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석주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석주명은 일제강점기 및 한국 전쟁 시기에 활동한 곤충학자이자 언어학자이며, 제주도 연구에도 기여했다. 1908년 평양에서 태어나 송도고등보통학교,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를 졸업했다. 그는 한반도 나비 연구에 평생을 바쳐, 일본인 학자들이 과장했던 한국 나비 종수를 바로잡고, 80편이 넘는 나비 관련 논문을 발표했다. 또한 제주도 방언 연구 및 에스페란토어 교과서를 저술하는 등 언어학 분야에서도 활동했다. 1950년 한국 전쟁 중 군인에게 피살되어 생을 마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언학자 - 윌리엄 라보프
    윌리엄 라보프는 미국의 저명한 언어학자이자 사회방언학의 선구자로서, 뉴욕시 영어 연구를 통해 사회언어학에 혁신적인 방법론을 도입하고 아프리카계 미국인 영어와 미국 영어의 음운 변화, 구술 서사 분석 등의 연구로 사회언어학과 서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북미 영어 아틀라스` 공동 저술 및 벤자민 프랭클린 메달 수상 등 학문적 업적을 남겼으나 방법론과 이론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석주명 - [인물]에 관한 문서
학자 정보
이름석주명
한자 이름石宙明
장르박물학 저술
출생일1908년 10월 17일
출생지평안남도 평양
사망일1950년 10월 6일
사망지서울 중구 예장동에서 국군의 총격으로 사망
활동 기간1929년 ~ 1950년
국적대한민국
필명호: 호접선(蝴蝶仙)
학력평안남도 평양 숭실고등보통학교 수료
경기도 개성 송도고등보통학교 수료
경상북도 대구고등농림학교 졸업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 전문학사
직업생물학자
곤충학자
동물학자
언어학자
박물학자
중등교사
대학교수
저술가
소속서울과학관 동물학부 부장
언어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자녀석윤희(딸)
부모석승서(부), 김의식(모)
친척석주선(여동생)

2. 학력

석주명은 1926년 송도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29년에는 일본 가고시마 고등농업학교 농학과를 졸업했다.

3. 생애 및 주요 경력

1943년 경성제국대학 부설 생약연구소 제주도 시험장 소장으로 부임하였다. 1945년 수원시 농업시험장 병리곤충부장을 거쳐, 1946년 과학박물관 동물학부장을 역임하였다. 1949년 3월부터 동년 6월까지 민주국민당 문화예술행정특임위원을 역임했다.

1908년 평양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평양 시내에 종업원이 100여 명에 달하는 요리집을 운영할 정도로 부유한 사업가였는데, 사업으로 번 돈으로 독립 운동을 지원할 만큼 민족의식이 뚜렷했다. 어머니는 당시에는 귀한 신식 물자인 타자기를 구해줄 정도로 자식 교육에 많은 열정을 보였다. 이러한 가정 환경은 석주명이 민족 문제와 학문 연구에 관심을 갖게 했다.

어릴 때부터 토끼, 비둘기와 같은 동물을 좋아해 집에서 길렀으며, 1921년 장로교 선교사 베어드가 세운 숭실고등보통학교에 진학했다. 하지만 동맹휴학에 가담하여 개성의 송도고등보통학교로 학교를 옮겼으며, 다시 경상북도 대구 고등농림학교로 전학하였고 1927년에 졸업했다.

송도고보 학생 시절에 석주명은 집에서 떠나서 공부했는데, 한때 음악에 정신이 팔려 공부를 게을리 하기도 했다. 집에서 많은 생활비를 보내 주는 데다가, 공부를 감독할 부모가 옆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다 낙제 과목이 나올 정도로 성적이 나쁘게 나오자, 그제서야 정신을 차리고 방학 동안 공부에 힘썼다. 일본 최고의 농업 전문 학교의 하나인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鹿兒島高等農林學敎)에서 공부하여 1929년 졸업하였다.

석주명은 타이완에서 곤충 채집 여행 때 를 맞지 않으려고 나무에 모인 하루살이들을 채집할 만큼 끈기가 있는 학생이었다. 일본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 졸업 후에는 송도중학교에서 생물 교사로 일하면서 한반도나비에 대해서 연구했다.

이는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 재학 시 지도 교수였던 오카지마 교수의 충고에 따른 것이었다. 일본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를 졸업할 즈음의 석주명에게 교수는 장래를 물었는데, 석주명은 차별 때문에 학자가 될 수 없다고 하였다. 그러자 교수는 “한 분야에 10년간 집중하면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된다”며 한반도에 사는 나비 연구를 권했고, 석주명은 교수의 충고를 받아들여 나비를 연구하였다.

한국 전쟁 도중 1950년 9월서울에 있던 서울과학관이 폭격을 맞으면서 그가 20여 년 동안 75만 마리의 나비를 채집하여 만든 나비 표본이 모두 잿더미가 되고 말았다. 당시 석주명은 너무 상심이 커서 식음을 전폐할 정도였다. 석주명은 1950년 10월 6일에 술에 취한 한국 군인들이 쏜 총탄을 맞고 죽었다.

이후 제자들이 거적에 싸인 시체를 발견하였다.

부전나비.


1931년부터 나비 연구를 시작한 그는 일본 동물학자들의 잘못된 나비 분류를 바로잡았다. 생물분류학의 새 장을 연 ‘개체변이에 따른 분포곡선 이론’을 창안해 내었던 것이다.[9]

당시 일본인 동물학자들은 조금만 다른 특징이 있으면 새로운 종류라고 주장하여 한국의 나비가 844종이라고 과장하고 있었다. 그런데, 석주명은 영국 왕립아시아협회 조선지부에서 발간한 A Synonymic List of Butterflies of Korea 〈조선산 접류 총목록〉(1940년)을 통해 한국의 나비는 248종이라고 바로잡았다.

당시 석주명은 배추흰나비 16만여 마리의 무늬를 비교했는데, 그 결과 무늬가 다르다고 하여 다른 종이라고 성급하게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나비는 같은 종류라고 할지라도 성, 계절 등에 따라 몸의 크기와 무늬가 다르다. 그런데도 성급하게 무늬와 색상만으로 다른 종류라고 잘못 생각하던 일본 학자들의 관행을 바로 잡은 것이다. 나비의 분류에 관한 80편이 넘는 논문을 남겼다.

또한 제주 방언에 대한 논문과 에스페란토어 교과서를 쓰는 등 언어학자로도 활동했다. 또한 1943년 4월부터 1945년 5월까지 서귀포에 있던 경성제국대학 생약연구소 제주도시험장에서 근무하면서 <제주도방언집>, <제주도생명조사서>, <제주도관계문헌집> 등 6권(<제주도수필>, <제주도곤충상>, <제주도자료집>은 유고집)의 제주도총서를 발간하여 제주도에 관한 것은 무엇이든 기록하고 정리하여, 일명 제주도학(濟州島學)의 선구자로 불린다.[9]

1945년에는 국립과학박물관 동물학부장과 국학대학에서 강사직을 맡기도 하였다.

석주명은 나비들의 이름을 붙여주었는데, 그가 붙여준 나비 이름으로는 신부나비(천주교 신부들의 예복을 연상한 이름), 도시처녀나비, 유리창나비, 수노랑나비, 부전나비(부전은 어린이들의 장식용 노리개를 말한다고 하는데, 실제로 부전나비는 몸집이 작아서 귀엽고, 날개색상이 화려해서 예쁜 나비이다.), 깊은산부전나비, 기생나비(흰나비의 하나, 기생처럼 가늘고 아름다운 몸놀림을 생각하면서 붙인 이름이라고 한다.), 배추흰나비(애벌레 시절에 배추를 먹는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 등 다양하며, 학명에 그의 성씨인 ‘석’(Seok)을 붙였다.

1940년에 낸 나비에 관한 그의 저서는 현재 사이트 영국왕립학회(The Royal Society of London for the Improvement of Natural Knowledge)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세계에 30여 명밖에 안되는 세계나비학회의 회원이 되었다. 전국 방방곡곡을 다니며 75만여 마리나 되는 나비를 채집하여 분류하고 연구했다. 또 그 성과를 모두 정리하여 지도에 표시(《한국산 접류 분포도》)했는데, 이것은 세계의 걸작으로 손꼽히고 있다.

1947년 한국산악회의 독도 학술 조사에 참가했다. 그물코에서 펴낸 석주명 평전에 따르면, 누이동생 석주선이 한국 전쟁 피난 시절 배낭에 넣고 다니며 보존했다가 1973년에 발간한 《한국산 접류 분포도》(The Distribution Maps of Butterflies in Korea)는 대한민국 나비 250종이 분포하는 지역을 종마다 각각 한국 지도와 세계 지도 한 장씩에 붉은 점으로 표시한 지도 500장으로 편집되어 있다. 석주명의 유품 및 관련 사료 50여 점은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10]

3. 1. 초기 생애와 교육

1908년 평양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평양 시내에 종업원이 100여 명에 달하는 요리집을 운영할 정도로 부유한 사업가였는데, 사업으로 번 돈으로 독립 운동을 지원할 만큼 민족의식이 뚜렷했다. 어머니는 당시에는 귀한 신식 물자인 타자기를 구해줄 정도로 자식 교육에 많은 열정을 보였다. 이러한 가정 환경은 석주명이 민족 문제와 학문 연구에 관심을 갖게 했다.

어릴 때부터 토끼, 비둘기와 같은 동물을 좋아해 집에서 길렀으며, 1921년 장로교 선교사 베어드가 세운 숭실고등보통학교에 진학했다. 하지만 동맹휴학에 가담하여 개성의 송도고등보통학교로 학교를 옮겼으며, 다시 경상북도 대구 고등농림학교로 전학하였고 1927년에 졸업했다.

송도고보 학생 시절에 석주명은 집에서 떠나서 공부했는데, 한때 음악에 정신이 팔려 공부를 게을리 하기도 했다. 집에서 많은 생활비를 보내 주는 데다가, 공부를 감독할 부모가 옆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다 낙제 과목이 나올 정도로 성적이 나쁘게 나오자, 그제서야 정신을 차리고 방학 동안 공부에 힘썼다. 일본 최고의 농업 전문 학교의 하나인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鹿兒島高等農林學敎)에서 공부하여 1929년 졸업하였다.

석주명은 타이완에서 곤충 채집 여행 때 를 맞지 않으려고 나무에 모인 하루살이들을 채집할 만큼 끈기가 있는 학생이었다. 일본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 졸업 후에는 송도중학교에서 생물 교사로 일하면서 한반도나비에 대해서 연구했다.

3. 2. 나비 연구와 학문적 업적

석주명은 가고시마 고등농림학교 지도교수 오카지마의 권유로 한반도의 나비 연구를 시작했다.[9] 당시 일본인 동물학자들은 한국 나비가 844종이라고 과장했으나,[9] 석주명은 16만 마리 이상의 배추흰나비를 직접 비교 연구하여[3][4] 1940년 영국 왕립아시아협회 조선지부에서 발간한 《조선산 접류 총목록》을 통해 한국 나비가 248종임을 밝혔다.[9] 이는 개체변이에 따른 분포곡선 이론을 창안하여 생물분류학에 기여한 것이다.[9]

석주명은 나비의 분류에 관한 80편이 넘는 논문을 남겼으며, 세계 곤충학 정회원으로 선출되었다.[9] 그는 75만 마리의 나비 표본을 채집하여 《한국산 접류 분포도》를 제작했으나,[6] 한국 전쟁 중 소실되었다.[10] 다행히 여동생 석주선이 보존하여 1973년에 발간되었다.[10]

석주명은 지리산부전나비[5], 신부나비, 도시처녀나비, 유리창나비 등 우리말 나비 이름을 붙였고, 자신의 성씨인 '석(Seok)'을 학명에 붙였다.

3. 3. 제주도 연구와 언어학 활동

석주명은 1943년 제주도 서귀포시에 있는 제주 약용식물 연구소로 자원하여 전근하였다.[7] 그곳에서 2년 동안 일하면서 제주 문화의 특수성에 매료되어 제주 탐구에 몰두했다.[7] 제주 방언, 제주 인구, 제주 문서, 제주 수필, 제주 곤충사, 제주 자료 등 6권의 일반 서적이 출판되었는데, 이는 제주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었다.[7]

그는 일본 제국주의에 저항하는 국제 평화 운동에 깊이 관여했기 때문에 1947년 작은 사전인 『에스페란토 학습서』를 저술했다.[7] 그는 해방될 때까지 한국 이름을 일본 이름으로 바꾸지 않았다.[7]

3. 4. 해방 이후와 한국전쟁 중 사망

1945년 국립과학박물관 동물학부장과 국학대학에서 강사직을 맡았다.[9] 1949년 3월부터 6월까지는 민주국민당 문화예술행정특임위원을 단기간 역임하였다. 한국 전쟁 중 1950년 9월서울에 있던 서울과학관이 폭격을 맞으면서 그가 20여 년 동안 75만 마리의 나비를 채집하여 만든 나비 표본이 모두 잿더미가 되고 말았다. 당시 석주명은 너무 상심이 커서 식음을 전폐할 정도였다.[9] 1950년 10월 6일에 술에 취한 한국 군인들이 쏜 총탄을 맞고 죽었다.[9][7][8] 이후 제자들이 거적에 싸인 시체를 발견하였다. 그는 죽기 직전 "나는 나비밖에 모릅니다"라고 외쳤다고 한다.[7][8]

4. 저서 및 논문

석주명은 1940년 《A synonymic List Butterflies of Korea (조선산 나비 총목록)》을 출간하였다. 1947년에는 서울신문사에서 《제주도 방언집》을 출간하였고, 1948년에는 《제주도 생명조사》를, 1949년에는 《제주도관계문헌집》을 출간하였다. 같은 해 조선 에스페란토 학회에서 《국제어 에스페란토 교과서》를 출간하였다. 사후인 1992년에는 《나비채집 20년의 회고록》이 신양사에서 출간되었다. 이 외에도 나비 분류 관련 논문 80여 편을 발표하였다.

5. 평가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석주명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웹사이트 석주명 나는 조선 나비밖에 모르는 사람이라 Seok Joo-myung: Yo sólo soy una persona que sabe nada más de mariposas https://terms.naver.[...]
[3] 웹사이트 석주명 나는 조선 나비밖에 모르는 사람이라 Seok Joo-myung: Yo sólo soy una persona que sabe nada más de mariposas https://terms.naver.[...]
[4] 웹사이트 남이 하지 않은 일을 10년간 하라 Has lo que otros no han hecho durante 10 años, Dr. Seok Joo-myung https://www.sciencet[...]
[5] 웹사이트 지리산팔랑나비 Hesperiidae, Butterfly Site Classification http://www.nabistory[...]
[6] 웹사이트 남이 하지 않은 일을 10년간 하라 Has lo que otros no han hecho durante 10 años, Dr. Seok Joo-myung https://www.sciencet[...]
[7] 웹사이트 석주명 http://terms.naver.c[...]
[8] 웹사이트 석주명 http://navercast.nav[...]
[9] 뉴스 나비박사 석주명과 제주 https://web.archive.[...] 제주일보 2003-06-09
[10] 서적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안내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