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용병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용병대는 1342년 베르너 폰 우르슬링겐이 설립한 용병 부대이다. 3,000명의 중무장 기병으로 시작하여 1350년대에는 20,000명 규모로 성장했다. 헝가리의 루이 1세, 이탈리아 중부의 여러 도시, 비스콘티 가문 등에 고용되어 전투를 벌였다. 주요 지휘관으로는 우르슬링겐, 콘라트 폰 란다우, 프라 모리알레 등이 있었으며, 칸투리노 전투에서 백색 회사에 패배하며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43년 설립 - 피사 대학교
피사 대학교는 11세기 기원을 가지며 1343년 설립된 이탈리아 피사 소재의 대학으로, 신학, 법학, 의학을 중심으로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같은 저명한 학자를 배출하며 유럽 주요 교육기관으로 발전하여 현재 20개 학과를 갖춘 이탈리아 대표 대학이다. - 독일의 용병 - 콘도르 군단
콘도르 군단은 스페인 내전 당시 프랑코의 국민군을 지원하기 위해 나치 독일이 파견한 공군 및 지상 지원 부대로, 히틀러는 독일 재군비로부터의 주의 분산, 공산주의 확산 방지, 친독일 국가 창출 등을 개입 동기로 내세웠으며 마드리드 전투, 비스카야 공세, 게르니카 폭격 등 주요 전투에 참여하여 악명을 떨치며 독일 공군의 전술 및 기술 발전의 시험장이 되어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군의 핵심 전력으로 이어졌다. - 독일의 용병 - 괴츠 폰 베를리힝겐
괴츠 폰 베를리힝겐은 16세기 독일 기사로, 철제 의수를 착용하고 용병 대장으로 활동했으며 독일 농민 전쟁에서 반군을 이끌었고, 그의 삶은 괴테의 희곡 소재가 되었고 나치 독일 시기에 선전 도구로 이용되기도 했다. - 용병부대 - 존 호크우드
존 호크우드는 1323년경 잉글랜드에서 태어나 백년 전쟁 참전 후 이탈리아에서 용병으로 활동하며 백색 용병대를 이끌고 카시나 전투 등에서 승리했으며, 1394년 피렌체에서 사망하였다. - 용병부대 -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는 15세기 이탈리아의 우르비노 공작이자 뛰어난 용병대장이었고,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과 인문주의를 후원하여 우르비노 궁정을 문화 중심지로 만들었으며,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를 비롯한 예술가들을 후원했다.
대용병대 | |
---|---|
용병대 정보 | |
명칭 | 대용병대 |
다른 명칭 | 위대한 중대 (영어: Great Company) 그로세 콤파니 (독일어: Grosse Kompanie) 마냐 콤파냐 (이탈리아어: Magna Societas, Grande Compagnia) |
결성 시기 및 장소 | |
결성 시기 | 1342년 겨울 |
결성 장소 | 롬바르디아 |
해체 시기 | |
해체 시기 | 1399년 |
활동 지역 | |
활동 지역 | 이탈리아 |
규모 | |
규모 | 최대 7,000명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베른하르트 폰 린트라우 콘라트 폰 란다우 구엘토 에체리니 다 파도바 조반니 아쿠토 (존 호크우드) 프라 모리알레 |
지휘 | |
지휘 형태 | 용병대장 선출 |
초기 지휘관 | 베른하르트 폰 린트라우 |
후기 지휘관 | 조반니 아쿠토 (존 호크우드) |
특징 | |
특징 | 이탈리아에서 활동한 주요 용병대 중 하나 자체적인 규율과 조직을 갖춤 도시 국가들을 상대로 계약 및 약탈 활동 한때 이탈리아 전역을 공포에 떨게 함 |
역사적 배경 | |
배경 | 14세기 이탈리아의 정치적 분열과 도시 국가 간의 갈등 용병 수요 증가 신성 로마 제국의 불안정 |
주요 활동 | |
주요 활동 | 도시 국가와의 계약을 통한 군사 지원 몸값 지불 요구 및 약탈 세력 확장을 위한 전투 |
해체 원인 | |
원인 | 용병 시장의 변화 더 강력한 군대의 등장 조반니 아쿠토 (존 호크우드) 사후 리더십 부재 |
유산 | |
유산 | 이탈리아 용병대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침 용병술의 발전과 변화에 기여 |
2. 역사
대용병대는 14세기 중반 이탈리아에서 활동한 용병 집단이다.
1342년 베르너 폰 우르슬링겐이 대용병대를 창설했다. 그의 좌우명은 "신의 적, 경건함의 적, 연민의 적"이었다.[1] 그는 파라비아고 전투에서 싸운 로드리시오 비스콘티의 산 조르지오 용병대에서 영감을 받았다. 초기 지휘관은 그의 형제 라인하르트, 에토레 다 파니고, 콘라트 폰 란다우, 프란체스코 2세 오르델라피 등이었다. 당시 용병대는 3,000명의 중무장 기병으로 구성되었다. 그해 가을, 용병대는 해산되고 우르슬링겐과 독일인 추종자들은 고향으로 돌아갔다.[2]
1347년 우르슬링겐은 헝가리의 루이 1세가 나폴리의 조반나 1세를 상대로 벌인 전쟁에 참전했다. 여기서 그는 옛 동료 콘라트 폰 란다우와 재회했고, 프라 모리알레로 알려진 몬트리올 달바르노와 처음으로 함께 복무했다. 이들은 1349년 멜레토 전투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용병대는 다시 분열되어 우르슬링겐과 란다우는 이탈리아 중부에서, 프라 모리알레는 나폴리에서 활동했다.[3]
1351년 우르슬링겐은 은퇴하고, 란다우와 프라 모리알레가 다시 힘을 합쳐 프라 모리알레가 지휘를 맡았다. 이때 부대에는 독일인 외에 이탈리아인, 프로방스인, 헝가리인도 합류했다. 주요 활동 지역은 이탈리아 중부였다. 1353년에서 1354년 사이에는 전투원 10,000명, 병참 지원대 20,000명 규모로 성장했다. 1354년 프라 모리알레는 로마에서 처형되고, 콘라트 폰 란다우가 지휘관이 되었다. 1358년 베네치아 동맹, 1359년 시에나와 계약을 맺었다. 시에나로 가는 길에 매복 공격을 받았고, 피렌체에 의해 지휘관을 몸값으로 내줘야 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1359년 부대는 약 20,000명 규모로 성장했다. 리미니, 파브리아노, 카메리노, 교황령, 피렌체를 상대로 전투를 벌였다. 7월에는 판돌포 2세 말라테스타 휘하의 피렌체 군대에 캄포 델레 모스케 전투에서 패배했다.[4]
1363년 밀라노 공국의 비스콘티 가문에 고용되어 알베르트 슈테르츠의 백색 회사와 싸웠다. 4월, 3개월 간의 충돌 끝에 칸투리노 전투에서 패배하고 콘라트 폰 란다우도 사망했다.[5]
2. 1. 1340년대
1342년에 베르너 폰 우르슬링겐은 이 용병대를 설립했다. 그의 좌우명은 "신의 적, 경건함의 적, 연민의 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작가들은 이 문구가 그의 흉갑에 새겨져 있다고 기록하기도 했다.[1] 우르슬링겐은 파라비아고 전투에서 참전했던 로드리시오 비스콘티의 산 조르지오 용병대에 영감을 받았다. 지휘관으로는 그의 형제 라인하르트, 에토레 다 파니고, 콘라트 폰 란다우, 프란체스코 2세 오르델라피 등이 있었다. 이 시점에서 용병대의 규모는 3,000명의 중무장 기병으로 기록되었다. 1342년 가을, 이 용병대는 해산되었고 우르슬링겐과 그의 독일인 추종자들은 고향으로 돌아갔다.[2]1347년, 우르슬링겐은 헝가리의 루이 1세의 나폴리의 조반나 1세와의 전쟁에 고용되었다. 여기서 그는 옛 동료인 콘라트 폰 란다우와 재회했으며, 프로방스 기사로 프라 모리알레로 알려진 몬트리올 달바르노와 처음으로 함께 복무했다. 이 용병대는 1349년 멜레토 전투에서 주요 승리를 거두었다. 그 후 용병대는 다시 분열되어 우르슬링겐과 란다우는 이탈리아 중부에서 활동했고, 프라 모리알레는 나폴리에 머물렀다.[3]
2. 2. 1350년대
1351년 울슬링겐은 독일로 은퇴했고 란다우와 프라 모리알레가 재결합하여 후자가 부대를 지휘하게 되었는데, 이때 부대에는 이전의 주된 독일 용병 외에 이탈리아인, 프로방스인, 헝가리인들이 추가되었다. 주요 작전 지역은 다시 한번 이탈리아 중부였다. 1353-54년, 부대의 병력은 전투원 10,000명과 병참 지원대 20,000명으로 추산되었다. 1354년 프라 모리알레는 로마에서 체포되어 처형되었고, 콘라트 폰 란다우가 사령관이 되었다. 부대는 1358년에 베네치아 동맹과 계약을 맺었고, 이듬해에는 시에나와 계약을 맺었는데, 이 기간 동안 시에나로 가는 길에 있는 레 스칼레에서 산속 매복 공격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지휘관을 몸값으로 지불해야 했을 때 피렌체에 의해 심각한 좌절을 겪었다.1359년 부대는 다시 상당한 규모로 성장하여 약 20,000명에 달했다. 그 후 리미니, 파브리아노, 카메리노, 교황령 및 피렌체를 상대로 전투를 벌였다. 7월, 부대는 판돌포 2세 말라테스타 휘하의 피렌체 군대에 의해 캄포 델레 모스케 전투에서 격파되었다.[4]
2. 3. 1360년대
1363년, 밀라노 공국의 비스콘티 가문에 고용되어, 전 해에 대용병대가 격파했고 몬페라토 후작에게 고용된 알베르트 슈테르츠의 백색 회사와 싸웠다. 4월, 3개월간의 충돌 후, 대용병대는 칸투리노 전투에서 결정적으로 패배했고 콘라트 폰 란다우 또한 사망했다.[5]참조
[1]
서적
The Age of Wars of Religion, 1000-1650, Volume 1: An Encyclopedia of Global Warfare and Civilization
Greenwood Publishing Group
[2]
서적
Mercenaries and their Masters
Bodley Head
[3]
서적
[4]
서적
[5]
서적
John Hawkwood: An English Mercenary in Fourteenth Century Italy
Johns Hopkins Press
[6]
서적
The Age of Wars of Religion, 1000-1650, Volume 1: An Encyclopedia of Global Warfare and Civilization
Greenwood Publishing Group
[7]
서적
Mercenaries and their Masters
Bodley Head
[8]
서적
[9]
서적
[10]
서적
John Hawkwood: An English Mercenary in Fourteenth Century Italy
Johns Hopkins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