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봉구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봉구 (선거구)는 1973년 도봉구 신설과 함께 제1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제10대부터 제12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옛 선거구이다. 1988년 도봉구에서 노원구가 분리되고, 소선거구제가 시행되면서 도봉구 갑, 도봉구 을, 노원구 갑, 노원구 을로 분구되어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고흥문, 홍성우, 조순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강서구 (서울 선거구)
강서구 (서울 선거구)는 1977년 신설되어 제10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제12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강서구 전역을 관할했으며, 1988년 양천구 분리와 소선거구제 실시로 인해 폐지되었다. - 197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울산시·울주군 (1978년 선거구)
울산시·울주군 선거구는 1973년 동래군 폐지로 울산시·울주군·동래군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1978년부터 1985년까지 존속하다가 울산시 분구 및 울주군 분리로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서울 도봉구의 정치 - 도봉구 갑
도봉구 갑은 서울 도봉구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쌍문1동, 쌍문3동, 창1동, 창2동, 창3동, 창4동, 창5동을 포함하며, 중도좌파 성향이 강했으나 2024년 총선에서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되었고, 도봉산, 수락산 자락에 위치한 녹지 공간과 다양한 주거 형태가 공존한다. - 서울 도봉구의 정치 - 도봉구 을
도봉구 을은 1995년 신설된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중도좌파 및 자유주의 정당 강세 지역이며 2024년 제22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오기형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선거구 - 노원구 병
노원구 병은 2004년 신설되어 2024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노원구 을에서 분리된 상계동 일부로 구성되었으며, 임채정, 홍정욱, 노회찬, 안철수, 김성환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도봉구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도봉구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서울특별시 |
연도 | 1978년 |
폐지 | 1988년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성북구 |
이후 선거구 | 도봉구 갑 도봉구 을 노원구 갑 노원구 을 |
의원 수 | 2인 |
2. 역사
1973년 7월, 성북구의 일부 지역이 도봉구로 분리되면서 제1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도봉구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1988년 1월, 도봉구의 일부 지역이 노원구로 분리되었다.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소선거구제가 시행되면서 도봉구 갑, 도봉구 을, 노원구 갑, 노원구 을로 각각 분리되어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고흥문 신민당 113,566 40.86% 홍성우 무소속 71,066 25.57% 신오철 민주공화당 59,021 21.23% 박경희 무소속 14,811 5.32% 조희철 민주통일당 11,858 4.26% 임창진 무소속 4,541 1.63% 문창기 무소속 3,057 1.09% 합계 277,920 100% 무효표 2,963 유권자 410,722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홍성우 민주정의당 115,038 35.82% 김태수 민주한국당 78,446 24.42% 신오철 무소속 62,941 19.60% 경인호 한국국민당 25,896 8.06% 이재욱 민권당 7,458 2.32% 이호정 무소속 5,513 1.71% 구판홍 민주사회당 5,074 1.58% 박영식 신정당 4,877 1.51% 이원형 무소속 4,085 1.27% 이준오 사회당 3,744 1.16% 정경화 원일민립당 3,163 0.98% 최남현 안민당 2,661 0.82% 이수춘 무소속 2,223 0.69% 합계 321,119 100% 유권자 437,865명 무효표 4,500표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조순형 신한민주당 174,124 42.35 홍성우 민주정의당 99,245 24.14 신오철 무소속 58,527 14.23 김태수 민주한국당 53,344 12.97 경인호 한국국민당 17,126 4.16 구판홍 신민주당 7,038 1.71 이수춘 무소속 1,675 0.40 김대열 신정사회당 0 0 합계 411,079 100 무효표 11,214 유권자수 512,069
4. 1.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1978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고흥문 | 신민당 | 113,566 | 40.86% | |
홍성우 | 무소속 | 71,066 | 25.57% | |
신오철 | 민주공화당 | 59,021 | 21.23% | |
박경희 | 무소속 | 14,811 | 5.32% | |
조희철 | 민주통일당 | 11,858 | 4.26% | |
임창진 | 무소속 | 4,541 | 1.63% | |
문창기 | 무소속 | 3,057 | 1.09% | |
합계 | 277,920 | 100% | ||
무효표 | 2,963 | |||
유권자 | 410,722 |
4. 2.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1981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홍성우 | 민주정의당 | 115,038 | 35.82% |
김태수 | 민주한국당 | 78,446 | 24.42% |
신오철 | 무소속 | 62,941 | 19.60% |
경인호 | 한국국민당 | 25,896 | 8.06% |
이재욱 | 민권당 | 7,458 | 2.32% |
이호정 | 무소속 | 5,513 | 1.71% |
구판홍 | 민주사회당 | 5,074 | 1.58% |
박영식 | 신정당 | 4,877 | 1.51% |
이원형 | 무소속 | 4,085 | 1.27% |
이준오 | 사회당 | 3,744 | 1.16% |
정경화 | 원일민립당 | 3,163 | 0.98% |
최남현 | 안민당 | 2,661 | 0.82% |
이수춘 | 무소속 | 2,223 | 0.69% |
합계 | 321,119 | 100% | |
유권자 | 437,865명 | ||
무효표 | 4,500표 |
4. 3.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1985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조순형 | 신한민주당 | 174,124 | 42.35 |
홍성우 | 민주정의당 | 99,245 | 24.14 |
신오철 | 무소속 | 58,527 | 14.23 |
김태수 | 민주한국당 | 53,344 | 12.97 |
경인호 | 한국국민당 | 17,126 | 4.16 |
구판홍 | 신민주당 | 7,038 | 1.71 |
이수춘 | 무소속 | 1,675 | 0.40 |
김대열 | 신정사회당 | 0 | 0 |
합계 | 411,079 | 100 | |
무효표 | 11,214 | ||
유권자수 | 512,069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