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만 정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만 정교회는 동방 정교회의 대만 내 활동을 지칭하며, 1895년 일본 이민자들에 의해 처음 전래되었다. 1901년 그리스도 구세주 교구가 창설되었으나, 1912년 성 니콜라스의 사망과 1945년 일본 통치 종료로 활동이 중단되었다. 1949년 중국 내전으로 타이베이로 이주한 러시아인들을 중심으로 신앙생활이 이어졌으며, 2001년에는 그리스 정교회 수도사제에 의해 재건되었다. 현재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관할 하에 있으며, 2012년에는 러시아 정교회가 타이베이에 교구를 재활성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기독교 - 대만 성공회
    대만 성공회는 1950년대에 시작되어 미국 성공회의 지원을 받아 설립되었으며, 성공대학교를 운영하고 대만 각지에 교회를 두고 있다.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은 1세기 기원을 가진 동방 정교회의 독립 교회 중 하나로, 터키 이스탄불에 위치하며 전 세계 정교회의 영적 중심지로서, "전지총대주교" 또는 "세계총대주교"라는 칭호를 가진 총대주교가 타 종교와의 관계에서 중재 및 조정자 역할을 수행한다.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 성 안드리 교회
    성 안드리 교회는 18세기 중반 바르톨로메오 라스트렐리에 의해 바로크 및 로코코 양식으로 건축되어 러시아 여제의 의뢰로 지어진 키이우의 교회로, 소련 시대를 거쳐 우크라이나 독립 후에는 정교회에 양도되었다가 현재는 콘스탄티노플 세계 총대주교청에서 관리한다.
대만 정교회
지도 정보
개요
관할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홍콩 및 동남아시아 관구
설립1998년
소재지타이베이
현황
사제 수1명
교회 수1개
신자 수약 300명
역사
초기1950년대에 러시아 정교회 신자들이 대만으로 이주하면서 시작됨.
발전1998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홍콩 관구 소속으로 편입됨.
알렉산드르 신부에 의해 타이베이에 성 니콜라스 정교회가 설립됨.
최근현재 대만에는 타이베이의 성 니콜라스 교회와 가오슝의 성모 희보 교회가 있음.
신자들은 주로 루마니아인, 러시아인, 인도네시아인, 대만인 등으로 구성됨.
교회 정보
성 니콜라스 정교회위치: 타이베이
특징: 유일한 비잔틴 양식 교회
가오슝 성모 희보 교회위치: 가오슝
특징:
루마니아 정교회에서 지원
주일학교 운영
외부 링크
공식 웹사이트대만 정교회 공식 웹사이트

2. 대만 정교회의 역사

동방 정교회1895년 청나라일본 제국에 일본령 대만을 할양하면서 대만에 전래되었다. 초기 정교회 신자들은 일본 이민자들이었으며, 이들은 성 니콜라스에게 사제 파견을 요청했다. 1901년 도쿄 시노드는 대만에 그리스도 구세주 교구를 창설했고, 시메온 신부가 첫 사제로 파견되었다. 1911년에는 티투스 신부가 그 뒤를 이었다. 1912년 성 니콜라스 사망과 1945년 일본 통치 종식으로 공동체 활동은 대부분 중단되었다.[2][3]

1949년 중국 내전으로 약 5,000명의 러시아인들이 타이베이로 이주하여 카페 아스토리아에 모였다.[4][5][6] 한국 전쟁 기간 중 샌프란시스코의 주교 존(샤호프스코이)이 대만을 방문하여 장례를 집전했다는 기록이 있다. 1957년부터 1959년까지 이레니 (베키시) 도쿄 대주교가 매년 타이베이를 방문하여 성찬예배를 집전했고, 1960년에는 니콜라이 키릴류크 신부가 이 임무를 이어받았다. 1970년대에 이르러 교회는 활동이 미미해졌다.[4][5][6]

200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후원으로 그리스 정교회 수도사제 요나(무르토스) 신부에 의해 대만 정교회가 재건되었다. 2012년 러시아 정교회캐나다 출신 사제의 지도 아래 타이베이에 그리스도 구세주 교구를 재활성화했다.

2. 1. 일본 통치 시기 (1895-1945)

동방 정교회청나라일본 제국에 일본령 대만을 할양한 1895년경 대만에 전래되었다. 최초의 정교회 신자들은 일본 이민자들이었으며, 이들은 성 니콜라스(카사츠킨) 일본 대주교에게 사제 파견을 요청했다. 1901년, 도쿄 시노드는 대만에 그리스도 구세주 교구를 창설했다. 첫 번째 사제는 시메온(오카바 또는 유카바 - 철자가 다름) 신부였으며, 1911년 티투스(카리야마) 신부가 그 뒤를 이었다. 기록에 따르면 1900년 대만 정교회 인구는 15명 또는 17명, 1901년에는 29명, 1903년에는 44명이었다. 공동체의 활동은 1912년 일본의 성 니콜라스 사망과 1945년 일본 통치 종식으로 대부분 중단되었다.[2][3]

사야마 데이로쿠는 후에 모스크바 근처 라멘스키 구의 니콜라스 대주교가 되었으며, 1914년 타이호쿠(타이베이)에서 태어났다.

2. 2. 국민정부 시기 (1949-1970년대)

1949년, 중국 내전의 여파로 약 5,000명의 러시아인들이 상하이, 하얼빈 등지에서 타이베이로 이주하여 카페 아스토리아에 모이기 시작했다.[4][5][6] 당시 미국 육군 군목으로 한국에서 미국으로 향하던 샌프란시스코의 주교(후에 대주교) 존 (샤호프스코이)가 한국 전쟁 기간 중 대만을 방문하여 장례를 집전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레니 (베키시) 도쿄 대주교는 1957년부터 1959년까지 매년 타이베이를 방문하여 세례자 요한 교회의 이름으로 사저에서 성찬예배를 집전했다. 1960년, 그는 이 임무를 미국 군목인 니콜라이 키릴류크 신부에게 넘겼다. 1965년에는 일본의 블라디미르 대주교(사고스키), 미국 군목인 페테르 주르노비치 대사제, 키릴 아리하라 신부가 대만을 방문했다. 대만의 정교회 신자 수는 1960년 50명, 1958년 100명, 1965년 200명으로 추정치가 다양하다.[4][5][6] 러시아 공동체의 가장 유명한 구성원인 장징궈벨라루스 출생 아내 장팡량(본명: 파이나 이파티예브나 바흐레바)은 예배에 참석하지 않았다.

이 러시아인 중심의 교회가 일본 시대의 초기 신자들과 접촉했는지 여부는 자료마다 의견이 다르다. 1970년대에 이르러 교회는 다시 활동이 미미해졌는데, 이는 상주 사제가 없는 교구는 50년 이상 지나면 폐쇄해야 한다는 정교회 규정에 따른 것이었다.

2. 3. 현대 (2000년-현재)

200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 관할 남아시아 관구 대주교의 후원 아래 그리스 정교회 수도사제 요나(무르토스) 신부에 의해 대만 정교회가 재건되었다. 신도는 주로 러시아인과 다른 슬라브 민족이지만, 점차 더 많은 대만 현지인들이 정교회에 입문하고 있다. 2012년 러시아 정교회캐나다 출신 사제의 지도 아래 타이베이에 그리스도 구세주 교구를 재활성화했다. 이 교구는 중국어, 영어, 교회 슬라브어를 혼합하여 예배를 드린다.

3.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좌 대만정교회

2001년 그리스에서 온 이량(李亮) 신부가 대만에 교회를 설립하고 2003년에 법인단체로 등록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총대주교는 1997년 홍콩-동남아시아 정교회 수도 대교구(홍콩 성 루가 주교좌성당)를 설립했으며 대만기독정교회도 이 교구의 재치권에 속한다. 현 책임자는 그리스인 이량 신부이다. 성당은 현재 신베이시 신뎬구 계원로 389 12번지 4층에 위치하고 있다.

4. 관할 지역

콘스탄티노폴리스 성 시노드는 1996년 11월 홍콩 및 동남아시아 정교 메트로폴리탄 교구를 신설하여 홍콩, 마카오, 중국, 대만, 몽골, 필리핀,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태국, 미얀마,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동티모르, 몰디브,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인도, 네팔,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을 관할하게 했다.

참조

[1] 서적 The Encyclopedia of Eastern Orthodox Christianity, 2 Volume Se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12-15
[2] 웹사이트 NIKOLAI (SAYAMA) http://www.orthodox.[...]
[3] 웹사이트 The oldest bishop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MP has died. http://www.orthodox.[...]
[4] 웹사이트 Archbishop Ireney's visits to Taiwan http://www.orthodox.[...]
[5] 웹사이트 Historical Notes about Orthodox Church Life in Taiwan during 50-60 years of 20 cent. http://orthodox.cn/l[...]
[6] 웹사이트 Visiting Taiwan's Faithful http://www.orthodox.[...]
[7] 웹사이트 About us : OMHKSEA http://www.omhksea.o[...]
[8] 문서 The ROC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Ecumenical Patriarchate in 2018, and later severed full communion with the Primate (bishop)|primates of the Church of Greece, the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the Church of Cyprus in 2020.
[9] 문서 Autocephaly or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10] 문서 Semi-autonomous part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whose autonomy is not universally recognized.
[11] 문서 UOC-MP was moved to formally cut ties with the ROC as of May 27th 2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