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달동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동네는 대한민국에서 한국 전쟁 이후 주택 부족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 산비탈 등에 불법으로 거주하면서 형성된 지역을 의미한다. 1970~80년대 경제 성장과 도시 개발 과정에서 달동네 해소가 정치적 과제가 되었고,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강제 이주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현재는 도시 미관 개선 및 관광 자원화되기도 하며, 부산의 감천문화마을과 같은 사례가 있다. 달동네는 좁은 골목길과 열악한 주거 환경, 부족한 기반 시설 등의 특징을 가지며, 주거 취약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네 - 교외
    교외는 도시 주변 지역을 뜻하는 말로, 도시 팽창과 교통 발달로 주거 기능을 담당하며, 국가별로 정의와 형태가 다르고,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후 북미 지역에서 급속히 발전했다.
  • 동네 - 다운타운
    다운타운은 마천루가 밀집된 도심 또는 중심 업무 지구를 의미하며, 미국 도시의 독특한 발전 과정에서 유래하여 젠트리피케이션과 재활성화를 거치며 변화하고 있다.
  • 슬럼 - 파벨라
    파벨라는 브라질 대도시에 밀집한 빈민촌으로, 전쟁 참전 용사 정착과 빈민 이주로 형성되었으며, 빈곤, 범죄, 열악한 환경, 공동체 해체 등의 어려움 속에서도 고유 문화와 공동체 의식을 유지하며 예술과 관광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슬럼 - 스모키 마운틴
    스모키 마운틴은 필리핀 마닐라에 50년간 운영된 거대한 쓰레기 매립지이자 빈민촌이었으나, 폐쇄 후 공공 주택 단지로 재개발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삶의 터전을 잃은 빈민들의 이야기는 필리핀 빈곤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달동네
지도 정보
일반 정보
달동네 (한국어)달동네
로마자 표기Daldongnae
영어Moon village
별칭산동네
설명도시 빈민들이 도시 외곽이나 산비탈에 무허가로 형성한 동네
역사
형성 시기한국 전쟁 이후
형성 배경한국 전쟁으로 인한 피난민과 도시 빈민의 증가
주거 형태판자집
무허가 건물
사회
특징공동체 의식 강함
열악한 주거 환경
사회 기반 시설 부족
문제점화재 위험
위생 문제
범죄 발생 가능성
문화
관련 작품영화: 《바보들의 행진》, 《인정사정 볼 것 없다》
드라마: 《달동네》, 《서울의 달》
소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현재
변화재개발 사업으로 사라지는 곳 증가
주거 환경 개선 노력

2. 역사

대한민국의 달동네는 한국 전쟁(1950년 - 1953년)으로 집을 잃은 사람들과 휴전 직후(1955년 - 1960년) 베이비 붐으로 인한 인구 급증으로 주택 부족이 심각해지면서 형성되기 시작했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은 교통이 불편한 급경사지나 산 위에 있는 땅을 불법으로 점거하거나, 심지어 묘지 시설을 훼손하면서까지 거주지를 확보했다.

2. 1. 1970년대 ~ 1980년대

대한민국에서는 1960~70년대 산업화 시절 난개발로 인해 평지에 있는 동네들은 산업화로 많은 건물을 지으며 자연스럽게 땅값이 비싸져 빈부 격차가 점차 커졌고, 돈 있는 사람들 외에는 살기 어렵게 되었다. 돈 없는 서민들은 땅값 싼 산동네 비탈길에 집을 짓고 살면서 달동네가 형성되었다. 1970년대에는 경제 성장에 따라 서울 한강 남쪽의 강남 지역에 신흥 주택가가 개발되었지만, 농촌의 잉여 인구가 서울 등의 도시권으로 이동하고, 핵가족화도 진행되어 세대수가 증가했기 때문에, 주택 부족 문제는 해소되지 않았다. 1980년대에 달동네 해소는 정치적 과제가 되었고, 1980년대 말에는 저소득층을 위해 임기 5년 이내에 40만 호의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공약을 내건 노태우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서울 중심부의 슬럼을 없애려는 움직임이 있었고, 주민들의 강제 이주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저소득층을 위한 주택 공급은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았고, 강제 퇴거 명령을 받고 갈 곳을 잃은 사람들 중에는 국유지 등을 점거하여 새로운 달동네를 만든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서울 올림픽으로 인해 생긴 달동네로는 강남구의 구룡역 남쪽에 있는 구룡마을이 알려져 있다.

2. 2. 1990년대 이후 ~ 현재

1965년 한일 기본 조약 체결부터 1996년 OECD 가입 무렵까지 이어진 한국의 경제 성장 (한강의 기적)을 배경으로, 달동네에는 빈집이 늘어났다. 달동네는 원래 불편한 입지였고 도시 기반 시설도 미비했기 때문에 경제 상태가 개선된 세대부터 달동네를 떠나 하계의 주택으로 이동해 갔다. 행정 역시 달동네 내 주거지에 주소를 부여하여 거주를 추인하는 등 달동네를 도시에 포섭하는 정책을 취했다. 2000년대에는 달동네가 노스탤지어의 대상이 되기도 했고, 행정은 관광 자원으로도 여기게 되었다. 부산광역시에서는 감천문화마을과 같이 관광지화된 달동네도 존재한다. 서울 시내에 남은 달동네에는 관광 버스 투어도 편성되어 있다.

2010년 부산 사상구에서 발생한 소녀 강간 살인 사건에서는 범인이 달동네의 빈집에 잠복하고 있었고, 최근에는 방범 대책 차원에서 달동네 민가의 벽 등을 화려하게 장식하는 문화 사업이 유행하고 있다.

3. 특징

달동네는 땅값이 싼 산비탈에 주로 형성되어 가파르고 좁은 골목길이 많으며, 교통 접근성이 떨어진다. 이는 1960~70년대 한국의 산업화 시기, 경제적 여유가 없는 서민들이 땅값이 싼 산동네에 집을 짓고 살면서 형성된 것이다.[1] 구룡마을이 대표적인 예이다.[1]

달동네는 주거 환경이 열악하고, 상하수도 등 도시 기반 시설이 미비했다.[2] 경제 성장과 함께 경제 상태가 개선된 세대들은 달동네를 떠나 더 나은 주거 환경으로 이동하면서 빈집이 늘어나기도 했다.[2]

2000년대에는 달동네가 과거를 떠올리게 하는 대상이 되기도 하고,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부산광역시감천문화마을처럼 관광지로 변모한 곳도 있으며,[2] 서울 시내 달동네에는 관광 버스 투어도 운영되고 있다.

4. 사례

달동네는 땅값이 싼 산을 깎아 만든 비탈에 위치하여 사람이나 차가 다니기 힘든 곳에 형성된다. 한국에서는 1960~70년대 산업화 시기 급격한 도시 개발로 평지의 땅값이 비싸지면서 빈부 격차가 커졌고, 돈이 없는 서민들은 땅값이 싼 산동네 비탈길에 집을 짓고 살게 되면서 달동네가 형성되었다. 주로 꼭대기로 올라갈수록 교통 접근성이 떨어져 땅값이 더 싸지는 경향이 있다.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예로는 구룡마을이 있다.

4. 1. 구룡마을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구룡마을은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강제 철거된 주민들이 정착하면서 형성된 대표적인 달동네이다. 현재까지도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달동네의 하나인 구룡마을(서울)

4. 2. 아미동 비석문화마을

아미동 비석문화마을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에 있는 달동네는 원래 일제강점기 일본인 묘지가 있던 곳으로, 일본 패전 후 불법으로 점유한 사람들이 형성한 곳이다.[1][2]。 일본인의 계명이 새겨진 묘비가 옆으로 뉘어져 건물 기초석으로 사용되는 기이한 광경을 볼 수 있다.。 부산시는 아미동 달동네에 "비석마을"이라는 애칭을 정하고, 마스코트 캐릭터를 채택하고 안내판을 설치했다.。 묘비 중에는 보력 연간의 오래된 것과 정토왕생에 대한 기원이 담긴 것도 있다. 주택의 기초석뿐만 아니라 계단이나 변소의 바닥돌로 사용되어 일상적으로 밟고 다닐 수 있는 상태로 놓인 것도 있다.。 위패는 다른 묘지의 것과 합쳐 총 1,528위가 시립공원묘지에 안치되어 있으며, 재한일본부인부용회 부산본부와 재부산일본총영사관에서 위령제를 지내고 있다고 한다.[3]。 2020년, 유네스코세계 유산 등재를 위한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4]

참조

[1] 뉴스 [ルポ]旧日本人共同墓地の上につくられた釜山峨嵋洞「碑石文化村」探訪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7-04-22
[2] 논문 アジアにおける日本人墓標の諸相 --その記録と研究史-- 2015-12-30
[3] 뉴스 日本人の墓、建築資材に 2009-11-02
[4] 뉴스 韓国、日本人共同墓地の上につくられた町を世界文化遺産に?=ネットで反対の声続出 https://web.archive.[...] Record China 2020-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