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 (부산광역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구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의 구로, 삼한 시대부터 신라, 고려를 거쳐 조선 시대에는 부산으로 불리며 역사가 시작되었다. 1945년 해방 이후 서부출장소로 설치되었다가 1957년 구제 실시로 서구로 개편되었다. 현재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해 바다와 접해 있고, 온대계절풍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주요 문화 시설로는 송도해수욕장, 임시수도기념관, 아미동비석문화마을 등이 있으며, 송도해상케이블카, 구덕운동장 등의 시설이 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이 지나가며, 국회의원 선거구는 서구·동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서구 - 암남공원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에 있는 암남공원은 1억 년 전 형성된 퇴적암 지층과 다양한 식물상, 해안 산책로, 전망대 등의 시설을 갖춘 도심 속 자연 공원으로, 대중교통 접근성 및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이 필요하다. - 부산 서구 - 동아대학교병원
동아대학교병원은 1990년 개원하여 교육, 연구, 진료를 통해 지역사회와 국가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동아대학교 부속 병원으로, 다양한 전문 센터와 최첨단 의료 장비를 갖추고 의료 공공성 강화와 의료 발전에 힘쓰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구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구 - 금정구
부산광역시 북부에 위치한 금정구는 1988년 동래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에 교통 요충지로서 경부고속도로,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국도 제7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과 4호선,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이 위치하고, 역사적으로 거칠산국, 동래군, 동래현, 동래진, 동래부를 거쳐 금정구로 승격되었으며 금정산성과 범어사가 있다.
서구 (부산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서구 |
한자 표기 | 區 |
로마자 표기 | Seo-gu |
맥큔-라이샤워 표기 | Sŏ-gu |
관할 국가 | 대한민국 |
광역 자치 단체 | 부산광역시 |
하위 행정 구역 | 14개 행정동 |
면적 | 13.67 km² |
인구 (2024년) | 103,337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방언 | 경상도 방언 |
웹사이트 | 서구청 |
![]() | |
![]() | |
![]() | |
![]() | |
정치 | |
구청장 | 공한수 |
구청장 소속 정당 | (미확인) |
상징 | |
구 나무 | 해송 |
구 꽃 | 목련 |
구 새 | 비둘기 |
2. 역사
wikitext
삼한시대에는 변한에 소속되어 있다가, 이후 금관가야의 지배를 받았다. 이후 거칠산국의 영역에 들어갔으며, 6세기 초 신라가 거칠산국을 병합함에 따라 신라 영역에 편입되었다.[8] 505년 신라 지증왕 6년 거칠산군(居漆山郡)에 소속되었다가 757년 경덕왕 16년 거칠산군을 동래군으로 개칭하면서, 서구 일대는 동래군의 속현인 동평현(東平縣)에 소속되었다.[8] 892년 진성여왕 6년 후삼국시대 일시적으로 후백제 견훤의 지배를 받기도 하였다.[8]
918년 고려 태종 원년 신라의 군현제인 9주 5경 중 상주, 양주, 경주를 합하여 동남도(東南道)라 하여 서구 지역은 동남도에 편입되었다. 1108년 고려 헌종 3년 영남도, 영동도를 통합하고 경상주도, 진협주도로 나눴는데, 이때 경상주도에 소속되었다. 1368년 공민왕 17년 부산(釜山)이란 지명을 처음으로 사용하였다.[8]
1945년 해방 후 1951년 구제 실시를 전제로 6개의 출장소가 설치되었는데, 당시 중앙동에 소재했던 부산시청을 기준으로 서쪽에 위치한다고 하여 ‘서부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57년 1월 1일 부산시의 구제 실시로 서부출장소가 '''서구'''로 개편되었다.[9] 이후 서구라는 명칭은 1957년에 구제 실시로 변경하면서 ‘서구’(西區)로 발족하였다.[8]
1959년 남부민동을 남부민1동과 남부민2동으로 분동하였다. 1966년 1월 1일 아미동을 아미1동, 아미2동으로, 괴정1동을 괴정1동, 괴정3동으로 각각 분동하였다.[9] 1970년 7월 1일 서대신3동을 서대신3동과 서대신4동으로, 남부민2동을 남부민2동과 남부민3동으로 분동하였다. 1975년 10월 1일 사하출장소가 시 직할 출장소로 승격하였다.
1978년 2월 15일 부산진구 학장동 일부를 서대신4동으로 편입하였다. 1979년 8월 8일 사하출장소의 괴정1동을 괴정1동과 괴정4동으로 분동하였다. 1982년 5월 1일 충무동4가를 충무동1가로, 초장동1·2가를 토성동4·5가로, 초장동3가를 초장동으로, 완월동1가를 충무동2가로, 완월동2가를 충무동3가로 개칭하고 충무동5가를 남부민동으로 흡수하였다(남부민동 643~705). 1983년 10월 1일 사하출장소의 장림동을 장림1동과 장림2동으로 분동하였다. 1983년 12월 15일 사하출장소에 북구 대저2동의 을숙도와 일웅도를 더해 사하구가 설치되었다.[10]
199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 서구가 되었다.[11] 1998년 10월 1일 부용동을 부민동에, 토성동을 충무동에, 아미1동과 아미2동을 아미동으로 각각 합동하였다. 2003년 1월 1일 구청사를 서대신동2가(서대신1동)에서 토성동4가(충무동)로 이전하였다. 2006년 1월 1일 서대신2동을 서대신1동에 합동하였다.[12] 2009년 1월 1일 남부민3동을 남부민2동에 합동하였다.[13]
2. 1. 삼한시대 ~ 후삼국시대
삼한시대에는 변한에 소속되어 있다가, 이후 금관가야의 지배를 받았다. 이후 거칠산국의 영역에 들어갔으며, 6세기 초 신라가 거칠산국을 병합함에 따라 신라 영역에 편입되었다.[8] 505년 신라 지증왕 6년 거칠산군(居漆山郡)에 소속되었다가 757년 경덕왕 16년 거칠산군을 동래군으로 개칭하면서, 서구 일대는 동래군의 속현인 동평현(東平縣)에 소속되었다.[8] 892년 진성여왕 6년 후삼국시대 일시적으로 후백제 견훤의 지배를 받기도 하였다.[8]2. 2. 고려시대
삼한시대에는 변한에 소속되어 있다가, 금관가야의 지배 하에 들어갔다. 이후 거칠산국의 영역에 들어갔으며, 6세기 초 신라가 거칠산국을 병합함에 따라 신라 영역에 편입되었다.[8] 505년 신라 지증왕 6년 거칠산군(居漆山郡)에 소속되었다. 757년 경덕왕 16년 거칠산군을 동래군으로 개칭하였으며, 서구 일대는 동래군의 속현인 동평현(東平縣)에 소속되어 있었다. 892년 진성여왕 6년 후삼국시대 일시적으로 후백제 견훤의 지배 하에 들어가기도 하였다.[8]918년 고려 태종 원년 신라의 군현제인 9주 5경 중 상주, 양주, 경주를 합하여 동남도(東南道)라 하여 서구 지역은 동남도에 편입되었다. 1108년 고려 헌종 3년 영남도, 영동도를 통합하고 경상주도, 진협주도로 나눴는데, 이때 경상주도에 소속되었다. 1368년 공민왕 17년 부산(釜山)이란 지명을 처음으로 사용하였다.[8]
2. 3. 근현대
1945년 해방 후 1951년 구제 실시를 전제로 6개의 출장소가 설치되었는데, 당시 중앙동에 소재했던 부산시청을 기준으로 서쪽에 위치한다고 하여 ‘서부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57년 1월 1일 부산시의 구제 실시로 서부출장소가 '''서구'''로 개편되었다.[9] 이후 서구라는 명칭은 1957년에 구제 실시로 변경하면서 ‘서구’(西區)로 발족하였다.[8]1959년 남부민동을 남부민1동과 남부민2동으로 분동하였다. 1966년 1월 1일 아미동을 아미1동, 아미2동으로, 괴정1동을 괴정1동, 괴정3동으로 각각 분동하였다.[9] 1970년 7월 1일 서대신3동을 서대신3동과 서대신4동으로, 남부민2동을 남부민2동과 남부민3동으로 분동하였다. 1975년 10월 1일 사하출장소가 시 직할 출장소로 승격하였다.
1978년 2월 15일 부산진구 학장동 일부를 서대신4동으로 편입하였다. 1979년 8월 8일 사하출장소의 괴정1동을 괴정1동과 괴정4동으로 분동하였다. 1982년 5월 1일 충무동4가를 충무동1가로, 초장동1·2가를 토성동4·5가로, 초장동3가를 초장동으로, 완월동1가를 충무동2가로, 완월동2가를 충무동3가로 개칭하고 충무동5가를 남부민동으로 흡수하였다(남부민동 643~705). 1983년 10월 1일 사하출장소의 장림동을 장림1동과 장림2동으로 분동하였다. 1983년 12월 15일 사하출장소에 북구 대저2동의 을숙도와 일웅도를 더해 사하구가 설치되었다.[10]
199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 서구가 되었다.[11] 1998년 10월 1일 부용동을 부민동에, 토성동을 충무동에, 아미1동과 아미2동을 아미동으로 각각 합동하였다. 2003년 1월 1일 구청사를 서대신동2가(서대신1동)에서 토성동4가(충무동)로 이전하였다. 2006년 1월 1일 서대신2동을 서대신1동에 합동하였다.[12] 2009년 1월 1일 남부민3동을 남부민2동에 합동하였다.[13]
3. 지리
서구는 남북으로 8.3 km, 동서로 2.4 km의 길쭉하게 서 있는 생선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 부산광역시 16개 구군 중 남단에 위치한다. 행정구역으로는 동쪽으로는 중구, 동구와, 서쪽으로는 사하구와, 북쪽으로는 부산진구·사상구와 접하고 있고, 남쪽으로는 남해 바다와 접하고 있으나 남동쪽에는 영도구에 접한다.
북에서 남으로 뻗은 구덕산, 시약산, 아미산 연봉의 일부가 남으로 이어져 천마산, 장군산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산령을 경계로 하여 사하구와 접하고 보수천을 경계로 중구와 접하고 있다, 동쪽으로 부산터널, 북쪽으로 구덕터널, 서쪽으로 대티터널이 있어 동서북으로 교통 소통을 원활히 해주고, 영도구와 서구를 잇는 남항대교가 개통되어 늘어난 항만 물동량을 수송해 주고, 남쪽으로 남항이 있어 우리나라 어업의 중추적 역할을 한다.[14]
온대계절풍 기후대와 해양의 영향을 크게 받아 해양성기후의 특징으로 사계절 변화는 뚜렷하지만, 기온차가 크지 않아 생활에 적합한 기후이다.
동쪽으로는 중구·동구·영도구와, 북쪽으로는 부산진구·사상구와, 서쪽으로는 사하구와 인접해 있다.
3. 1. 기후
서구는 온대계절풍 기후대와 해양의 영향을 크게 받아 해양성기후의 특징을 보인다. 사계절 변화는 뚜렷하지만, 기온차가 크지 않아 생활에 적합한 기후이다.[14]4. 행정 구역
부산 서구의 행정 구역은 13개 행정동과 205통, 972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13.88 km2이며, 2015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11만 5963 명, 5만 3199 가구이다.[15]
서구는 8개의 법정동,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도 섬이 이 지역에 있다.[2] 1998년 아미 1동과 아미 2동이, 2003년 서대신 2동과 서대신 1동이 합쳐졌다.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인구 (명) | 세대 |
---|---|---|---|---|
동대신1동 | 東大新1洞 | 0.23 | 5,545 | 2,517 |
동대신2동 | 東大新2洞 | 0.44 | 8,972 | 3,866 |
동대신3동 | 東大新3洞 | 1.46 | 7,850 | 3,649 |
서대신1동 | 西大新1洞 | 0.63 | 11,232 | 5,109 |
서대신3동 | 西大新3洞 | 1.40 | 9,157 | 3,428 |
서대신4동 | 西大新4洞 | 3.12 | 7,443 | 2,732 |
부민동 | 富民洞 | 0.41 | 7,962 | 3,726 |
아미동 | 峨嵋洞 | 0.71 | 9,201 | 4,579 |
초장동 | 草場洞 | 0.44 | 5,665 | 2,920 |
충무동 | 忠武洞 | 0.37 | 8,541 | 4,469 |
남부민1동 | 南富民1洞 | 0.5 | 5,520 | 2,882 |
남부민2동 | 南富民2洞 | 0.59 | 11,497 | 5,481 |
암남동 | 岩南洞 | 3.59 | 17,378 | 7,841 |
서구 | 西區 | 13.88 | 115,963 | 53,199 |
행정동 | 법정동 |
---|---|
동대신1동 | 동대신동 1가 |
동대신2동 | 동대신동 2가 |
동대신3동 | 동대신동 3가 |
서대신1동 | 서대신동 1가, 서대신동 2가 |
서대신3동 | 서대신동 3가 |
서대신4동 | |
부민동 | 부용동 1가, 부용동 2가, 부민동 1가, 부민동 2가, 부민동 3가 |
아미동 | 아미동 1가, 아미동 2가 |
초장동 | 초장동 |
충무동 | 토성동 1가, 토성동 2가, 토성동 3가, 토성동 4가, 토성동 5가, 충무동 1가, 충무동 2가, 충무동 3가 |
남부민1동 | 남부민동 |
남부민2동 | |
암남동 | 암남동 |
중부소방서의 부민119안전센터와 충무119안전센터가 있다.
5. 인구
wikitable
연도 | 총인구 | 비고 | |
---|---|---|---|
1966년 | 290,796명 | ||
1970년 | 319,415명 | ||
1975년 | 360,732명 | ||
1980년 | 236,421명 | 사하출장소 분리, 인구총계에서 제외 | |
1985년 | 216,299명 | 사하출장소가 사하구로 완전히 분리 | |
1990년 | 204,990명 | ||
1995년 | 186,616명 | ||
2000년 | 158,172명 | ||
2005년 | 142,302명 | ||
2010년 | 125,633명 | ||
2015년 | 117,995명 | ||
2020년 | 107,973명 |
6. 문화
송도해수욕장은 대한민국 제1호 해수욕장으로, 다양한 즐길 거리가 있다. 송도해안산책로는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곳이다. 임시수도기념관과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은 역사적 의미가 깊은 장소이다. 아미동비석문화마을은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송도해상케이블카는 바다 위를 가로지르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송도바다축제와 현인가요제가 서구에서 열린다.
부산 국제 수산물 도매시장과 부산 공동어시장이 있다.
구덕운동장은 서구에 위치한 시설이다.

6. 1. 관광 명소
송도해수욕장은 대한민국 제1호 해수욕장으로, 다양한 즐길 거리가 있다. 송도해안산책로는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곳이다. 임시수도기념관과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은 역사적 의미가 깊은 장소이다. 아미동비석문화마을은 독특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송도해상케이블카는 바다 위를 가로지르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6. 2. 공원
6. 3. 축제
송도바다축제와 현인가요제가 서구에서 열린다.6. 4. 시장
부산 국제 수산물 도매시장과 부산 공동어시장이 있다.6. 5. 시설
구덕운동장은 서구에 위치한 시설이다.
7. 교통
남항대교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이 서구 지역을 지나간다. 서대신역, 동대신역, 토성역, 자갈치역이 서구를 지난다.[4]
7. 1. 도로
남항대교7. 2. 철도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이 서구 지역을 지나간다. 서대신역, 동대신역, 토성역, 자갈치역이 서구를 지난다.[4]8. 교육
부산광역시 서구에는 대학교 3개교, 고등학교 6개교, 특수학교 1개교가 있다.
9. 정치
이 지역은 대한민국 국회에서 서구·동구 선거구를 통해 대표된다.
10. 자매 도시
지역 & 국가 | 도시 | |
---|---|---|
울란바타르 시 | 바양쥬르흐 구 (우호협력도시) | |
랴오닝성 | 다롄시 · 좡허시 |
- 창하이, 중국
11. 구청
부산 서구청은 부산광역시 서구 토성동4가에 위치해 있다.
12. 갤러리
12. 1. 도심 풍경
일대]]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 날짜가 년도만 제공되어 01-01로 설정
[2]
웹사이트
두도(頭島) - 부산역사문화대전
https://busan.grandc[...]
2024-08-09
[3]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4]
일반텍스트
[5]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6]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7]
웹사이트
부산 서구 소개
http://culture.bsseo[...]
2013-06-08
[8]
웹사이트
서구의 연혁
http://culture.bsseo[...]
2013-06-08
[9]
법률
부산시구설치에관한법률
1956-12-17
[10]
법률
부산직할시 사하구 설치 및 구 관할 구역 조정에 관한 규정
1983-10-08
[11]
법률
지방자치법
1994-12-22
[12]
조례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2005-12-23
[13]
조례
행정 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 정수 조례
2008-12-30
[14]
웹사이트
서구의 자연환경
http://www.bsseogu.g[...]
2013-06-08
[15]
일반텍스트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2016-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