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위는 군주가 생존한 상태에서 자신의 지위를 다른 사람에게 물려주는 행위를 의미한다. 선위는 양위, 선양, 찬위, 찬탈 등 다양한 용어로 표현되며, 특히 중국사에서는 아들이 아닌 다른 혈통에게 왕위를 물려주는 선양의 형태가 나타났다. 한국에서는 고대, 고려, 조선, 대한제국 시기에 선위 사례가 존재하며, 중국,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등 다양한 국가에서도 선위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왕위 계승 - 타니스트리
    타니스트리는 중세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에서 현직 지도자 생전에 차기 지도자를 선출하는 제도로, 능력 위주의 선거 군주제 형태였으나 내분과 암살 위험을 야기했고, 현재 아일랜드 총리 및 부총리 직함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 왕위 계승 - 역성혁명
    역성혁명은 기존 왕조가 하늘의 뜻을 잃어 다른 성씨의 왕조로 교체되는 것을 의미하며, 중국사에서 왕조 교체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사상적 기반으로 활용되었고, 한국사에서는 위만조선, 고려, 조선의 건국 등이 그 사례로 제시된다.
선위
기본 정보
선위의 기
선위의 기
정의군주가 생전에 후계자에게 왕위 또는 그에 준하는 지위를 넘겨주는 행위
반대 개념승하 후 왕위 계승
유형
생전 선위군주가 살아있는 동안 왕위를 물려주는 행위
사후 선위군주가 죽은 후에 왕위를 물려주는 행위 (일반적인 왕위 계승)
역사적 사례
로마 제국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사두정치 도입과 함께 강제적인 선위 시스템 확립
고려고려 광종의 아들 고려 경종에게 선위
조선조선 태종의 아들 조선 세종에게 선위
일본고코 천황, 고다이고 천황, 레이겐 천황, 아키히토 천황 등 다수
벨기에알베르 2세가 필리프에게 선위
스페인후안 카를로스 1세가 펠리페 6세에게 선위
부탄지그메 싱예 왕축이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에게 선위
네덜란드베아트릭스 여왕이 빌럼알렉산더르 왕세자에게 선위

2. 용어

(내용 없음)

2. 1. 기본 용어


  • '''선위'''(禪位)는 천위(天位)를 다른 사람에게 넘겨준다는 뜻으로, 군주가 살아 있으면서 다른 사람에게 군주의 지위를 물려주는 일을 가리킨다.[1]
  • '''양위'''(讓位)는 엄밀한 의미에서, 군주의 지위를 비롯한 자신의 지위를 살아 있으면서 다른 사람에게 물려주는 일을 가리킨다.
  • '''선양'''(禪讓)은 선위와 양위를 아울러 함께 이르는 말이지만, 특히 중국사에서는 아들이 아닌 다른 혈통의 인물에게 군주의 지위를 물려주는 특수한 형태의 선위로 많이 사용된다.
  • '''찬위'''(簒位)는 선위 가운데 강요와 협박으로 억지로 왕위를 물려주게 한 일을 뜻한다.
  • '''찬탈'''(簒奪)은 찬위의 뜻도 있고, 국권 등을 억지로 또는 강제로 빼앗은 일도 뜻한다.
  • '''태상왕'''(太上王)은 자리를 물려주고 들어앉은 임금을 이르는 말이다. '''상왕''' 또는 '''태왕'''이라고도 부른다.
  • '''태상황제'''(太上皇帝)는 자리를 물려주고 들어앉은 황제를 이르던 말이다. '''태상황''' 또는 '''태황제''', '''상황''', '''태황'''이라고도 부른다.
  • '''무상가한'''(無上可汗)은 유목국가에서 이미 자리를 두 대 전에 물려주고 들어앉은 칸을 이르던 말이다. 태상황제의 위이다.

2. 2. 관련 용어


  • '''선위'''(禪位)는 천위(天位)를 다른 사람에게 넘겨준다는 뜻으로, 군주가 살아 있으면서 다른 사람에게 군주의 지위를 물려주는 일을 가리킨다.[1]
  • '''양위(讓位)'''는 엄밀한 의미에서, 군주의 지위를 비롯한 자신의 지위를 살아 있으면서 다른 사람에게 물려주는 일을 가리킨다.
  • '''선양'''(禪讓)은 선위와 양위를 아울러 함께 이르는 말이지만, 특히 중국사에서는 아들이 아닌 다른 혈통의 인물에게 군주의 지위를 물려주는 특수한 형태의 선위로 많이 사용된다.
  • '''찬위'''(簒位)는 선위 가운데 강요와 협박으로 억지로 왕위를 물려주게 한 일을 뜻한다.
  • '''찬탈'''(簒奪)은 찬위의 뜻도 있고, 국권 등을 억지로 또는 강제로 빼앗은 일도 뜻한다.
  • '''태상왕(太上王)'''은 자리를 물려주고 들어앉은 임금을 이르는 말이다. '''상왕''' 또는 '''태왕'''이라고도 부른다.
  • '''태상황제(太上皇帝)'''는 자리를 물려주고 들어앉은 황제를 이르던 말이다. '''태상황''' 또는 '''태황제''', '''상황''', '''태황'''이라고도 부른다.
  • '''무상가한(無上可汗)'''은 유목국가에서 이미 자리를 두 대 전에 물려주고 들어앉은 칸을 이르던 말이다. 태상황제의 위이다.

3. 한국의 선위

한국의 역사에서 선위는 고대 국가부터 대한제국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고대 국가에서는 왕위 계승의 한 방식으로, 고려 시대에는 왕권 강화나 왕조 교체와 관련되어 나타났다. 조선 시대에는 왕이 스스로 물러나거나, 숙부에게 왕위를 빼앗기는 경우도 있었다. 대한제국 시대에는 일제의 강압으로 황제가 강제로 물러나기도 했다.

고대 국가에서는 고구려 태조왕이 이복 아우에게, 신라 헌안왕이 맏사위에게, 신라 진성여왕이 친정 조카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고려 시대에는 형제, 사촌, 5촌 등에게 선위가 이루어졌으며, 고려 헌종은 숙부에게 왕위를 찬탈당하기도 했다. 고려 공양왕은 이성계에게 선위하여 고려가 멸망하였다.[2]

조선 시대에는 왕이 아들이나 동생에게 왕위를 물려주는 경우가 많았으며, 조선 단종은 숙부인 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겼다. 세조, 중종, 인종은 선위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세상을 떠났다.

대한제국에서는 광무황제가 일제에 의해 강제로 아들 융희황제에게 양위하였다.[1]

3. 1. 고대 국가

고구려 태조왕은 이복 아우 수성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신라 헌안왕은 맏사위 응렴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신라 진성여왕은 친정 조카 요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3. 2. 고려 시대


  • 정종은 아우 광종에게 선위하였다.[2]
  • 경종은 사촌 동생 성종에게 선위하였다.[2]
  • 목종은 5촌 종숙부 현종에게 선위하였다.[2]
  • 헌종은 숙부 숙종에게 사실상 찬탈당했다.[2]
  • 인종은 맏아들 의종에게 선위하였다.[2]
  • 신종은 맏아들 희종에게 선위하였다.[2]
  • 충렬왕은 아들 충선왕에게 선위하였다.[2]
  • 충선왕은 아들 충숙왕에게 선위하였다.[2]
  • 충숙왕은 아들 충혜왕에게 선위하였다.[2]
  • 공양왕은 수문하시중 이성계에게 선위하였다.(고려 왕조의 멸망)[2]

3. 3. 조선 시대

왕위를 물려준 대상비고
태조아들 정종
정종아우 태종
태종아들 세종
단종숙부 세조세조에 의한 찬탈
세조아들 예종선위 다음날에 세상을 떠남
중종아들 인종선위 다음날에 세상을 떠남
인종이복 아우 명종선위 사흘 뒤에 세상을 떠남


3. 4. 대한제국

광무황제가 아들 융희황제에게 양위하였다.[1] 참고로 을미사변명성황후가 폐서인되자 왕태자 이척(훗날의 융희황제)이 태자위를 양위하겠다고 반발하기도 했다(을미년 왕세자 작위 선양 파동 사건).[1]

4. 중국의 선위


5. 그 외 국가의 선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인도, 아프리카, 유럽, 러시아, 태평양 도서국 등에서도 선위 사례가 나타난다.

5. 1. 동남아시아

국가왕조선위
베트남리 왕조리 혜종리 소황[1]
베트남쩐 왕조쩐 태종쩐 성종[2]
쩐 성종 → 쩐 인종
쩐 인종 → 쩐 영종
쩐 영종 → 쩐 명종
쩐 명종 → 쩐 헌종
쩐 예종쩐 예종
쩐 순종쩐 소제
베트남호 왕조호꾸이리호한트엉
베트남후 쩐 왕조간정제중광제
베트남후 레 왕조레 소종 → 레쑤언
막당중 → 막등영
베트남막 왕조순복제 → 무안제
건통제 → 융태제
베트남후 레 왕조
(정씨 정권)
레 신종레 진종
레 희종레 유종
레 유종 → 혼덕공
혼덕공 → 레 순종
레 의종 → 레 현종
함응이 → 동카인
베트남응우옌 왕조타인타이 → 유신제
유신제 → 계정제
라오스무옹스와수반나 캄퐁 → 파 굼(란쌍 왕국 건국)
캄보디아노로돔 왕조노로돔 시아누크 → 노로돔 수라마리트
미얀마콘바웅(알라웅파야) 왕조바기이다우(Bagyidaw)
태국짜끄리 왕조라마 7세(Rama VII)


5. 2. 서아시아, 인도

5. 3. 아프리카

5. 4. 유럽, 러시아, 태평양 도서국

6. 관련 논문


  • 김종필, 〈조선시대 국왕권력 이양 사례 연구: 선위와 대리청정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한국사전공 박사학위논문, 2022년 2월

참조

[1] 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선위 [禪位]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2] 논문 의천, 《대각국사문집》 권8, 辭赴闕表[二首] 중 2번째에서 헌종을 '廢主'라고 표기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