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불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눈불개는 이름과 중국 이름이 눈의 홍채 부분이 붉은색을 띠는 데서 유래한 물고기이다. 러시아 아무르강 수계에서부터 중국, 한반도, 베트남에 걸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한강과 금강에 주로 서식한다. 몸은 길고 원통형이며, 등 쪽은 연한 갈색, 배 쪽은 은백색을 띤다. 완만하게 흐르는 강이나 호수에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수생 곤충, 조개류, 작은 물고기 등을 먹고 산다. 생후 2년 만에 성적으로 성숙하며, 5월에서 8월 사이에 번식한다. 중국에서는 식용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눈불개아과 - 초어
초어는 잉어과에 속하며 수생 식물을 먹고 빠르게 성장하는 물고기로, 식용 및 생물학적 방제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양식 및 낚시용으로 인기를 끌었으나 쇠퇴했다. - 러시아의 물고기 - 메기
메기는 메기과에 속하는 비늘 없는 야행성 어류로, 긴 수염을 이용해 감각을 감지하며 한국에서는 매운탕 재료, 일본에서는 낚시 대상어 및 문화 소재로 활용되지만 서식지 파괴로 보호가 필요한 상황이다. - 러시아의 물고기 - 가물치
가물치는 농어목 가물치과의 민물고기로, 어두운 갈색 반점이 있는 원통형 몸체를 가지며, 공기 호흡을 통해 열악한 환경에서도 생존하고, 한국, 중국, 러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양식 및 낚시 대상 어종이지만, 최근에는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 1846년 기재된 물고기 - 멸치
멸치는 청어목 멸치과의 바닷물고기로, 10~20cm 정도 크기에 푸른 회색 등과 은백색 배를 가지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고 칼슘이 풍부하며 어획량이 많아 낚시 미끼나 비료로도 사용된다. - 1846년 기재된 물고기 - 뱀장어
뱀장어는 뱀장어목 뱀장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원통형 몸에 미끈한 피부를 가지며, 배지느러미가 없고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가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산란 후 죽고,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었으며, 동아시아에서 식용으로 양식된다.
| 눈불개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일반 정보 | |
![]() | |
| 학명 | Squaliobarbus curriculus |
| 명명자 | (J. Richardson, 1846) |
| 한국어 이름 | 카와아카메 (カワアカメ), 눈불개 |
| 영어 이름 | Barbel chub |
| 분류 | |
| 계 | 동물계 (Animalia) |
| 문 | 척삭동물문 (Chordata) |
| 아문 | 척추동물아문 (Vertebrata) |
| 강 | 조기어강 (Actinopterygii) |
| 목 | 잉어목 (Cypriniformes) |
| 아과 | 크세노키프리스아과 (Oxygastrinae) 또는 눈불개아과 |
| 과 | 잉어과 (Cyprinidae) |
| 속 | 카와아카메속 (Squaliobarbus) |
| 보존 상태 | |
| IUCN 적색 목록 | 최소 관심 (LC) |
| 환경부 | 멸종 위기 야생생물 해제 |
| 학명 이명 | |
| 기타 | |
| FishBase | Squaliobarbus curriculus |
2. 명칭
이름과 중국 이름은 눈의 홍채 부분이 선명한 붉은색을 띠는 데서 유래했다.[5] 농어목의 붉은눈과는 무관하다.
러시아 아무르강 수계에서 중화인민공화국, 한반도, 베트남에 걸쳐 분포한다.[6] 한국에서는 한강과 금강에 주로 분포하며, 북한에도 서식한다.
몸은 길고 원통형이나 몸 뒷부분은 약간 납작하다. 머리는 작고 주둥이는 짧으며, 입은 주둥이 아래에 있고 위로 향해 있다. 입수염은 입가에 1쌍 있으며 위턱이 아래턱보다 길다. 눈은 머리 앞부분에 있으며 옆줄은 뚜렷한 편이다. 등 쪽은 연한 갈색이며 배 쪽은 은백색이다.[13] 몸의 형태는 가늘고 약간 측편되어 있으며, 쏘가리를 닮았다. 각 지느러미는 담회색이며,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황색을 띤다. 머리 부분은 전체적으로 강한 금색 광택을 가지며, 옆으로 넓다. 입술 부위에 한 쌍의 매우 짧은 수염이 있다. 비늘은 검은색으로 가장자리가 둘러싸여 있으며, 체표면에 겹쳐져서 그물 모양의 무늬를 만든다.
눈불개는 완만하게 흐르는 큰 강이나 호수에 서식하며, 조류나 수초 등 식물질을 중심으로 수생 곤충, 조개류, 작은 물고기 등도 먹는 잡식성이다[7]. 번식기는 5월~8월이며, 떼를 지어 지류로 거슬러 올라가 물가의 수생 식물대나 얕은 모래밭에서 산란한다[8]. 알은 옅은 녹색이며, 부유성을 띠지 않고[9] 점착성을 가진다[10].
3. 분포
4. 형태
5. 생태
5. 1. 서식지
한강과 금강에 분포하며 북한과 중국에도 서식한다.[7] 주로 물살이 약한 큰 강의 중, 하류에서 단독으로 살아간다.[7] 완만하게 흐르는 큰 강이나 호수에 서식한다.[7]
5. 2. 먹이
눈불개는 잡식성으로 수서곤충, 물고기의 알, 부착 조류 등을 먹는다.[7] 완만하게 흐르는 큰 강이나 호수에 서식하며, 저층을 단독으로 헤엄치면서 조류나 수초 등 식물질을 중심으로 수생 곤충, 조개류, 작은 물고기 등도 먹는다.[7]
5. 3. 번식
생후 2년 만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번식기는 5월~8월이며, 떼를 지어 지류로 거슬러 올라가 물가의 수생 식물대나 얕은 모래밭에서 산란한다[8]. 알은 옅은 녹색이며, 부유성을 띠지 않고[9] 점착성을 가진다[10].
6. 인간과의 관계
육질은 초어와 비슷하며, 중국에서는 칭하이성이나 티베트 자치구 등을 제외한 내륙부에서 일반적으로 식용어로 사용된다.[8]
참조
[1]
논문
"''Squaliobarbus curriculus''"
https://www.iucnredl[...]
[2]
간행물
"Life history traits, elasticity analyses, and phenotypic plasticity of Squaliobarbus Curriculus in the Pearl River estuary, China"
https://www.frontier[...]
Frontiers
[3]
간행물
Squaliobarbus curriculus
https://dx.doi.org/1[...]
2023-10-12
[4]
논문
Cyprinid phylogeny based on Bayesian and maximum likelihood analyses of partitioned data: implications for Cyprinidae systematics
[5]
서적
原色満洲有用淡水魚類圖説
南満州鉄道
[6]
웹사이트
"''Squaliobarbus curriculus''"
https://www.fishbase[...]
FishBase
2021-03-16
[7]
웹사이트
눈불개(Barbel chub). Squaliobarbus curriculus(Richardson, 1846). Family 102
fishillust.com/Squal[...]
김인영
2021-03-17
[8]
웹사이트
假草鱼――赤眼鳟
www.kepu.net.cn/gb/l[...]
中国科学院
2021-03-16
[9]
웹사이트
鲤科鱼类-11.07雅罗鱼亚科-赤眼鳟
http://www.ccshuicha[...]
长春市水产研究院
2023-03-31
[10]
서적
一种赤眼鳟鱼的人工繁殖方法
https://patentimages[...]
句容水库管理所水行政管理综合执法队
[11]
웹사이트
https://species.nibr[...]
[12]
FishBase 종
[13]
서적
민물고기 쉽게 찾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