비트/초 (고정) | 3.24G비트/초 (고정) | 최대 3.75G비트/초 (가변) | 최대 1.82G비트/초 (가변) | 최대 2G비트/초 (가변) |
전용 클럭 유무 | 있음 | 없음 | 없음 | 없음 | 없음 | 없음 |
부호화 방식 | 없음 | 8B/10B | 8B/10B | 8B/10B | 없음 | 4B/5B |
커플링 | DC | AC | AC | AC | AC | 불명 |
파형 등화 규정 | 없음 | 있음 (옵션) | 불명 | 없음 (실질적으로 필요) | 없음 | 불명 |
저작권 보호 기능 | 없음 | HDCP | 없음 | 없음 | 없음 | 불명 |
로열티 | 없음 | 없음 | 없음 | 없음 | 비공개 | 없음 (계획 중) |
비고 | 미국 내셔널 세미컨덕터사의 Flat Panel Display Link (FPD-Link)가 기반 | 주로 노트북을 위한 사양 | 주로 텔레비전을 위한 사양. STMicroelectronics사가 개발 | 일본 자이엔 일렉트로닉스사가 개발 | 미국 내셔널 세미컨덕터사가 개발 | 텔레비전을 위한 사양. NEC 일렉트로닉스사가 개발 |
6. 1. V-by-One HS
'''V-by-One HS'''는 주로 텔레비전용 LVDS 대체 규격으로, 일본 자이엔 일렉트로닉스(ザインエレクトロニクス)사가 주도하고 있으며, 삼성전자가 텔레비전 배선 기술에 채용할 예정이라고 한다.[9] 2010년 현재 LVDS 기술을 채용한 제품에서도 최상위 고화질 대형 화면 TV 등에서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이미지 처리 LSI와 타이밍 컨트롤러 IC 사이에 데이터 선만 96개, 48쌍이나 되는 배선이 필요하다.[9] 이러한 많은 배선 수는 IC와 케이블 비용, 기기 공간의 자유도를 제한하고, 클럭과 데이터의 스큐(skew)나 EMI 방사 대책 등으로 기판 설계를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V-by-One HS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다.V-by-One HS는 클럭 신호를 데이터 선에 중첩하여 스큐 문제를 회피한다. 신호선 1쌍당 데이터 전송 속도는 최대 3.75G비트/초(가변)이다. 8B/10B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며, AC 커플링을 사용한다. 파형 등화는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필요하다. 저작권 보호 기능은 없다.[10]
명칭 | LVDS | V-by-One HS |
---|---|---|
신호선 1쌍당 데이터 전송 속도 | 최대 1.05G비트/초 전후 (가변) | 최대 3.75G비트/초 (가변) |
전용 클럭 유무 | 있음 | 없음 |
부호화 방식 | 없음 | 8B/10B |
커플링 | DC | AC |
파형 등화 규정 | 없음 | 없음 (실질적으로 필요) |
저작권 보호 기능 | 없음 | 없음 |
로열티 | 없음 | 없음 |
비고 | 미국 내셔널 세미컨덕터사의 Flat Panel Display Link (FPD-Link)가 기반 | 일본 자이엔 일렉트로닉스사가 개발 |
6. 2. eDP (Embedded DisplayPort)
VESA가 표준화한 주로 노트북용 LVDS 대체 규격이다.[9] 파형 등화가 옵션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HDCP에 의한 저작권 보호 기능도 갖추고 있다.[9] 2009년 미국 인텔(Intel) 사는 2013년에는 노트북을 포함한 휴대 단말기의 80%에 eDP가 채용될 것으로 예상했다.[9]명칭 | LVDS | eDP | iDP | V-by-One HS | FPD-Link II | Advanced PPmL |
---|---|---|---|---|---|---|
신호선 1쌍당 데이터 전송 속도 | 최대 1.05G비트/초 전후 (가변) | 2.7G비트/초 또는 1.62G비트/초 (고정) | 3.24G비트/초 (고정) | 최대 3.75G비트/초 (가변) | 최대 1.82G비트/초 (가변) | 최대 2G비트/초 (가변) |
전용 클럭 유무 | 있음 | 없음 | 없음 | 없음 | 없음 | 없음 |
부호화 방식 | 없음 | 8B/10B | 8B/10B | 8B/10B | 없음 | 4B/5B |
커플링 | DC | AC | AC | AC | AC | 불명 |
파형 등화 규정 | 없음 | 있음 (옵션) | 불명 | 없음 (실질적으로 필요) | 없음 | 불명 |
저작권 보호 기능 | 없음 | HDCP | 없음 | 없음 | 없음 | 불명 |
로열티 | 없음 | 없음 | 없음 | 없음 | 비공개 | 없음 (계획 중) |
비고 | 미국 내셔널 세미컨덕터사의 Flat Panel Display Link (FPD-Link)가 기반 | 주로 노트북을 위한 사양 | 주로 텔레비전을 위한 사양. STMicroelectronics사가 개발 | 일본 자이엔 일렉트로닉스사가 개발 | 미국 내셔널 세미컨덕터사가 개발 | 텔레비전을 위한 사양. NEC 일렉트로닉스사가 개발 |
6. 3. iDP (Internal DisplayPort)
iDP는 주로 텔레비전용 LVDS 대체 규격으로, 2010년 제2사분기에 VESA에서 표준 규격화될 예정이었다.[9] iDP는 3.24G비트/초의 고정된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며, 8B/10B 부호화 방식을 사용한다. 전용 클럭 신호는 없으며, AC 커플링을 사용한다. 파형 등화 규정 및 저작권 보호 기능은 알려지지 않았다.[10] STMicroelectronics사가 개발했으며, 주로 텔레비전을 위한 사양이다.[10]명칭 | iDP |
---|---|
신호선 1쌍당 데이터 전송 속도 | 3.24G비트/초 (고정) |
전용 클럭 유무 | 없음 |
부호화 방식 | 8B/10B |
커플링 | AC |
파형 등화 규정 | 불명 |
저작권 보호 기능 | 없음 |
로열티 | 없음 |
비고 | 주로 텔레비전을 위한 사양. STMicroelectronics사가 개발 |
참조
[1]
간행물
Interfacing Between LVPECL, VML, CML, and LVDS Levels
https://focus.ti.com[...]
Texas Instruments
2002-12
[2]
간행물
D-PHY Solutions
https://www.xilinx.c[...]
Marc Defossez
[3]
뉴스
Leading PC Companies Move to All Digital Display Technology, Phasing out Analog
https://newsroom.int[...]
[4]
웹사이트
M-LVDS (Multi-Point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https://www.analog.c[...]
2024-04-07
[5]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M-LVDS (TIA/EIA-899)
https://www.ti.com/l[...]
2024-04-07
[6]
웹사이트
EIA-644 Bus Description, RS644 LVDS
http://www.interface[...]
interfacebus.com
2008-03-10
[7]
뉴스
IntelとAMD、アナログディスプレイ出力を2015年までに廃止 ~パネルメーカーやPCメーカーも賛同
https://pc.watch.imp[...]
PC Watch
[8]
문서
[9]
문서
[10]
서적
ノート・パソコンやテレビでLVDS代替の新技術導入
日経エレクトロニクス
2010-02-08
[11]
간행물
Interfacing Between LVPECL, VML, CML and LVDS Levels
http://focus.ti.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