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스아메리칸 P-51 머스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스아메리칸 P-51 머스탱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개발된 미국의 장거리 호위 전투기이다. 1939년 영국 정부의 요청으로 노스아메리칸에서 커티스 P-40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층류익과 "메러디스 효과"를 이용한 라디에이터 설계를 특징으로 한다. 앨리슨 엔진을 장착한 초기형은 성능 문제로 인해 전투보다는 급강하 폭격기로 사용되었고, 이후 롤스로이스 멀린 엔진을 탑재하여 성능을 개선했다. 특히 D형은 물방울형 캐노피를 채택하여 시야를 개선했고, 한국 전쟁에서 대한민국 공군의 주력 전투기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펠러 항공기 - 하인켈 He 51
    하인켈 He 51은 1930년대 초 하인켈에서 개발되어 독일 공군의 주력 전투기로 선전되었고 스페인 내전에 투입되었으나 구식화되어 지상 공격 임무로 전환,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어 훈련기로 활용되다 대파르티잔 작전에 투입된 독일의 복엽 전투기이다.
  • 프로펠러 항공기 - 인제뉴어티
    인제뉴어티는 NASA의 화성 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에 탑재되어 화성에서 동력 제어 비행을 시도한 소형 헬리콥터로, 2021년 지구 밖 행성에서 인류가 만든 장치가 제어된 방식으로 비행한 최초의 사례로 기록되었으며, 72회의 비행을 통해 화성 탐사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미래 화성 탐사 임무에 중요한 기술적 토대를 제공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미국 군용기 - 그러먼 F6F 헬캣
    그러먼 F6F 헬캣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 해군의 주력 함상 전투기로, 견고한 구조와 강력한 엔진을 바탕으로 뛰어난 운동 성능과 방어력을 갖춰 일본 항공 전력 격멸에 기여하고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으며, 높은 격추 대 손실 비율을 기록하며 태평양 전쟁에서 맹활약, 수많은 에이스를 배출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미국 군용기 - 그러먼 F4F 와일드캣
    그러먼 F4F 와일드캣은 미국 해군이 개발한 함상 전투기로, 튼튼한 기체 구조와 12.7mm 기관총 6정을 장착했으며, 태평양 전쟁 초기와 영국 해군에서 활약했다.
  • 1940년 첫 비행한 항공기 - 호커 타이푼
    호커 타이푼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공군에서 운용된 단발 전투기 겸 전투 폭격기로, 호커 허리케인의 후속 기종으로 개발되어 네이피어 세이버 엔진을 탑재, 초기 결함에도 불구하고 지상 공격기로 활약하며 연합군을 지원했다.
  • 1940년 첫 비행한 항공기 - 하인켈 He 280
    하인켈 He 280은 하인켈사가 개발한 세계 최초의 제트 전투기 중 하나로, 쌍발 터보제트 엔진과 사출 좌석을 갖추었으나 엔진 문제와 개발 중단으로 인해 총 9대의 시제기만 제작되었다.
노스아메리칸 P-51 머스탱
항공기 정보
이름노스아메리칸 P-51/F-51 머스탱
시험 운행중인 노스아메리칸 P-51 머스탱
기종전투기
제작노스아메리칸 항공사
첫 비행1940년 10월 26일
도입1943년
주요 사용자공군
기타 사용자공군
공군
자위대
등등

2. 유래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 영국 정부는 헨리 셀프 경이 이끄는 구매 위원회를 미국에 설립하였다. 1938년에 영국 공군을 위한 연구 개발과 생산에 관한 전권과 책임을 맡게 된 윌프리드 프리먼 경과 함께, 셀프 경은 영국 공군 위원회의 공급 관련 소위원회에 참석했고, 영국 공군을 위한 미국 전투기 제조를 타진하고 진행하였다. 그러나 선택의 폭은 매우 좁았고, 당시 운용 중인 어떤 미국 전투기도 영국의 표준을 만족시키지 못했으며, 커티스 P-40 토마호크만이 근접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커티스 공장은 이미 생산력을 초과한 운영을 하고 있었기에, 부족한 공급이 예상되었다.[1]

노스아메리칸(NAA)은 이미 그들의 훈련기인 하바드를 영국 공군에 납품하고 있었으나, 운용률은 낮았다. 당시 노스아메리칸의 대표이사였던 제임스 H. 킨델버거는 셀프 경에게 새로운 중형 폭격기인 B-25 미첼 구매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셀프 경은 노스 아메리칸이 커티스의 토마호크를 면허 생산할 수 있을지를 타진했다.[1]

킨델버거는 이 요청에 대해, 노스아메리칸이 P-40을 위한 양산 라인을 설치하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짧은 시간 안에 P-40과 동일한 엔진을 채용한 더 나은 전투기를 새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그 제안에 따라 프리먼 경은 1940년 3월에 320대의 비행기를 노스 아메리칸에 주문하였다. 그리고 1940년 6월 26일, 영국은 패커드 사에 롤스로이스 사의 멀린 엔진에 대한 면허 생산권을 주어 개량 버전을 개발케 했다.[1]

3. 개발 역사

오른쪽


영국의 주문에 대해 노스아메리칸 사는 '''NA-73X'''라는 프로젝트 명을 부여하고 1940년 3월부터 개발에 돌입했다. 기본적인 설계는 그 당시 시대의 가장 보편적인 방식을 따랐지만, 두 가지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였다. 첫 번째는 국립 항공 자문위원회(NACA)가 설계한 층류 방식의 날개를 채용한 것이다. 이로 인해 빠른 속력에서도 날개 윗부분에 와류(drag) 발생을 최소화하여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2][3]

두 번째는 새로운 라디에이터 설계(커티스가 동작하게 하는 데 실패했던 설계)를 채용했다는 점이다. 이 설계는 뜨거워진 공기를 제트 분출의 형태로 라디에이터로 내보내는 것으로, "메러디스 효과"로 알려져 있다. 노스 아메리칸은 이를 시험할 적합한 풍동(wind tunnel)을 보유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구겐하임 항공학연구소(GALCIT)의 풍동을 사용했다.

이후 머스탱에 적용된 방열 시스템의 항공역학이 노스아메리칸의 개발자에 의한 것인지, 커티스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역사학자와 연구자들은 기술 도용에 대한 주장을 곧 철회했다. 노스아메리칸이 커티스로부터 P-40 전체에 대한 권한과 XP-46 풍동에 대한 데이터와 비행 시험 결과를 56000USD에 사들였기 때문이다.[4]

미국 육군 항공 군단(United States Army Air Corps, USAAC)은 이 항공기 판매가 미국의 이익에 해로운지 판단하여 판매를 중단시킬 수도 있었지만, NA-73 프로젝트는 특수한 경우로 인식되었다. 영국 공군에 중단없는 납품을 보장하기 위해, 노스 아메리칸은 미국 육군 항공 군단을 위해서도 두 대의 시험기를 제공하게 되었다.

NA-73X 시제기는 발주 후 117일 만에 출고되었고, 118일째인 1940년 10월 26일에 첫 비행을 마쳤다. 이는 매우 빠른 개발 기간이었다. 시제기는 전반적으로 잘 동작했고, 내부 구조상 연료 적재량도 인상적일 만큼 늘었다. 시제기는 4기의 M1919 브라우닝 기관총(7.62 mm)과 2기의 M2 브라우닝 기관총(12.7 mm)을 날개와 동체 하부에 탑재하고 있었다.

4. 엘리슨 엔진 탑재형

비행중인 P-51 머스탱


초기 P-51은 앨리슨 엔진을 탑재했으나, 고고도 성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1]

4. 1. A형

영국 공군은 전투기 부족으로 미국의 커티스 항공회사에 P-40을 만들어 달라고 부탁하였으나 생산 능력이 부족한 탓에 노스아메리칸 사에 하청 생산을 의뢰했고 노스아메리칸사는 3개월 내에 새로운 전투기를 만들어 냈다. 앨리슨 엔진을 채택하였으며 물방울형이 아닌 메서슈미트 Bf 109 같은 콕핏을 채택하였다.

영국 공군은 이 기체를 상당히 유용하게 사용했는데, 전투기로 사용했으나 엘리슨 엔진의 성능이 좋지 않아 전투는 가급적 피했다.[1] 미국 육군 항공대는 이것을 아예 급강하 폭격기로 사용하였다.[1]

5. 멀린 엔진 탑재형

롤스로이스 멀린 엔진으로 교체하면서 P-51의 고고도 성능과 속도가 크게 향상되어, P-51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5. 1. B, C형

롤스로이스 멀린 엔진을 장착하여 기존 엔진 문제를 해결했다.

5. 2. D형

물방울형 칵피트를 채택하여 시야를 개선한, 널리 알려진 P-51의 대표적인 형식이다. 보통 P-51하면 이 형식을 떠올린다.

5. 3. H형

M3 브라우닝 기관총을 장착해 기체가 더욱 가벼워졌다.

5. 4. K형

1950년 6월 25일에 일어난 한국 전쟁에서 대한민국 공군의 주력 전투기였다.[1]

6. 대한민국 공군과 P-51

대한민국 공군은 창설 후 처음으로 P-51을 전투기로 장비하였다. 그 이전에는 L-4, L-5 연락기 및 한국 전쟁 발발 1개월 전에 구입한 건국기가 전부였다. 전쟁 초기 한국 공군은 L-4, L-5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공군의 Yak-9, IL-10 등에 맞섰으나, 연습기와 전투기 간의 공중전은 불가능했다. T-34/85를 앞세운 적 지상군이 더 큰 문제였기에, L-4, L-5를 이용해 후방석 승무원이 수동으로 폭탄을 투하하는 방식으로 지상 폭격을 시도했으나, 큰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이 한국전쟁 참전을 결정하면서, 한국 공군에 F-51D(1946년에 P-51에서 개칭)를 공급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군 조종사 10명이 일본으로 건너가 7월 2일 10대의 P-51을 인수하고 1주일간 훈련 후 귀국했다. 당시 기체의 국적 표시도 고치지 못할 정도로 급박하게 진행되었으며, 한국에 도착해서야 국적 표시를 수정했다. 이때부터 한국 공군 국적 마크에는 태극 문양 양옆에 미국식 3개의 띠가 추가되었다. 2005년에 한국 공군은 미군 국적 마크의 잔재인 태극 문양 좌우의 띠를 태극의 건곤으로 교체하였다.

한국 공군의 P-51은 주로 지상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미국 참전 직후 북한 공군은 거의 전멸했지만, 1950년 후반 중국의 개입으로 공중전은 주로 제트기(F-86 세이버, MiG-15)가 담당하게 되었다. 미군에서도 제2차 세계 대전 방식의 프로펠러기는 지상 지원에 투입되었고, 한국 공군 역시 P-51을 지상 지원에 투입, 1951년 겨울에는 지리산 빨치산 토벌 작전에도 동원했다.

7. 제원 (D형)

wikitext

P-51의 삼면도


항목내용
종류단좌 프롭 전투기
엔진팩커드 롤스로이스 멀린 V-1650-7 1490hp
지속비행거리2655km (보조 연료탱크 장착시)
상승 속도978m/m
최고 속도703km/h
순항 속도580km/h
실속 속도160km/h
최고 고도12770m
무장cal 50. 12.7mm 기관총x6
무장(선택사항)127mm 로켓 10x5, 약 907.18kg 폭탄
탄약수바깥쪽 4정 각 250~70발, 안쪽 2정 각각 400발


참조

[1] 서적 Furse 1999
[2] 웹사이트 P-51D wingroot section and P-51D wingtip section http://www.ae.uiuc.e[...] 2008-03-22
[3] 웹사이트 Discussion of laminar flow on P-51 wing http://yarchive.net/[...] 2008-07-04
[4] 서적 Yenne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