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봉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봉섭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에 활동한 식물학자이자 약학자로, 1904년 함경남도 함흥에서 태어났다. 경성약학전문학교 학장, 조선생물학회 및 조선약학회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1932년 서울 식물상을 정리한 최초의 문헌을 발표하고, 독도 학술 조사에 참여하는 등 식물학 연구와 과학 대중화에 기여했다.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평양의과대학 교수 등을 지냈으나, 이후 행적과 사망 연도는 알려지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식물학자 - 우장춘
우장춘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기를 거치며 한국 농업 발전에 기여한 농학자로, '종의 합성' 이론을 제창하고 한국농업과학연구소를 설립하여 종자 개발과 품종 개량에 전념했으며, "한국 근대 농업의 아버지"로 불린다. - 대한민국의 식물학자 - 김순권
김순권은 옥수수 품종 개발로 한국과 아프리카 식량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 농학자로, 특히 나이지리아에서 새삼 저항성 옥수수 품종 개발로 "Mayegun"이라는 칭호를 얻었으며, 한국 옥수수 품종 개발, 경북대학교 교수, 국제옥수수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하며 후학 양성 및 북한 식량 문제 해결에도 힘썼다.
| 도봉섭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도봉섭 |
| 한자 표기 | 都逢渉 |
| 로마자 표기 | Do Bong-seop |
| 생애 | |
| 출생일 | 1904년 4월 8일 |
| 사망일 | 알 수 없음 |
| 성별 | 남성 |
| 가족 관계 | |
| 부모 | 알 수 없음 |
| 배우자 | 알 수 없음 |
| 자녀 | 알 수 없음 |
| 기타 정보 | |
| 소속 | 알 수 없음 |
| 주요 활동 | 과학자 |
| 납북 | 6.25 전쟁 중 납북 |
| 출신 | 성주 도씨 |
2. 약력
도봉섭은 1904년 함경남도 함흥에서 태어났다. 함흥고등보통학교를 거쳐 경성제1고보(현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했다.[7] 1926년 일본 야마구치고등학교 이과를 졸업하고, 1930년 도쿄제국대학 의학부 약학과를 졸업하였다.[3] 1930년 4월부터 해방 전까지 경성약학전문학교(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에서 상사, 교수, 학장을 역임했다.[7]
1932년 이시도야와 공저로 〈경성 부근 식물 소지〉를 조선박물학회지에 발표했는데, 서울의 식물을 전체적으로 정리한 첫 문헌으로 추정된다.
해방 후에는 조선생물학회(현 한국생물과학협회) 초대 회장(1945년 11월 ~ 1946년 10월)과[4] 조선약학회(현 대한약학회) 초대 회장(1946년 ~ 1949년)을 지냈다.[8][4] 1947년 한국산악회의 독도 학술 조사에 참가하였다. 한국 전쟁 중이던 1950년 9월 26일 오전에 대학교로 출근한 후 행방불명되었으며, 북한 측 관계자 2명에게 납치된 것으로 보인다.[5] 이후 평양의과대학 교수,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역임하였다.[9][5] 그 후의 소식과 사망년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
3. 업적
일제강점기에 조복성, 석주명, 정태현 등과 함께 조선박물연구회를 조직해 서적 발행, 강연, 전람회 개최, 탐사여행 등을 활발히 펼치며, 조선의 사회와 백성들에게 과학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려고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은 민족의 자긍심을 높이고, 과학적 지식을 통해 일제에 저항하는 힘을 기르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1947년 서울대 약대 학장으로 있을 때 한국산악회 독도 학술 조사에 참가했다. 이는 대한민국 영토인 독도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통해 독도의 중요성을 알리고,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대한 반박 근거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1. 학술 연구
도봉섭은 1932년 이시도야와 공동으로 〈경성 부근 식물 소지〉를 《조선박물학회지》에 발표했는데, 이는 서울 지역 식물상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최초의 문헌으로 평가받는다. 1935년에는 함경남도 고산식물 및 약용식물에 대한 연구를 《조선약학회자비》에 발표하였다. 1937년에는 심학진과 함께 조선 화강암지대 및 석회암지대 약용식물을 비교 연구(제1보)하였고, 1948년에는 국산 미치광이의 생약학적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하였다. 그 외에도 다수의 식물학, 약학 관련 논문을 발표하였다.
3. 2. 과학 대중화
3. 3. 독도 연구
도봉섭은 1947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학장 재직 중 한국산악회의 독도 학술 조사에 참가하여 독도의 식물상을 연구했다.
4. 저서
4. 1. 단독 저서 및 논문
- '경성 부근 식물 소지'(1932년, 이시도야와 공저, 《조선박물학회지》)
- 함경남도에 있어서의 고산식물과 약용식물(1935년, 《조선약학회자비》)
- 조선식물목록 제1권 중부조선편(1936년, 경성약전식물동호회)
- 유독식물도설(1937년, 조선식물연구회)
- 울릉도 소산 약용식물
- 유독식물지 함남위생회(1943)
- 한국식물도감(1957, 신지사).
4. 2. 공저
5. 가족 관계
부인은 정찬영이며, 자녀는 1남 3녀이다. 장남은 도상학이고, 차녀는 도정애이다.
참조
[1]
웹사이트
5255.도봉섭 -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http://www.kwafu.org[...]
2023-08-16
[2]
웹사이트
星州都氏 大同譜
http://sungjudossi.c[...]
星州都氏大宗会
2023-08-16
[3]
웹사이트
今年春(금년춘)에卒業(졸업)한 東京朝鮮留學生(동경조선유학생)
https://newslibrary.[...]
2023-08-16
[4]
웹사이트
대한약학회
http://www.psk1946.o[...]
2023-08-16
[5]
서적
現代朝鮮人名辞典 1962年版
世界ジャーナル社
1962-08-01
[6]
웹인용
5255.도봉섭 -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http://www.kwafu.org[...]
2023-08-16
[7]
웹인용
今年春(금년춘)에卒業(졸업)한 東京朝鮮留學生(동경조선유학생)
https://newslibrary.[...]
2023-08-16
[8]
웹인용
대한약학회
http://www.psk1946.o[...]
2023-08-16
[9]
서적
現代朝鮮人名辞典 1962年版
世界ジャーナル社
1962-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