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천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덕천강은 대한민국에 위치한 하천으로, 다양한 유적지가 유역에 자리 잡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진양호에 이른다. 조선 시대 유학자인 남명 조식과 관련된 덕천서원, 세심정, 근현대 고승 성철 스님의 생가, 고려 말 문익점이 면화를 재배한 지역 등이 덕천강 유역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청군의 지리 - 천왕봉
- 산청군의 지리 - 지리산
지리산은 백두대간의 끝자락에 위치한 대한민국 남부의 산으로, 천왕봉을 최고봉으로 하며 역사적으로 저항의 근거지였고,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립공원이자 유명 사찰과 자연 경관을 자랑하는 등산 명소이다. - 진주시의 지리 - 진주층
진주층은 압트절 후기에서 알비절 초기에 걸쳐 퇴적된 경상 누층군의 지층으로, 다양한 화석을 포함하여 백악기 한반도의 생태 환경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 진주시의 지리 - 진주시의 지질
진주시의 지질은 경상 누층군으로 구성되어 낙동층, 하산동층, 진주층, 칠곡층, 신라 역암층, 함안층이 분포하며, 특히 진주층의 익룡·새·공룡 발자국 화석산지와 함안층의 새발자국 화석 산지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백악기 생태계 연구에 중요한 지역이다. - 낙동강의 지류 - 밀양강
밀양강은 밀양시를 흐르는 강으로, 중앙고속도로 등과 연결되는 여러 교량들이 설치되어 있다. - 낙동강의 지류 - 철암천
철암천은 원래 백병산에서 발원하여 황지천으로 흘렀으나, 오십천의 침식으로 하천 쟁탈 현상이 발생해 발원지가 바뀌었고, 이로 인해 통리 지역에 풍극과 미인폭포, 통리협곡 등의 지형적 특징이 나타났다.
| 덕천강 | |
|---|---|
| 개요 | |
![]() | |
| 명칭 | |
| 이름 | 덕천강 |
| 다른 이름 | 德川江 (한자) Deokcheon River (영어) |
| 지리 | |
| 지리 유형 | 강 |
| 위치 | 대한민국 경상남도 |
| 지방 자치 단체 | 산청군 하동군 진주시 |
| 권역 | 낙동강 권역 |
| 발원지 위치 | 대한민국 경상남도 산청군 황매산 |
| 발원지 고도 | 1,108m |
| 발원지 좌표 | 위도: 35.509313 경도: 127.971497 |
| 하구 | 진양호 |
| 하구 좌표 | 위도: 37.84297 경도: 126.35055 |
| 흐르는 지역 | 옥종면 수곡면 |
| 길이 | 46.72km (국가하천) |
| 유역 면적 | 445.14km² (국가하천 유역) |
| 참고 | |
| 목록 | 한국의 강 |
| 참고 문헌 | http://www.kyongnambank.co.kr/images/st/river/16.pdf 깨진 링크 |
2. 지리
덕천강은 낙동강 수계에 속하며, 낙동강의 제2지류이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2]
2. 1. 수계
낙동강 수계에 속하며, 낙동강의 제2지류이다. (제1지류는 남강이다.) 국가하천 길이는 46.72km, 지방2급하천 길이는 43.55km, 하천연장은 34km이다. 유역면적은 국가하천 445.14km2, 지방2급하천 391.54km2이다.[2]강물은 하동군 옥종면과 진주시 수곡면 사이를 흘러 사천시 곤명면 진양호로 흘러들어간다. 덕천강은 여름이 되면 서부 경남 최대의 자연유원지로 각광받는다. 옥종의 문암교에서 북방의 솔밭까지는 넓은 하상으로 야영과 취사가 쉽고 수심이 얕아서 물놀이에도 적합하다. 사계절 고기를 잡아 회를 먹기도 한다.[3]
덕천강에는 천연기념물인 꼬치동자개를 비롯해 얼룩새코미꾸리, 쉬리, 꺽지, 미유기(산메기), 자가사리(땡가리), 칼납자루, 수수미꾸리 등 우리 고유 특산종을 비롯해 민물 토속어류 30여 종이 서식하고 있다.[4]
2. 2. 발원지 및 유로
낙동강 수계에 속하며, 낙동강의 제2지류이다(제1지류는 남강). 국가하천 길이는 46.72km, 지방2급하천 길이는 43.55km, 하천연장은 34km이다. 유역면적은 국가하천 445.14km2, 지방2급하천 391.54km2이다.[2]강물은 하동군 옥종면과 진주시 수곡면 사이를 흘러 사천시 곤명면 진양호로 흘러들어간다. 여름이 되면 덕천강은 서부 경남 최대의 자연유원지로 각광받는다. 옥종의 문암교에서 북방의 솔밭까지는 넓은 하상으로 야영과 취사가 쉽고 수심이 얕아서 물놀이에도 적합하다. 사계절 고기를 잡아 회를 먹기도 한다.[3]
2. 3. 하천 환경
덕천강은 하동군 옥종면과 진주시 수곡면 사이를 흘러 사천시 곤명면 진양호로 흘러들어간다. 여름이 되면 서부 경남 최대의 자연유원지로 각광받는 곳으로, 옥종의 문암교에서 북방의 솔밭까지는 넓은 하상으로 야영과 취사가 쉽고 수심이 얕아서 물놀이에도 적합하다. 사계절 내내 고기를 잡아 회를 먹기도 한다.[3]덕천강에는 천연기념물인 꼬치동자개를 비롯해 얼룩새코미꾸리, 쉬리, 꺽지, 미유기(산메기), 자가사리(땡가리), 칼납자루, 수수미꾸리 등 우리 고유 특산종을 포함해 민물 토속어류 30여 종이 서식하고 있다.[4]
3. 생태
덕천강에는 천연기념물인 꼬치동자개를 비롯해 얼룩새코미꾸리, 쉬리, 꺽지, 미유기(산메기), 자가사리(땡가리), 칼납자루, 수수미꾸리 등 우리 고유 특산종을 포함하여 30여 종의 민물 토속어류가 서식하고 있다.[4]
4. 역사 및 문화
덕천강 유역에는 남명 조식과 관련된 덕천서원, 세심정 등의 유적이 있다. 또한 성철스님의 생가와 문익점이 면화를 재배했던 곳도 이 지역에 위치해 있다.[1]
4. 1. 주요 유적지
- 진양호 (최종 목적지)

참조
[1]
간행물
덕천강
http://www.kyongnamb[...]
2011-07-20
[2]
웹사이트
(제목 없음)
https://terms.naver.[...]
2011-07-20
[3]
서적
하동군 관광자료
2011-07-30
[4]
뉴스
덕천강 어도(魚道) ‘있으나마나’…파손된 채 방치
http://www.knnews.co[...]
경남신문
2011-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