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콜라우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우 1세는 1710년 콩고 왕족 마누엘 2세의 서자로 태어나 1752년 콩고 왕국의 왕위에 올랐다. 그는 즉위 후 동생 페드루 은티빌라 아 응캉가를 후계공으로 책립하고 총리 제도를 부활시켰으며, 1758년 동생에게 대리청정을 맡기고 1763년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났다. 1788년 78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엔히크 2세가 뒤를 이어 왕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군주 - 페드루 4세
    페드루 4세는 17세기 후반 콩고 왕국의 왕으로 아구아 로사다 가문의 창시자이며, 왕위 계승의 어려움 속에서 왕국의 안정화를 위해 노력했고, 경쟁 가문 간 왕위 교대 계승 유언을 남겼다.
  • 아프리카의 군주 - 샤카 카센잔가코나
    샤카 카센잔가코나는 19세기 초 줄루족을 통일하고 군사 혁신을 통해 줄루 왕국을 남아프리카 지역의 강력한 세력으로 만들었지만, 음페카네와 공포 정치로 인한 암살이라는 어두운 면모도 가진 지도자로서 줄루족의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1710년 출생 - 아돌프 프레드리크
    아돌프 프레드리크는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이자 1751년부터 1771년까지 스웨덴 국왕으로, 하타르나당과 뫼소르나당의 당파 싸움 속에서 왕권이 약화된 시기를 통치했으며, 정치적 무능력으로 평가받지만 과학과 예술에 관심을 가졌다.
  • 1710년 출생 - 조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시
    조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시는 18세기 이탈리아의 작곡가로, 오페라 부파 《마님이 된 하녀》와 종교 음악 《스타바트 마테르》 등을 작곡했으며, 26세의 젊은 나이에 결핵으로 사망했으나 사후에 더 큰 명성을 얻었다.
  • 1788년 사망 - 다누마 오키쓰구
    다누마 오키쓰구는 에도 시대 후기 쇼군의 신임을 얻어 로주에 올라 막부 재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부정부패와 농촌 황폐화로 비판받으며 실각한 인물이다.
  • 1788년 사망 - 피에르 앙드레 드 쉬프렌
    피에르 앙드레 드 쉬프렌은 18세기 프랑스 해군의 명장으로 인도양에서 영국 동인도 회사에 맞서 네 차례 해전을 승리하며 프랑스 해군 역사상 가장 위대한 지휘관 중 한 명으로 평가받지만, 엄격한 성격과 부하 장교들과의 갈등도 있었다.
니콜라우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래 이름니콜라우 미사키 미아 니미 (Nicolau Misaki mia Nimi)
왕조콩고 왕실
국적콩고 왕국
왕가콩고 왕가
종교콩고 토속 신앙 → 로마 가톨릭 (세례명: 니콜라스)
출생일1710년 3월 9일
출생지콩고 왕국 상 살바도르
사망일1788년 5월 29일
사망지콩고 왕국 상 살바도르
가족 관계
아버지마누엘 2세
친인척페드루 은티빌라 아 응캉가(이복 서제), 가르시아 4세(사촌 형)
배우자왕비 1명, 후궁 1명
자녀6남 5녀, 적장남 앙리크(Henrique)
통치
작위콩고 왕국 제46대 마니콩고
재위1752년 3월 31일 ~ 1763년 9월 28일
전임자가르시아 4세
후임자페드루 은티빌라 아 응캉가
섭정페드루 은티빌라 아 응캉가 (1758년 8월 28일 ~ 1763년 9월 28일)
총리아폰수 응캉가 데 아 응캉가 (1752년 4월 8일 ~ 1754년 1월 31일)
수상안토니우 음비타 데 아 음판주 (1754년 1월 31일 ~ 1756년 2월 29일)
이미지
니콜라우 1세
니콜라우 1세
콩고 왕국의 문장
콩고 왕국의 문장

2. 생애

니콜라우 1세는 1710년 콩고 왕족 마누엘 2세의 서사남(庶四男)으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총명하였으며, 1718년 부왕 마누엘 2세가 즉위하는 것을 보았다. 1743년에는 부왕이 사촌 형 가르시아 4세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사망하는 것을 모두 겪었다. 이후 가르시아 4세의 후계공으로 책립되었다가 1752년 왕위를 물려받았다.

즉위 후에는 총수상 제도를 부활시키고, 이복 동생 페드루 은티빌라 아 응캉가를 후계공으로 삼았다. 1758년에는 페드루에게 대리청정을 맡겼고, 1763년에는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났다. 1788년 5월 29일, 78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2. 1. 초기 생애

1710년 당시 왕위계승권에서 멀어져 있던 콩고 왕족 마누엘 2세의 서사남(庶四男)으로 출생하였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총명하였으며, 8세 때인 1718년 1월 8일에 부왕 마누엘 2세가 보위에 등극하는 것을 보았다.

1743년에는 부왕 마누엘 2세가 사촌 형 가르시아 4세에게 선위 후 퇴위하는 것과 부왕 마누엘 2세 상왕(上王)의 서거를 모두 목도하였다.

2. 2. 즉위와 통치

1743년 부왕 마누엘 2세가 사촌 형 가르시아 4세에게 선위 후 퇴위하는 광경과 부왕 마누엘 2세 상왕(上王)의 서거를 모두 목도하였으며, 서른한 살 위 사촌 형 가르시아 4세에게 후계공(後繼公)으로 책립되었다. 1752년 3월 31일 사촌 형 가르시아 4세에게 선위를 받아 보위에 등극하였다. 퇴위하여 상왕(上王)으로 전향한 가르시아 4세는 퇴위 5개월 후인 1752년 8월 27일 향년 73세로 훙서(서거)하였다.

1752년 3월 31일 보위 등극 후, 1752년 4월 6일 막내 이복서제(異服庶弟) 페드루 은티빌라 아 응캉가 선왕자(先王子)를 후계공(後繼公)으로 책립하였다. 1752년 4월 8일에는 폐지된 총수상(총리, prime minister) 제도를 부활 및 재도입 조치하여 아폰수, 안토니우, 세바스티앙, 페드루 후계공 겸 총수상 등 4명의 총수상(총리)들이 그의 치세 시절을 풍미하였다.

1758년 8월 28일 막내 이복 서제 페드루 은티빌라 아 응캉가 후계공에게 대리청정을 부여하였다. 1759년 1월 18일 서제 응캉가 후계공에게 총수상 직책도 부여하였으며, 4년 후 1763년 9월 28일 총수상 페드루 은티빌라 아 응캉가 후계공 겸 대리청정공(後繼公 兼 代理聽政公)에게 보위를 선위하고 퇴위하여 상왕(上王)으로 전향하였다.

2. 3. 대리청정과 양위

1758년 8월 28일 니콜라우 1세는 막내 이복 서제 페드루 은티빌라 아 응캉가 후계공에게 대리청정을 부여하였으며, 1759년 1월 18일에는 응캉가 후계공에게 총수상 직책도 부여하였다. 그로부터 4년 후인 1763년 9월 28일에는 총수상 페드루 은티빌라 아 응캉가 후계공 겸 대리청정공에게 보위를 선위하고 퇴위하여 상왕으로 전향하였다.

2. 4. 사망

1788년 5월 29일, 니콜라우 상왕은 퇴위한 지 25년 만에 향년 78세로 훙서(서거)하였다.

3. 사후

니콜라우 1세 상왕 서거 6년 후, 슬하 6남 5녀(11남매) 중 장남 앙리크 왕자가 1794년 1월 3일 콩고 왕국 제52대 마니콩고로 등극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