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너리오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너리오름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와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 경계에 있는 해발 439m의 복합형 화산체이다. 2개의 분화구를 가지며, 오름에 오르면 서부권의 경관을 조망할 수 있다. 약 6,000년 전에 분출한 것으로 추정되며, 훼손된 식생으로 인해 자연휴식년제가 시행되고 있다. 돝내린오름이라고도 불리며 멧돼지 전설이 전해지고, 4·3 사건 당시 여러 마을이 위치했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시의 지리 - 한라산
    한라산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는 남한 최고봉의 휴화산으로, 백록담 화산호와 다양한 화산 지형, 식생, 동식물상을 보유하여 국립공원 및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었고 문화·역사적 가치도 지닌다.
  • 제주시의 지리 - 거문오름
    거문오름은 숲이 우거져 검게 보이는 한라산의 단성화산체로, 지질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용암 동굴 형성 및 일본군 군사시설 존재로 천연기념물과 과거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된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산 - 산방산
    산방산은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에 있는 해발 345m의 종상 화산으로, 산방굴사와 '산방덕의 눈물' 전설, 그리고 용머리해안, 하멜표류기념탑 등의 관광지와 함께 한라산 바위가 변했다는 전설이 있는 신성한 곳이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산 - 송악산 (제주)
    송악산은 제주도 서남쪽에 위치한 응회암 기생화산으로,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함께 일제강점기 군사기지 및 섯알오름 학살 사건과 같은 역사적 아픔을 간직한 곳이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도너리오름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 위치 및 지형

도너리오름은 분화구가 2개 있는 작은 복합형 화산체이다. 해발 439m로 제주도 오름 중 높은 편에 속한다.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 경계에 있어 오름에 오르면 서부권 경관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도너리오름은 토양 피복도가 낮고, 사람들이 오르내리는 구간의 송이층(화산 분석)이 무너져 내리는 등 훼손이 심각하여 2008년 12월 1일부터 1년간 자연휴식년제를 시행했다.[1]

2. 1. 형성 시기

학계에서는 백록담 분화구가 25만 년 전, 영실지역 한라산 현무암이 10만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연구되었으나, 분석 결과 3800년 전에 분출한 것이 서귀포시 송악산으로 추정되었다. 이뿐만 아니라 비양도는 4500년 전, 성산일출봉은 6000~7000년 전, 도너리오름은 6000년 전, 다랑쉬오름은 9400년 전 등으로 화산 분출 시기가 1만 년 전 이내로 조사되었다.[3]

3. 자연환경

도너리오름은 훼손지의 식물 덮임도가 평균 28% 이하로 낮아 복원 속도가 느리고, 일부 지역은 소나 말 때문에 훼손 면적이 늘어나 자연휴식년제 기간이 계속 연장되었다.[2] 자연휴식년제 기간에는 출입이 전면 통제되고 벌채, 토지 형질 변경, 취사, 야영 등을 할 수 없다. 이를 어기면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라 200만의 과태료가 부과된다.[2]

4. 역사와 전설

도너리오름은 '도'가 넓다는 뜻에서 유래한 이름이며, '돝내린오름'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옛날에 멧돼지(돝)가 내려왔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제주의 오름은 화산 폭발로 생긴 작은 화산체로, 육상 전역에 360여 개가 분포하고 있다. 그중 지질 특성이 우수한 성산일출봉거문오름은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었다.[1][2]

분화구는 '도리암메(둥근 분화구)'라고 불린다. '도리'는 원(圓)을 뜻하는 중세 국어이자 제주도 방언이고, '암메'는 '굼부리(분화구)'를 뜻하는 제주도 방언이다. 움부리는 화산 분출로 생긴 움푹한 구멍으로, 제주도에서는 여성을 비유하여 '암메', '도리암메'라고도 한다. 그 움부리에서 물이 솟기도 해 저지, 금능, 협재, 한림, 상명이 땅 밑 물길로 이어진다고 전해진다. 움부리가 없는 오름은 숫오름인데, 제주의 삼백육십여 오름의 어머니는 한라산이고, 한라산 정상에는 어머니의 암메, 즉 거대한 움부리가 있다. 한라산은 머리가 없는 산이라는 뜻의 두무악(頭無嶽)이라고도 불리며, 여장군(女將軍)으로도 불린다. 이는 한 사냥꾼이 실수로 활 끝으로 하늘님의 배꼽을 건드렸고, 화가 난 하늘님이 산꼭대기를 뽑아 던져 버렸다는 전설에서 유래한다. 뽑힌 것은 산방산이 되고, 뽑힌 자리는 백록담이 되었다.[5]

4. 1. 4·3 사건과 도너리오름

1948년 4·3사건 당시 도너리오름 인근에는 여러 자연마을이 있었다.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에는 도을동(道乙洞) 마을이 있었으나, 지금은 사유지 목장용 임야임을 알리는 철제문만 세워져 있고 현재는 굳게 닫혀 있다.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에는 다섯 개의 자연마을이 있었다. 동광리는 무등이왓(80호), 삼밧구석(45호), 조수궤(10호), 간장리(10호) 등 150여 호가 모여 살던 전형적인 중산간 농촌마을이었으나, 4·3사건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이 마을의 비극은 영화 ‘지슬’의 배경이 되면서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4]

참조

[1] 서적 대한민국구석구석 여행지 한국관광공사
[2] 뉴스 탐방객 늘어나며… 신음하는 제주 오름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7-11-29
[3] 뉴스 화산섬 제주 탄생과정 새롭게 밝힌다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6-05-25
[4] 뉴스 50일간 동굴 은신...생존자들 또 '집단 학살' http://www.jejunews.[...] 제주신보 2018-05-13
[5] 뉴스 한라산-낳을 生 http://www.kyeonggi.[...] 경기일보 2017-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