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레이케미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레이케미칼은 1972년 제일모직 경산공장을 모태로 제일합섬으로 설립된 기업이다. 1997년 사명을 새한으로 변경하고, 1999년 자금 문제로 도레이와 합작하여 도레이새한을 설립했다. 이후 웅진그룹에 인수되어 웅진케미칼로 사명을 변경했으나, 2014년 도레이첨단소재에 인수되어 도레이케미칼로 다시 변경되었다. 2019년 도레이첨단소재에 합병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주요 제품으로는 원면, 원사, 필터, 필름, 아라미드 섬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2년 설립된 화학 기업 - 현대L&C
현대L&C는 1965년 한국화성공업으로 설립되어 PVC 생산을 시작, 한화그룹을 거쳐 2018년 현대백화점그룹에 편입된 건축자재 전문 기업으로, 건자재와 자동차 부품 등을 생산하며 엔지니어드 스톤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 도레이케미칼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회사 정보 | |
| 이름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 원어 | Toray Advanced Materials Korea inc. |
| 형태 | 주식회사 |
| 창립 | 제일합섬: 1972년 7월 새한: 1997년 2월 웅진케미칼: 2008년 1월 도레이케미칼: 2014년 4월 도레이첨단소재: 2019년 4월 |
| 해체 | 제일합섬: 1997년 1월 새한: 2007년 12월 웅진케미칼: 2014년 3월 도레이케미칼: 2019년 4월 |
| 창립자 | 이병철 |
| 시장 정보 | (1977.6.30 상장) |
| 장소 | 서울본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24 (여의도동) 구미본사 - 경상북도 구미시 구미대로 102 (공단동) |
| 인물 | 이영관 (대표이사 회장) 이주인 히데키 (대표이사 부회장) 임희석 (대표이사) |
| 산업 | 화학, 섬유 |
| 서비스 | 합성섬유 제조업 |
| 대표 제품 | 폴리에스테르직물, 면혼방직물, 코듀로이직물, 원면, 정수기용필터, 마이크로필터, 해수담수화용 역삼투분리막, 내오염성 역삼투분리막, PET시트, 칩, 수처리 |
| 종업원 | 1,052명 (2017.3) |
2. 연혁
- 1972년: 제일모직 경산공장을 모태로 미쓰이, 도레이 등 일본 자본과 합작하여 '''제일합섬'''을 설립하였다.[2] 같은 해 4월 경산공장에 폴리에스터 혼방 직물 공장을, 7월에는 원면공장을 준공하였다.
- 1985년 7월: 구미1공장에 폴리에스터 원사공장을 준공하였다.
- 1990년: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스펀덱스 공장을 준공하였다.
- 1994년: 국내 최초이자 미국과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역삼투 분리막 개발에 성공하였다.[2]
- 1995년: 구미2공장에 중합, 폴리에스터 베이스필름, 스펀본드 공장 등을 준공하였다.
- 1997년: 구미2공장에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공장을 준공하였고,[2] 사명을 제일합섬공업에서 새한으로 변경하였다.[2]
- 1999년: 자금 문제로 구조조정을 단행하여 구미2공장을 일본 도레이사와 합작 법인인 도레이새한(현 도레이첨단소재)으로 분사하였다.[2]
- 2000년: 워크아웃이 확정되었다.[4]
- 2001년: 반도체소재 사업을 이녹스로, 2차전지사업은 새한에너테크로 분사하였다.
- 2002년: 학생복 및 유니폼 사업을 에리트베이직(현 형지엘리트)으로 분사하였다.
- 2003년: PET 사업을 새한프라텍으로 분사하였다.
- 2008년: 웅진그룹에 매각되어 워크아웃을 졸업하고,[5] 같은 해 3월에 사명을 '''새한'''에서 '''웅진케미칼'''로 변경하였다.[2]
- 2009년: 5년간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Korea) 기업으로 선정되었다.[6]
- 2012년 9월: 웅진홀딩스와 극동건설의 워크아웃 신청으로 웅진홀딩스는 웅진케미칼을 다시 매각하게 되었다.[7][8]
- 2014년: 일본 도레이사의 국내 100% 자회사인 도레이첨단소재에 인수되었고,[9] 같은 해 4월 사명을 '''웅진케미칼'''에서 '''도레이케미칼'''로 변경하였다.
- 2019년 4월: 도레이첨단소재에 합병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 1. 설립 초기 (1972년 ~ 1997년)
1972년 4월 제일모직 경산공장을 모태로 미쓰이, 도레이 등 일본 자본과 합작하여 '''제일합섬'''을 설립하였다.[2] 같은 해 4월 경산공장에 폴리에스터 혼방 직물 공장을 준공하고, 7월에는 원면공장을 준공하였다. 1985년 7월에는 구미1공장에 폴리에스터 원사공장을 준공하였다. 1990년에는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스펀덱스 공장을 준공하였고, 1994년에는 국내 최초이자 미국과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역삼투 분리막 개발에 성공하였다.[2] 1995년에는 구미2공장에 중합, 폴리에스터 베이스필름, 스펀본드 공장 등을 준공하였다. 1997년에는 구미2공장에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공장을 준공하였다.[2]2. 2. 새한그룹 시절 (1997년 ~ 2008년)
1997년, 사명을 제일합섬공업에서 새한으로 변경하였다.[2] 1990년대 중반부터 구미공장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였다.[3] 1999년, 자금 문제로 구조조정을 단행하여 구미2공장을 일본 도레이사와 합작 법인인 도레이새한(현 도레이첨단소재)으로 분사하였다.[2] 2000년, 워크아웃이 확정되었다.[4] 2001년, 반도체소재 사업을 이녹스로, 2차전지사업은 새한에너테크로 분사하였다. 2002년, 학생복 및 유니폼 사업을 에리트베이직(현 형지엘리트)으로 분사하였다. 2003년, PET 사업을 새한프라텍으로 분사하였다.2. 3. 웅진그룹 시절 (2008년 ~ 2014년)
2008년 1월, 웅진그룹에 매각되어 워크아웃을 졸업하고,[5] 같은 해 3월에 사명을 '''새한'''에서 '''웅진케미칼'''로 변경하였다.[2] 2009년부터 5년간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Korea) 기업으로 선정되었다.[6]웅진그룹의 지주회사였던 웅진홀딩스는 자회사 극동건설의 지급보증을 하였으나, 2012년 9월 건설경기 침체로 웅진홀딩스와 극동건설이 동시에 워크아웃을 신청하면서 웅진홀딩스는 웅진케미칼을 다시 매각하게 되었다.[7][8]
2. 4. 도레이케미칼 시절과 합병 (2014년 ~ 2019년)
2014년 2월, 일본 도레이사의 국내 100% 자회사인 도레이첨단소재에 인수되었고,[9] 2014년 4월 사명을 '''웅진케미칼'''에서 '''도레이케미칼'''로 변경하였다. 2019년 4월 도레이첨단소재에 합병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3. 주요 제품 및 브랜드
도레이케미칼은 다양한 종류의 제품과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 '''원면''' 부문에서는 복합 방사, 폴리머 개질 등의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진 섬유 소재를 생산한다. 주요 브랜드로는 친환경 접착 소재인 '''EZBON-L''', 산업용 보강 섬유 '''MINI-ESLON''', 내연성 소재 '''ESFRON''', 벌키성이 우수한 '''AIRCLO''' 등이 있다.
- '''원사''' 부문에서는 1982년부터 구미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하여 연 7만 톤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신축성과 반발탄성이 뛰어난 '''SPY''', 난연성을 가진 '''ESFRON''', 광택 효과와 부드러운 촉감을 가진 '''RAYFIL''', 원사 간 접착력이 높은 '''EZBON'''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18]
- '''필터''' 부문에서는 1994년 역삼투 제품 상업 생산에 성공한 이후, 역삼투분리막(RO), 나노분리막(NF), 한외여과막(UF), 정밀필터(MF) 등을 생산하며 필터 수직 계열화를 이루었다.[19] '''CSM''' 브랜드를 사용하며, 다양한 용도의 분리막을 생산하고 있다.
- '''필름''' 부문에서는 폴리머와 압출 기술을 기반으로 환경친화적인 시트, 플레이트, 필름을 생산하고 있다. LCD BLU용 확산판, 압출인각방식의 프리즘시트 등을 개발하였다.[21] 고투명 포장용 시트, 고광택·고경도 데코시트 '''MIOLZE''', PET 플레이트, PC 플레이트 '''GLACEL''', LCD TV용 확산판 '''LUMICEL''', 프리즘시트 '''LUMISM'''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21]
- '''아라미드 섬유''' 부문에서는 '''ARAWIN(아라윈)'''이라는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를 생산한다. ARAWIN은 건식방사공법으로 생산되며, 내열성, 인장 강도,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다.[22] 내열 집진기 필터 백, 산업용 필터, 보호복, 소방복, 자동차용 내열 보호재, 음향 기기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22]
3. 1. 원면
복합 방사, 폴리머 개질, 극태 및 극세화, 이형 단면화 기술을 바탕으로 고기능성 섬유 소재와 고감성 섬유 소재를 생산하고 있다. 친환경 접착 소재인 '''EZBON-L''', 위생 자재용 소재인 '''EZBON-A''', 산업용 보강 섬유 '''MINI-ESLON''', 내연성 소재로 화재에 강한 '''ESFRON''', 우수한 벌키성을 발현하는 '''AIRCLO''' 등이 있다. 신규 소재로 고탄성 친환경 홈 인테리어 소재인 '''E-PLEX''', 생분해성 소재인 '''ECOWAY-B''', 고기능성 흡음 소재인 '''SAF''' 등 차별화된 제품을 만들고 있다.[17]3. 2. 원사
1982년 구미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하여 POY, DSD, NPY 등의 다양한 방사 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연 7만 톤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천연섬유보다 뛰어난 기능과 감성이 부여된 차별화 섬유소재를 생산하고 있다.친환경 제품에서 복합방사, 폴리머 개질, 극태·극세, 이형단면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한 차별화 섬유소재까지 전체의 약 70%가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축성과 반발탄성이 뛰어난 '''SPY''', 난연성이 부여되어 화재에 강한 '''ESFRON''', 은은한 광택 효과와 부드러운 촉감을 가진 '''RAYFIL''', 원사 간 접착력이 높은 '''EZBON''' 브랜드가 있다.[18]
3. 3. 필터
5년여의 자체 연구개발 끝에 1994년 해수담수화, 초순수 제조, 폐수 재활용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역삼투 제품의 상업 생산에 성공하였으며, 1998년에는 마이크로 필터 제조라인을 보유함으로써 역삼투분리막(RO), 나노분리막(NF), 한외여과막(UF), 정밀필터(MF)까지 생산하며, 필터 수직 계열화를 이루었다.[19] 브랜드로는 '''CSM'''을 이용하고 있으며, 내오염성 역삼투분리막(RO)은 폐수 재이용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 외에 저압용, 초순수용 및 해수담수화용 분리막을 생산하고 있다.[19] 2014년 부산 기장에 장착된 해수담수화용 멤브레인은 국토부 과제로써 도레이케미칼이 개발 생산한 제품으로 알려져 있다.[20]3. 4. 필름
도레이케미칼은 폴리머와 압출 기술을 기반으로 환경친화적인 시트, 플레이트, 필름을 생산하고 있으며,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포장재, 산업자재, 장식재, IT소재 분야로 사업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LCD BLU용 확산판 상용화에 성공했으며, 압출인각방식의 프리즘시트를 개발하여 상용화하였다.[21]무연신 타입의 시트를 생산하며, 가공성이 우수한 고투명 포장용 시트, 친환경 PET 소재의 고광택·고경도 데코시트 '''MIOLZE''', 투명성과 열성형성이 뛰어난 PET 플레이트, 충격 강도와 내열성이 우수한 PC 플레이트 '''GLACEL''' 등을 생산한다. 또한, LCD TV용 확산판 '''LUMICEL''', 국내 최초로 압출 인각방식으로 개발된 프리즘시트 '''LUMISM''' 등의 브랜드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21]
3. 5. 아라미드 섬유
'''ARAWIN(아라윈)'''은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뛰어나 내열성, 인장 강도,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이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건식방사공법'으로 생산되는 ARAWIN은 제품 단위별 품질이 균일하고 전기 절연성이 뛰어나다.[22] 아라미드 섬유는 고유의 내열성으로 내열 집진기 필터 백, 산업용 필터, 보호복, 소방복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며, 형태 안정성이 우수하여 자동차용 내열 보호재, 음향 기기 소재로도 사용된다.[22]4. 구조 조정 및 삼성그룹과의 관계
삼성그룹에서 1995년 분리될 당시 삼성그룹 창업주였던 고 이병철 회장의 2남 고 이창희 회장 몫으로 분류되었으며, 새한미디어와 함께 1997년 새한그룹을 만들어 독립하였다.[1]
4. 1. 구조 조정
2000년 ㈜새한이 워크아웃에 들어가기 전 PET 필름 공장인 구미2공장을 도레이와 합작법인인 도레이새한(TSI) (현재 도레이첨단소재)으로 매각하였으며, 워크아웃 기간 중 경산공장 부지를 매각하였다.[10] 2001년 반도체소재 사업을 이녹스로,[14] 2차전지사업은 새한에너테크로 분사하였다.[13] 2002년 학생복 및 유니폼 사업을 에리트베이직(주)(현재 형지엘리트)으로,[11] 2003년 PET 사업을 새한프라텍으로 분사하였다.[12]웅진케미칼 시절인 2008년 웅진코웨이(현 코웨이)에 수처리사업부문 양도하고, 필터생산부문을 양수하였으며,[15] 2012년 직물사업을 웅진텍스타일 (현 TCK텍스타일)로 분사하였다.[16]
4. 2. 삼성그룹과의 관계
삼성그룹에서 1995년 분리될 당시 삼성그룹 창업주였던 고 이병철 회장의 2남 고 이창희 회장 몫으로 분류되었으며, 새한미디어와 함께 1997년 새한그룹을 만들어 독립하였다.[1]참조
[1]
문서
상법 상 본점
[2]
웹인용
도레이케미칼 홈페이지, 연혁
https://web.archive.[...]
2015-01-07
[3]
뉴스
"[이슈따라잡기] 새한, 워크아웃 신청까지"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0-05-19
[4]
뉴스
"(주)새한 워크아웃 확정..채권단, 8월19일까지 채권행사 유예"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00-06-24
[5]
뉴스
"(주)새한, 7년여만에 워크아웃 종료"
https://news.naver.c[...]
EBN
2008-01-28
[6]
뉴스
웅진케미칼, 5년 연속 DJSI Korea 기업선정
http://www.apparelne[...]
어패럴뉴스
2013-11-01
[7]
뉴스
"[재계를 바꾼 M&A] '잘못된 만남'.. 웅진과 LIG"
http://www.bizwatch.[...]
Business Watch
2014-12-17
[8]
뉴스
웅진홀딩스 극동건설 동시 법정관리 신청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2-09-26
[9]
웹인용
웅진홀딩스, 웅진케미칼지분 전량 도레이첨단소재에 매각, 뉴시스, 2014.02.28
https://web.archive.[...]
2015-01-07
[10]
뉴스
새한, 경산공장 부지 2560억에 판다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05-05-19
[11]
뉴스
"[피플] “황금어장, 중국 富村 공략 나선다”"
https://news.naver.c[...]
이코노믹 리뷰
2004-11-18
[12]
웹인용
새한프라텍 홈페이지, 연혁
https://web.archive.[...]
2015-01-07
[13]
뉴스
새한, 전지사업부 분사 '새한에너테크' 출범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1-04-02
[14]
뉴스
"[2006 대한민국 선도기업] '똑똑한 기술'로 세계시장 누빈다"
https://news.naver.c[...]
서울경제
2006-01-30
[15]
뉴스
웅진코웨이-케미칼 필터·수처리부문 양수도 계약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08-05-28
[16]
뉴스
웅진케미칼, 직물사업부 분사 웅진텍스타일 설립
http://news.heraldco[...]
헤럴드경제
2012-12-04
[17]
웹인용
도레이케미칼 홈페이지, 원면 제품 소개
https://web.archive.[...]
2015-01-07
[18]
웹인용
도레이케미칼 홈페이지, 원사 제품 소개
https://web.archive.[...]
2015-01-07
[19]
웹인용
도레이케미칼 홈페이지, 필터 제품 소개
https://web.archive.[...]
2015-01-07
[20]
뉴스
""독도에서도 우리 필터로 바닷물 걸러 마시죠""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10-03-22
[21]
웹인용
도레이케미칼 홈페이지, 필름 제품 소개
https://web.archive.[...]
2015-01-07
[22]
웹인용
도레이케미칼 홈페이지, 아라미드 제품 소개
https://web.archive.[...]
2015-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