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순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순권은 대한민국의 농학자로, 1945년 울산에서 태어나 옥수수 육종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겼다. 경북대학교 농학과를 졸업하고 농촌진흥청에서 연구를 시작했으며, 미국 하와이 대학교에서 농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농촌진흥청 연구관으로 재직하며 옥수수 품종 개발에 기여했고, 나이지리아 국제열대농업연구소에서 옥수수 육종연구관으로 활동하며 아프리카 농업 발전에 기여했다. 귀국 후에는 경북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국제옥수수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그는 옥수수 품종 개발을 통해 한국과 아프리카 농업 발전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다양한 상을 수상했으며, 여러 저서를 출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천 김씨 - 김성태 (1910년)
김성태(1910년)는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작곡가, 지휘자, 교육자로서, 한국인 최초로 일본에서 작곡을 공부하고, 한국 서양음악 발전에 기여했으며, 서울대학교 음대 학장과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을 지냈으나 친일 행적으로 인해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 농화학 - 유달영
- 농화학 - 최양도
최양도는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식물 병해충 및 환경 스트레스 반응 연구를 통해 jasmonic acid carboxyl methyl trans ferase 효소와 유전자를 발견하고, 유전자 이식을 통한 작물 개발 및 초다수확성 벼 개발 등의 연구 활동을 해왔다. - 한동대학교 교수 - 김준형 (정치학자)
김준형은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조지워싱턴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정치인으로, 한동대학교 교수,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위원, 국립외교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조국혁신당 국회의원, 당대표 권한대행 및 외교안보특별위원회 위원장이다. - 한동대학교 교수 - 이영덕 (1926년)
이영덕은 1926년에 태어난 대한민국 인물이며, 주요 주제 1과 2를 다루고 각 주제는 하위 주제로 세분화되어 있다.
김순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글 이름 | 김순권 |
한자 이름 | 金順權 |
로마자 표기 | Gim Sun-gwon |
출생일 | 1945년 5월 1일 |
출생지 | 경상남도 울산군 강동면 |
별칭 | 호(號)는 금성(錦城)· 어부(漁父)· 농부(農父, 農夫)· 학성(鶴城) |
별명 | 옥수수 박사, Doctor Corn |
나이지리아 별명 | Mayegun, Jyagunmolu |
직업 | |
주요 직업 | 생물학자 |
분야 | 농학 |
학력 | |
최종 학력 | 미국 하와이 주립대학교 대학원 농학 박사 |
경력 | |
대학교 | 경북대학교 명예교수 |
대학교 | 한동대학교 석좌교수 |
재단 | 국제옥수수재단 이사장 |
정부 | 대통령 비서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대북관련사업자문위원 |
임기 | 2001년 1월 6일 ~ 2001년 12월 16일 |
대통령 | 김대중 |
총리 | 이한동 |
대통령비서실 실장 | 한광옥, 이상주 |
종교 및 정치 | |
종교 | 개신교 |
정당 | 무소속 |
2. 생애
김순권은 한국에서는 "옥수수 박사"로, 아프리카에서는 "녹색 혁명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1979년부터 나이지리아 국제열대농업연구소(IITA)에서 옥수수 육종 연구를 통해 아프리카 농업에 기여했으며, 1990년에는 미국 농학회 및 작물학회 명예의원으로 추대되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1945년 경상남도 울산군 강동면(現 울산광역시 북구)에서 7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어부였으며, 한때 경상남도 울산군 학성면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냈고, 1948년 이후 경상남도 울산에서 주로 성장하였다.1964년 경상남도 울산농업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경상북도 대구 경북대학교 농학과에 입학했다. 어려운 가정 형편 때문에 대학교 진학이 쉽지 않았지만, 장학금을 받아 경북대학교 농생물학과에 입학할 수 있었다. 세계 기아와 싸우고 농업 과학자가 되기를 꿈꾸며, 대학교 학비를 마련하기 위해 교사로 일하기도 했다.
1969년 경북대학교 농학과를 졸업한 후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농업연구사보가 되었다.
1971년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1973년 미국 하와이 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옥수수 내병성육종에 관한 연구로 농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당시 그는 한국 옥수수보다 30배나 우수한 미국 옥수수에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 병이 날 정도로 열심히 연구에 매진했다. 그의 연구는 미국의 여러 회사로부터 주목을 받았고, 20배 더 많은 연봉을 제안받기도 했지만, 이를 거절하고 하와이 학위를 가지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1974년 귀국하여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농업연구관으로 재직하면서 많은 옥수수 품종을 연구했다. 그의 연구로 당시 농민들은 좋은 품종의 옥수수를 재배하여 오토바이를 살 만큼 소득이 향상되었다. 그는 강원도에서 재배한 수원 18호, 19호, 20호를 개발했는데, 이는 미국이 55년이 걸려 이룬 업적을 단 5년 만에 한국에 유리한 옥수수 교잡종을 개발하여 한국 농업을 변화시킨 성과였다.
2. 2. 한국에서의 옥수수 연구 (1974-1979)
1974년 귀국하여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농업연구관으로 재직하면서 많은 옥수수 품종을 연구하였다. 당시 대한민국 옥수수보다 30배나 우수한 미국 옥수수에 깊은 인상을 받았던 김순권은, 미국이 55년이 걸려 이룬 일을 불과 5년 만에 이루어 내며 한국에 유리한 옥수수 교잡종을 개발했다. 이 성공적인 교잡종은 더 이상 생산할 수 없었던 한국의 농업을 변화시켰다. 그의 연구로 당시 농민들은 좋은 종의 옥수수를 재배하여 오토바이를 살 만큼 벌이가 좋아졌다.2. 3. 아프리카에서의 활동 (1979-1995)
1979년 나이지리아에 있는 국제열대농업연구소(IITA)에서 옥수수 육종연구관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병충해에 강한 옥수수 품종을 개발하여 나이지리아 농민들의 소득 증대와 건강 개선에 기여했다.국제열대농업연구소(IITA)는 1967년에 설립되었으며, UN의 지원을 받았다. 김순권은 사람들을 돕겠다는 신념으로 아프리카에서 옥수수 품종 개발을 시작했다. 중서부 아프리카에서는 옥수수 품종 생산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김순권은 질병에 강한 품종을 개발하고자 노력했다. 그 결과, 서부 및 중부 아프리카 농장을 위한 옥수수 품종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중서부 아프리카의 기적"으로 불리게 되었다. 연간 100만 톤의 옥수수를 수입하던 나이지리아는 김순권의 노력으로 옥수수 생산 자급자족을 이루게 되었다.
아프리카에 머무는 동안 김순권은 말라리아에 5번이나 걸렸지만 회복했다. 그는 중서부 아프리카를 오가며 약 100만 킬로미터를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김순권은 '악마의 풀'로 알려진 새삼에 저항할 수 있는 품종을 개발했다. 이 풀은 70억 달러의 손실을 초래했으며, 서방 연구자들은 100년 동안 이 풀을 해결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김순권은 새삼과 공존할 수 있는 옥수수 품종을 개발하여 생산 손실을 73%에서 5%로 감소시켰다. 이 방법은 옥수수뿐만 아니라 벼, 수수 및 기타 작물에도 적용 가능하며, 연간 12억달러의 이익을 가져온 것으로 추정된다. 이 방법은 현재 지중해 지역 스페인, 동유럽, 러시아에서 오로반체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김순권은 나이지리아에서 "가난한 사람들을 먹이는 자"라는 의미의 "Mayegun"으로 불렸다. 1986년 벨기에 국왕으로부터 국제 농업 연구상을 받았으며, 다른 국가에서도 여러 상을 받았다.
2. 4. 귀국 후 활동 (1995-현재)
1995년 경북대학교 농학과 교수 및 경북대학교 국제농업연구소 소장으로 임명되었다. 1998년에는 국제옥수수재단 이사장과 북한옥수수심기범국민운동 상임공동대표를 맡았고, 1999년 대한적십자사 대북사업 자문위원이 되었다. 2000년에는 남북이산가족교류협의회 자문위원을 역임했다.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아 문제가 심각해지자, 김순권은 국제열대농업연구소(IITA)를 떠나 연봉이 4배나 적은 경북대학교로 돌아오는 결정을 내렸다. 그는 이러한 노력이 한반도 통일을 가속화할 수 있다고 믿었다. 1998년 3월, 국제옥수수재단을 설립하고 이사장이 되어, 수많은 후원자들의 도움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제3세계 국가를 돕기 위한 옥수수 연구를 계속했다.
3. 수상 내역
연도 | 수상 내역 |
---|---|
1975년 | KBS 해방둥이 생활수기 공모 특별상 |
1977년 | 녹조근정 훈장 (대통령)- 수원 19호 개발, 농업연구 장려상 |
1978년 | 우수공무원상 (농촌진흥청장상), 농업 연구상 (농수산부 장관) - 수원 19호 개발 및 종자생산 |
1979년 | 강원도지사 제2녹색혁명 성취 감사패 |
1982년 | 대통령 해외봉사상 |
1986년 | 국제농업 연구대상 (벨기에 국왕), 국제기술 개발상 (이탈리아) |
1988년 | 미국 동서문화센터(EWC) 우수동창상 |
1992년 | 나이지리아 명예추장(마에군: 가난한 자를 배불리 먹인 자) |
1993년 | KBS 제1회 해외동포상(산업기술분야) |
1994년 | 경북대학교 자랑스런 동창상 |
1995년 | 나이지리아 제2의 명예추장 (자군몰루: 위대한 승리자), 나이지리아 옥수수협회 우수연구상, 스위스/나이지리아 종자회(UT Seeds) 연구상, 아프리카 국가연합(OAU) 연구상 |
1996년 | 제6회 일가상 농업부문, 국회 과학기술연구회 제1회 과학기술인 상 |
1997년 | 미국 하와이 주립대학교 대학원 우수동문상, 사단법인 광록회 광록인상 (광주), 대구시민대상 |
1998년 | 만해사상실천선양회 만해평화상, 미국 하와이주 의회 수여 하와이대학교 우수동문상, 홍콩 아시아 혁신상 은상 |
2000년 | 동경 창조상(동경 패션 협회), 올해를 빛낸 한국인 |
1992년, 1993년, 1997년 | 노벨 평화상 추천(나이지리아 포함 아프리카, 아시아국 등 대한민국 국회 및 국제기구) |
1995년, 1996년 | 노벨 생리학·의학상 추천(하와이 대학교, un-fao, 대한민국 국회 등) |
2001년 | 일본 NHK 아시아의 인물 |
2003년 | 영국 21세기 2000명의 과학자, 영국 IBC 국제명예훈장, 미국 국제작물육종가상 |
2011년 | SDPS학회 평생공로상 |
4. 저서
- 《검은 대륙의 옥수수 추장》, 1998년
- 《하루하루가 기적이다》, 2014년
5. 전기
김순권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농학자 중 한 명으로, 특히 옥수수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그의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은 가난과 역경 속에서도 학문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았던 전형적인 한국인의 모습을 보여준다.
김순권은 1945년 경상북도 영양군에서 태어났다. 어려운 가정 형편 속에서도 학업에 대한 의지를 굽히지 않고, 경북대학교 농과대학을 졸업했다. 이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농학 석사 학위를, 하와이 대학교에서 농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학문적 여정은 단순한 개인의 성공을 넘어, 한국 농업 발전과 국제 협력에 기여하는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특히,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식량 문제 해결을 위한 그의 노력은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