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1920년대에 아이스하키가 도입된 이후, 197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처음 참가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개최국 자격으로 처음 올림픽에 출전했으며, 2018년 세계 선수권에서 톱 디비전에 진출하기도 했다. 아시안 게임에서는 은메달 1개, 동메달 4개를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아이스하키 - 대한민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팀으로, 2004년 IIHF 여자 세계 선수권 대회에 처음 출전했으며,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 남북 단일팀으로 참가하여 8위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의 아이스하키 -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는 한라위니아 주도로 2003년 출범하여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팀이 참가하며 동북아시아를 중심으로 성장한 국제 아이스하키 리그로, 현재는 일본 4팀과 한국 1팀이 참가하여 매 시즌 플레이오프를 통해 챔피언을 결정한다. - 대한민국의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56년 FIVB에 가입하여 올림픽 동메달과 4강 진출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최근 네이션스리그에서 부진을 보이는 대한민국의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이다. - 대한민국의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배드민턴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배드민턴 국가대표팀은 토마스컵, 우버컵, 수디르만컵 등 국제 대회에 참가하는 대한민국의 대표팀으로, 과거 세계적인 강팀이었으나 최근 부진하며 선수 육성 시스템 개선 및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캐나다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캐나다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에서 다수의 금메달을 획득한 아이스하키 강국으로, NHL 선수들의 참가 허용 여부에 따라 국제 대회 성적 변화를 겪으며 세계 최정상급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소련 시절 국제 무대에 데뷔하여 세계 선수권 대회와 올림픽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에 의해 모든 대회 참가가 중단되었다.
대한민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없음 |
협회 | 대한아이스하키협회 |
총감독 | 김우재 |
코치 | 김동환 박우상 |
주장 | 김상욱 |
최다 출전 | 김기성 (145) |
최다 득점 | 김기성 (72) |
최다 포인트 | 김기성 (142) |
홈 경기장 | 알려진 정보 없음 |
IIHF 코드 | KOR |
IIHF 최고 랭킹 | 16위 |
IIHF 최고 랭킹 달성 시기 | 2018년 |
IIHF 최저 랭킹 | 33위 |
IIHF 최저 랭킹 달성 시기 | 2010년 |
팀 색상 | 흰색, 남색, 빨간색 |
![]() | |
첫 경기 | 스페인 7–1 대한민국 (바르셀로나, 스페인; 1979년 3월 16일) |
최대 점수차 승리 | 대한민국 44–0 홍콩 (퍼스, 오스트레일리아; 1987년 3월 14일) |
최대 점수차 패배 | 라트비아 27–0 대한민국 (블레드, 슬로베니아; 1993년 3월 18일) |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 | 38회 |
첫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 | 1979년 |
세계 선수권 대회 최고 성적 | 16위 (2018년) |
기록 | 106승 207패 14무 |
아시아 겨울 경기 대회 | |
지역 대회 이름 | 아시아 동계 경기 대회 |
지역 대회 출전 횟수 | 8회 |
지역 대회 첫 출전 | 1986년 |
지역 대회 최고 성적 | 16px 은메달 (2017년) 16px 동메달 (1986년, 1990년, 2007년, 2011년) |
올림픽 | |
올림픽 출전 횟수 | 1회 |
올림픽 첫 출전 | 2018년 |
올림픽 메달 | 없음 |
2. 역사
2010년 동계 올림픽 예선전에 불참하여 올림픽 랭킹 점수를 획득하지 못하면서 2010년 세계 랭킹은 33위로 하락하였다. 그러나 이후 지속적인 노력으로 2014년 2월에는 세계 랭킹 23위까지 상승하였다.
대한민국은 197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처음 참가한 이후, 1982년, 1986년을 거쳐 2010년부터 2017년까지 꾸준히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특히 2018년 세계 선수권 진출권을 획득하며 성장세를 보였다.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5전 전패로 최하위를 기록하며 디비전 1 그룹 B(3부 리그)로 강등되었으나, 국제 올림픽 위원회 (IOC)와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 (IIHF)의 검토 결과, 2014년 9월 19일 IIHF 총회에서 한국 남녀 대표팀 모두에게 올림픽 출전권이 주어지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2. 1. 초기 역사와 국제 대회 참가 (1920년대 ~ 1990년대)
1920년대에 한국에 아이스하키가 도입되었지만,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 처음으로 대표팀을 구성하여 출전한 것은 1970년대이다. 1979년 스페인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C풀(현 디비전 2) 대회에 참가하여 첫 경기에서 개최국 스페인에게 7대 1로 패했으나, 다음 경기에서 영국을 9대 6으로 이겼다. 이 대회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은 C풀 7위, 세계 랭킹 25위를 기록했다. 이후 1990년대까지 세계 랭킹 25위권을 유지하다가, 동유럽과 구소련 지역 국가들의 등장으로 30위 내외를 오갔다.세계 선수권에서는 2001년 3부 리그 격인 디비전 2 대회에서 우승하여 사상 처음으로 2부 리그 격인 디비전 1로 승격하였다. 그러나 다음 해 2002년 디비전 1 대회에서 최하위로 밀려 다시 디비전 2로 강등당했다. 2009년 다시 디비전 2 대회에서 우승하여 디비전 1로 승격하였고, 2010년 디비전 1 대회 B조에서 5위를 하여 사상 처음으로 디비전 1에 계속 잔류하게 되었다.
2. 2. 2000년대의 성장과 발전
1979년 스페인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C풀(현 디비전 2) 대회에 처음 참가하여 영국을 상대로 9대 6 승리를 거두는 등 세계 랭킹 25위를 기록했다.[1] 1990년대 동유럽과 구소련 국가들의 등장으로 세계 랭킹이 30위권으로 밀려났으나, 2001년 디비전 2에서 우승하며 디비전 1로 승격했다.[1] 2002년 디비전 1에서 최하위를 기록하며 다시 디비전 2로 강등되었지만, 2009년 디비전 2 우승으로 다시 디비전 1에 복귀했다.[1] 2010년 디비전 1 B조에서 5위를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디비전 1 잔류에 성공했다.[1]2011년 디비전 1 A조에서 3위를 기록하며 잔류했고, 2012년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의 등급 재조정에 따라 디비전 1B 그룹에서 폴란드, 네덜란드, 오스트레일리아, 루마니아, 리투아니아를 모두 꺾고 5전 전승으로 우승, 디비전 1A로 승격했다.[1] 2013년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디비전 1A에서는 영국, 헝가리를 꺾고 일본에 1점 차로 패하는 등 선전하며 5위를 기록, 잔류에 성공했다.[1] 2014년 동계 올림픽 예선에서 2위를 기록, 올림픽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세계 랭킹은 역대 최고인 23위까지 상승했다.[1]
2. 3.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유치와 평창 동계 올림픽 준비
2018년 동계 올림픽 개최국으로 평창이 선정되면서, 대한민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정몽원 대한아이스하키협회 회장의 주도하에 올림픽에 참가할 다른 팀들과 경쟁하기 위해 실력을 향상시키기 시작했다.[1]토리노 동계 올림픽을 마지막으로 개최국 자동출전권이 폐지되어, 대한민국은 올림픽 출전을 위해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에 개최국으로서의 당위성을 역설했다.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은 대한민국이 2017년까지 세계랭킹 18위 이내에 들 경우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 티켓을 주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대한민국 대표팀은 외국인 선수들의 귀화와 대한민국 선수의 외국 리그 진출 등을 통해 세계랭킹을 끌어올리기 위한 노력을 했다.[3] 그 결과, 2011년 올림픽 개최권을 획득했을 때 IIHF 세계 랭킹 31위였던 대한민국 팀은 올림픽 직전 18위까지 상승했다.[3]
2014년 동계 올림픽 예선전에서는 영국, 루마니아, 일본과 한 조가 되어 2위를 기록, 올림픽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올림픽 랭킹 포인트를 추가하여 2014년 2월 세계랭킹은 역대 최고인 23위까지 상승하였다.
대한민국 육군은 2012년 아이스하키 팀 대명 상무를 창설하여 병역 의무 중인 선수들이 경기를 계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다. 과거에는 일본과의 실력 차가 컸지만, 2012년 10월 닛코시에서 열린 소치 올림픽 1차 예선에서는 일본을 앞섰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 (IOC) 및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 (IIHF)는 한국 협회가 작성한 강화 4개년 계획을 검토한 결과, 2014년 9월 19일에 개최된 IIHF 총회에서 대한민국 남녀 대표팀 모두에게 올림픽 출전권을 부여하기로 결정했다.
2. 4. 평창 동계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톱 디비전 진출 (2018년)
2018년 동계 올림픽 개최국으로 선정되면서, 대한민국 팀은 정몽원 대한아이스하키협회 회장의 주도하에 올림픽에 참가할 다른 팀들과 경쟁하기 위해 꾸준히 실력을 향상시키기 시작했다.[1]대한민국 팀에서 뛰는 여러 북미 선수들에게 대한민국 시민권이 제공되어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게 되었다.[2] 이는 올림픽을 앞두고 팀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이루어졌으며, 성공적이었다. 2011년 올림픽 개최권을 획득했을 때 대한민국 팀은 IIHF 세계 랭킹 31위였지만, 올림픽 직전 18위로 상승했다.[3]
2014년 9월 19일,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 (IIHF) 총회에서 한국 (남녀 모두)에 올림픽 출전권이 주어지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2014년 8월, 한국 출생의 캐나다 이민자로 NHL에서도 활약한 백지선(짐 백)이 감독으로 취임했다.
2015년 세계 선수권 디비전 1 그룹 B에서 우승하여, 디비전 1 그룹 A 복귀를 결정했고, 2017년 세계 선수권 디비전 IA에서 2위를 차지하여, 사상 최초의 톱 디비전 승격이 결정되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는 예선 리그에서 체코, 캐나다, 스위스와 같은 조가 되어 3패를 기록했다. 8강 진출을 건 플레이오프의 핀란드전에서도 패배하여 탈락이 결정되었다.
처음 톱 디비전에 출전한 같은 해 세계 선수권 대회는 7전 전패로 끝나, 디비전 1A로 강등되었다.
2. 5. 2018년 이후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예선 리그에서 체코, 캐나다, 스위스와 같은 조가 되어 3패를 기록했다. 8강 진출을 위한 플레이오프 핀란드전에서도 패배하여 탈락했다.[1]같은 해 처음으로 톱 디비전에 출전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7전 전패로 끝나, 디비전 1A로 강등되었다.[1]
2022년 베이징 올림픽 예선은 오슬로에서 개최된 세계 최종 예선에 출전했지만 3전 전패로 탈락했다.[1]
3. 대회 기록
대한민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아시안 게임 등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하여 12위를 기록했다.[1]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979년 풀 C 7위로 시작하여 꾸준히 참가하고 있으며, 2017년 디비전 1 그룹 A에서 2위를 차지하며 사상 최초로 톱 디비전(IIHF 월드 챔피언십)에 승격[1]되었으나, 2018년 톱 디비전에서 최하위(16위)를 기록하며 다시 디비전 1 그룹 A로 강등되었다.[1]
아시안 게임에서는 1986년 첫 출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2017년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을 앞두고 대한민국 육군 아이스하키 팀 대명 상무를 창설하고 캐나다 출신 선수를 귀화시키는 등 전력을 강화했다.
3. 1. 올림픽
대한민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1979년 결성된 이후, 2018년 동계 올림픽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출전하여 12위를 기록했다.[1] 그 이전의 올림픽은 모두 국가대표팀 창설 이전이거나 예선에서 탈락했다.[1]개최국 | 대회 | 결과 |
---|---|---|
대한민국 | 2018년 동계 올림픽 | 12위 |
3. 2. 세계 선수권 대회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개최국으로 결정되면서, 대한민국은 아이스하키 종목 출전권을 얻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대한민국 육군의 아이스하키 팀 대명 상무를 창설하여 선수들의 경기력 유지를 도왔고, 캐나다인 선수를 귀화시켜 대표팀에 합류시키기도 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2017년 세계 선수권 디비전 I A에서 2위를 차지하며 사상 최초로 톱 디비전(IIHF 월드 챔피언십)으로 승격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그러나 2018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7전 전패로 디비전 I A로 강등되었다.
3. 3. 아시안 게임
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패 | 득점 | 실점 |
---|---|---|---|---|---|---|---|
1986년 동계 아시안 게임 | -- 동메달 | 3위 | 6 | 2 | 4 | 11 | 49 |
1990년 동계 아시안 게임 | -- 동메달 | 3위 | 3 | 1 | 2 | 15 | 23 |
1996년 동계 아시안 게임 | 4위 | 4위 | 3 | 0 | 3 | 4 | 21 |
1999년 동계 아시안 게임 | 4위 | 4위 | 4 | 1 | 3 | 18 | 33 |
2003년 동계 아시안 게임 | 4위 | 4위 | 4 | 1 | 3 | 28 | 29 |
2007년 동계 아시안 게임 | -- 동메달 | 3위 | 5 | 3 | 2 | 31 | 15 |
2011년 동계 아시안 게임 | -- 동메달 | 3위 | 4 | 2 | 2 | 35 | 16 |
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 -- 은메달 | 2위 | 3 | 2 | 1 | 14 | 5 |
합계 | 8회 출전 | 33 | 12 | 20 | 156 | 191 |
4. 선수 기록
대한민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의 선수 개인 기록은 출장 경기 수, 득점, 도움(어시스트), 포인트 등 다양한 지표로 평가된다. 이러한 기록들은 선수들의 기량과 대표팀에서의 활약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며, 최다 출전 기록, 최다 골 기록, 최다 포인트 기록으로 나눌 수 있다.
4. 1. 최다 출전 기록
순위 | 선수 | 활동 기간 | 출장 횟수 | 득점 | 도움 | 포인트 |
---|---|---|---|---|---|---|
1 | 김기성 | 2005년–현재 | 133 | 71 | 40 | 141 |
2 | 이돈구 | 2009년–현재 | 130 | 14 | 25 | 39 |
3 | 김원중 | 2008년–2019년 | 121 | 24 | 17 | 41 |
4 | 김상욱 | 2011년–현재 | 119 | 24 | 70 | 94 |
5 | 조민호 | 2008년–2021년 | 117 | 19 | 33 | 52 |
6 | 박우상 | 2005년–2018년 | 112 | 19 | 27 | 46 |
7 | 신상우 | 2008년–현재 | 102 | 18 | 21 | 39 |
8 | 신상훈 | 2013년–현재 | 99 | 32 | 27 | 49 |
9 | 서상원 | 1991년–2004년 | 86 | 30 | 14 | 44 |
10 | 심의식 | 1990년–2004년 | 83 | 38 | 25 | 63 |
4. 2. 최다 골 기록
# | 성명 | 연도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
1 | 김기성 | 2005– | 133 | 71 | 40 | 141 |
2 | 심의식 | 1990–2004 | 83 | 38 | 25 | 63 |
3 | 송동환 | 1999–2011 | 46 | 32 | 24 | 56 |
신상훈 | 2013– | 99 | 32 | 27 | 49 | |
5 | 서상원 | 1991–2004 | 86 | 30 | 14 | 44 |
6 | 마이클 스위프트 | 2014–2018 | 73 | 28 | 19 | 47 |
7 | 김상욱 | 2011– | 119 | 24 | 70 | 94 |
김원중 | 2008–2019 | 121 | 24 | 17 | 41 | |
9 | 신우삼 | 1991–2002 | 70 | 23 | 15 | 38 |
10 | 윤성엽 | 1986–1990 | 22 | 21 | 22 | 43 |
김한성 | 2001–2010 | 44 | 21 | 11 | 32 | |
한중현 | 1986–1990 | 15 | 21 | 9 | 30 |
4. 3. 최다 포인트 기록
# | 성명 | 연도 | 출장 | 골 | 어시스트 | 포인트 |
---|---|---|---|---|---|---|
1 | 김기성 | 2005– | 133 | 71 | 40 | 141 |
2 | 김상욱 | 2011– | 119 | 24 | 70 | 94 |
3 | 심의식 | 1990–2004 | 83 | 38 | 25 | 63 |
4 | 송동환 | 1999–2011 | 46 | 32 | 24 | 56 |
5 | 조민호 | 2008–2021 | 117 | 19 | 33 | 52 |
6 | 신상훈 | 2013– | 99 | 32 | 27 | 49 |
7 | 마이클 스위프트 | 2014–2018 | 73 | 28 | 19 | 47 |
8 | 박우상 | 2005–2018 | 112 | 19 | 27 | 46 |
9 | 서상원 | 1991–2004 | 86 | 30 | 14 | 44 |
10 | 윤성엽 | 1986–1990 | 22 | 21 | 22 | 43 |
참조
[1]
웹사이트
Legends join IIHF Hall of Fame
https://www.iihf.com[...]
2020-02-04
[2]
웹사이트
South Korea, Next Olympics Host, Went Shopping in North America to Build Its Hockey Teams
https://www.nytimes.[...]
2017-02-23
[3]
웹사이트
South Korea and China Chasing Hockey Dreams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17-05-04
[4]
웹사이트
IIHF cancels Division I tournaments
https://www.iihf.com[...]
2019-03-17
[5]
웹사이트
IIHF – IIHF Council announces more cancellations
https://www.iihf.com[...]
International Ice Hockey Federation
[6]
웹사이트
Ice Hockey in South Korea
https://nationalteam[...]
[7]
웹사이트
South-Korea-Men-All-Time-Results.pdf
https://www.national[...]
National Teams of Ice Hockey
[8]
웹사이트
Ice Hockey Association of Thailand
https://web.archive.[...]
2008-05-03
[9]
웹사이트
アイスホッケー:韓国、日本に敗れ降格=世界選手権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4-04-25
[10]
웹사이트
【韓国代表】男女揃って平昌五輪出場へ(2014.9.19)
http://www.breakaway[...]
Break Away
2014-09-19
[11]
웹사이트
ホッケーリンクに奇跡が起きた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17-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