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숲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시 숲은 미관 향상, 열섬 현상 완화, 대기 질 개선 등 다양한 효과를 가져오는 숲을 의미한다. 나무는 기온을 낮추고 오염 물질을 흡수하며, 빗물 관리, 야생 동물 서식지 제공, 에너지 절약 등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이점을 제공한다. 도시 숲은 천식과 폐암 위험 감소, 정신 건강 개선에도 기여하며, 캘리포니아 주 데이비스와 같은 도시는 주차장 조례를 통해 이러한 효과를 활용하고 있다. 요하네스버그, 리우데자네이루, 뭄바이 등 세계 여러 도시에서 도시 숲 조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국 뉴욕, 오스틴 등에서도 기후 변화 완화 및 지역 사회 복지 증진을 위해 도시 숲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도시숲 | |
---|---|
개요 | |
기능 및 중요성 | |
도시숲 관리 | |
문제점 및 과제 | |
해외 사례 | |
2. 도시숲의 효과
도시숲은 단순히 보기 좋은 풍경을 만드는 것을 넘어, 도심의 열섬 현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세계적으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조성 면적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대한민국의 산림청은 도시숲 조성이 교토의정서 발효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이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보고, 2007년부터 전국 도시공원에 숲을 만드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도시숲은 이러한 환경적 효과 외에도 경제적, 사회적으로 다양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2. 1. 환경적 효과
도시숲은 미관 향상뿐 아니라 도심의 열섬 현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가 있어 세계적으로 조성 면적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대한민국의 산림청은 도시숲 조성을 통해 교토의정서 발효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의무 이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2007년부터 전국 도시공원에 숲을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도시숲은 해당 도시의 환경 조건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역 기후를 조절하고 바람과 폭풍우의 영향을 줄이며, 공기와 햇빛을 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도시의 열섬 효과를 완화하여 여름철 주요 도시에서 문제가 되는 건강에 해로운 오존 발생을 줄이는 데 크게 기여한다.
도시의 대기 질 개선을 위해 나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시 대기의 주요 오염 물질인 오존, 질소 산화물(NOx), 황산화물(SOx), 입자상 물질(PM10, PM25) 등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지표면 오존(스모그)은 햇빛 아래에서 NOx와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의 화학 반응으로 생성되며, 고온에서 반응 속도가 빨라진다. NOx는 주로 자동차 배기가스(특히 디젤)와 산업 시설에서 배출되며, VOC는 자동차 배기가스, 산업 배출물, 휘발유 증기, 화학 용매, 그리고 나무 자체에서도 발생한다. 입자상 물질(PM10, PM25)은 폐 조직에 침투하여 심각한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미세한 입자로, 주로 연기나 디젤 매연에서 발생한다. 나무는 이러한 오염 물질을 줄여 대기 질을 개선하는 중요하고 비용 효율적인 해결책이다.
'''기온 및 스모그 감소'''
잘 조성된 도시숲은 대기 질을 눈에 띄게 개선할 수 있다. 나무는 기온을 낮추고 도시 지역의 도시 열섬 효과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온도 감소는 에너지 사용량을 줄일 뿐만 아니라, 오존 형성이 온도에 의존하기 때문에 대기 질 개선에도 기여한다. 나무는 직접적인 그늘 제공 외에도, 나무가 많은 지역과 인접 지역 간의 온도 차이를 만들어 바람(도시 미풍 순환 또는 공원 미풍 순환)을 유발하고, 이는 도시의 온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18]
- 기온이 상승하면 오존 형성이 증가한다.
- 건강한 도시숲은 기온을 낮추어 오존 형성을 줄인다.
- 큰 그늘 나무는 주변 온도를 3°C에서 5°C까지 낮출 수 있다.
- 나무로 인한 최대 한낮 온도 감소는 캐노피(수관) 면적이 1% 증가할 때마다 0.04°C에서 0.2°C 사이이다.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카운티의 경우, 나무 500만 그루를 추가하여 캐노피 면적을 두 배로 늘리면 여름 기온이 약 3°C 낮아질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최고 오존 농도를 최대 7%까지 줄이고, 스모그 발생 일수를 50%까지 줄일 수 있는 효과이다.
'''주차장 배출량 감소'''[19]
주차장에 심은 나무가 만드는 그늘은 주차된 차량에서 발생하는 증발 배출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그늘이 없는 주차장은 주변보다 기온이 높은 작은 열섬과 같아서, 나무 캐노피는 이러한 주차장의 온도를 상당히 낮출 수 있다.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탄화수소의 약 16%는 주차된 차량의 연료 시스템이 가열되면서 발생하는 증발 배출에서 비롯된다. 주차장 차량에 그늘을 제공하면 연료와 휘발성 플라스틱에서 발생하는 증발 배출이 크게 줄어든다.
- 캐노피 면적이 50%인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은 캐노피 면적이 8%인 주차장의 차량보다 증발 배출량이 8% 적다.
- 이러한 긍정적 효과 때문에 미국 캘리포니아주 데이비스와 같은 도시에서는 포장된 주차 공간에 50%의 캐노피를 의무화하는 조례를 시행하고 있다.
- 또한, 나무 그늘은 아스팔트 포장재의 휘발성 성분 증발을 늦추어 도로의 수축 및 균열을 줄이고 유지 관리 주기를 늘릴 수 있다. 이는 아스팔트 가열(가스 발생) 및 중장비 사용(배기 가스) 감소로 이어진다.
'''활성 오염 물질 제거'''
나무는 잎의 기공을 통해 대기 중 오염 가스(예: 일산화 탄소, 이산화 황, 이산화 질소, 오존)를 흡수하여 공기를 정화한다. 흡수된 가스는 잎 내부의 물에 녹아 처리된다. 일부 나무 종은 특정 오염 물질 흡수에 더 효과적이지만, 오염에 민감하여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도 있으므로, 오염 흡수 능력이 뛰어나면서도 내성이 강한 수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1991년 미국 시카고 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도시의 나무들은 약 17톤의 일산화 탄소(CO), 93톤의 이산화 황(SO2), 98톤의 이산화 질소(NO2), 210톤의 오존(O3)을 제거한 것으로 추정된다.
'''입자상 물질 차단'''
나무는 유해 가스를 흡수할 뿐만 아니라 필터 역할을 하여 공기 중의 입자상 물질(PM)을 차단한다. 입자는 나무와 잎의 표면에 달라붙었다가 비에 씻겨 내려가거나 바람에 날려가거나, 낙엽과 함께 땅으로 떨어지면서 제거된다. 나무는 입자상 물질을 일시적으로 붙잡아 두는 역할을 하지만, 나무가 없다면 이 입자들은 공기 중에 계속 떠다니며 인체에 해를 끼칠 수 있다. 나무 덮개가 많을수록 더 많은 입자상 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 잎이 무성한 큰 상록수가 입자상 물질 제거에 가장 효과적이다.
- 1991년 시카고 연구에서는 나무가 약 234톤의 미세먼지(PM10)를 제거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일반적으로 줄기 직경이 75cm 이상인 크고 건강한 나무는 연간 약 1.4kg의 대기 오염 물질을 제거하여, 줄기 직경 10cm 미만의 작은 나무(연간 0.02kg 제거)보다 약 70배 더 효과적이다.
'''탄소 격리'''
도시숲은 대기 중의 이산화 탄소(CO2)를 흡수하여 나무의 바이오매스(목재 등) 형태로 저장하는 탄소 격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기후 변화 완화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이다. 다만, 도시숲 관리 과정에서 유지보수 장비 가동 등으로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이산화 탄소를 배출하기도 하므로, 순 탄소 흡수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수질 정화 및 홍수 조절'''

도시숲과 나무는 빗물이 땅에 떨어지는 속도를 늦추고 토양으로 잘 스며들게 하여, 빗물에 섞여 수자원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는 오염 물질을 자연적으로 걸러내는 데 도움을 준다.[20] 이를 통해 폭우 시 지표면 유출을 줄이고 홍수 피해를 완화하며, 주변 강과 호수의 수질을 보호한다. 나무는 또한 증산 작용을 통해 많은 양의 물을 대기 중으로 돌려보내 하수도나 배수 시설의 부담을 줄여준다.[21] 나무의 수관(캐노피)은 빗물을 일차적으로 차단하고, 뿌리는 토양 속 물을 흡수하여 증산시킨다.
'''생물 다양성 증진'''
도시숲의 나무는 도시에 서식하는 다양한 야생 동물에게 먹이와 안전한 은신처를 제공한다. 새와 작은 포유류는 나무에 둥지를 틀고, 파충류는 나무 그늘에서 더위를 피한다.[22] 나무는 또한 그늘을 만들어 다양한 종류의 관목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시숲은 육상 동식물뿐만 아니라, 생존에 그늘과 낮은 수온이 필요한 물고기 등 수생 생물의 서식 환경을 유지하는 데도 기여한다.[20] 일부 연구에서는 경제적으로 부유한 지역일수록 나무가 많아 생태적 혜택이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로스앤젤레스의 한 연구에서는 역사적으로 부유했던 지역에서 조류 다양성이 더 높게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빈곤했던 지역에서는 동반생물 조류의 수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23][24]
2. 2. 경제적 효과
나무와 기타 다양한 식물이 제공하는 경제적 이점은 오랫동안 인식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이점들을 정량화하려는 노력이 늘고 있다. 나무의 경제적 가치를 구체적인 수치로 나타내는 것은 도시 숲을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한 공공 및 민간의 투자를 정당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 중 하나는 건물의 특정 방향에 심어진 낙엽수에서 찾을 수 있다. 북반구에서는 건물의 남쪽과 서쪽, 남반구에서는 북쪽과 동쪽에 나무를 심으면, 여름에는 무성한 잎이 그늘을 만들어 건물을 시원하게 유지해 주고, 겨울에는 잎이 떨어진 후 햇빛이 건물 내부를 따뜻하게 해준다. 이처럼 나무가 제공하는 물리적인 효과, 즉 그늘(태양 복사열 조절), 습도 조절, 바람 조절, 침식 방지, 증발 냉각, 소음 및 시각 공해 차단, 교통 통제, 오염 물질 흡수, 강수 조절 등은 모두 경제적인 가치를 지닌다.
도시 숲은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간접적으로 에너지 사용량과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25][26] 나무가 만드는 그늘은 연중 냉난방 수요를 줄여 에너지 절약을 가능하게 하며,[27] 이는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CO2 배출량 감소로 이어진다.[26]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미국 도시 지역에 1억 그루의 나무를 심을 경우 연간 에너지 소비량을 300억 kWh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약 20억달러의 비용 절감 효과에 해당한다. 또한, 이러한 에너지 수요 감소는 발전소의 연간 CO2 배출량을 900만 톤 줄이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25]
도시 숲이 제공하는 빗물 저류 기능 역시 경제적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물값이 비싸거나 물 절약 정책이 시행되는 건조 지역에서 효과가 크다.[25] 예를 들어, 투손에서는 40년 이상 진행된 연구를 통해 도시 숲이 빗물 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분석했다. 이 기간 동안 약 60만달러의 빗물 처리 비용이 절감된 것으로 추산되었다.[25] 또한, 도시 숲이 에너지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했을 때, 관개에 필요한 물과 발전소의 물 소비량을 비교하면 전체적인 물 소비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5]
또 다른 사례로, 1990년대 후반 뉴욕시는 값비싼 인공 수처리 시스템을 건설하는 대신, 캐츠킬/델라웨어 유역의 자연 경관을 관리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수질을 정화했다. 그 결과 오늘날 뉴욕 시민들은 세계적으로 우수한 품질의 식수를 공급받고 있다.[20] 이는 자연 기반 해결책이 경제적으로도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미국 농무부 가이드[28]에 따르면, 나무는 상업 활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나무가 있는 환경은 "사업 번창에 기여하고, 사람들이 더 오래 머물며 쇼핑하게 만들며, 아파트와 사무실 공간의 임대를 촉진하고, 세입자의 거주 기간을 늘리며, 부동산 가치를 상승시키고, 새로운 사업과 산업을 유치한다"고 설명한다.
실제로 도시 숲은 주변 지역의 부동산 가치 상승과 연관성이 있다. 핀란드에서 수행된 한 실증 연구에 따르면, 숲과의 거리가 단 1km만 가까워져도 부동산 가치가 4.9%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9] 다른 자료에서는 이러한 가치 상승 폭이 최대 20%에 달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30] 숲이 제공하는 대기 질 개선, 빛 공해 감소, 소음 감소 등의 환경적 이점이 이러한 부동산 가격 차이를 만드는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2. 3. 사회적 효과

도시숲은 주변 지역 사회에 다양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도시가 도시숲을 조성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는 대기 오염 물질과 온실 가스를 제거하는 효과 때문이다. 이러한 대기 정화 기능은 천식이나 폐암과 같은 질병의 발생 위험을 낮추는 데 기여할 수 있다.[31][32] 또한, 우물을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나무와 토양의 자연 여과 작용을 통해 수질이 개선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33][34]
도시숲은 시민들에게 휴식과 여가 활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많은 도시숲에는 걷거나 달리기를 위한 산책로나 자전거길, 피크닉 테이블, 화장실 등의 편의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은 지역 주민들이 함께 모여 교류하고, 보다 활동적인 생활 방식을 즐길 수 있도록 돕는다.
도시숲 가까이에 거주하는 것은 정신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필라델피아에서는 빈 공터의 쓰레기를 치우고 나무와 잔디를 심어 작은 녹지 공간으로 만드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녹지화된 공간 근처에 사는 빈곤선 이하 소득 주민들의 우울감이 68% 감소했으며, 빈곤선 이상 소득 주민들도 41%의 감소 효과를 보였다.[35] 이는 인간이 본능적으로 자연에 끌린다는 생물애 가설이나, 자연과의 접촉이 주의력을 회복시켜 다양한 개선 효과를 가져온다는 주의력 회복 이론 등으로 설명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계획 수립과 지역 사회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하다.[36][37]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도시숲은 지역 사회와 개인 모두에게 이익을 제공한다. 잘 가꾸어진 나무나 조경은 주택의 부동산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주택 앞마당에 심은 나무는 해당 주택의 판매 가격을 평균 7130USD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주변 다른 주택들의 가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잘 조성된 도시숲이 있는 지역은 그렇지 않은 지역에 비해 주민들의 평균 소득 수준이 높고,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며, 근로자들의 생산성 또한 높은 경향을 보인다.[38]
3. 도시숲의 사례
도시숲은 미관을 향상시키고 도심의 열섬 현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어 세계적으로 조성 사례가 늘고 있다. 한국에서도 산림청은 교토의정서 발효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의무 이행 방안 중 하나로 2007년 당시 전국 도시공원에 숲을 조성할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3. 1. 해외 사례
많은 국가에서 도시 숲이 가진 자연 생태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낙엽 제거, 침입 식물 제거와 같은 기본적인 관리 활동부터 시작하여 기존 토착종과 하천 생태계를 완전히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생태계 복원 및 보존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2][3]
일부 자료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큰 인공 도시 숲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요하네스버그는 본래 나무가 드문 초원 생물군계인 고원 지대에 위치하지만, 약 1,000만 그루에 달하는[6] 나무를 인공적으로 식재하여 나무가 매우 울창한 도시가 되었으며, 세계에서 8번째로 높은 나무 덮개율을 가진 도시로 평가받는다.[7]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는 세계에서 가장 넓은 도시 숲 중 두 곳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중 하나는 일부 자료에서 가장 큰 도시 숲으로 간주되기도 한다.[8][9][10] 치주카 숲은 1844년, 설탕과 커피 재배를 위해 개간되었던 지역의 자연림을 보존하고 재조림하기 위한 복원 정책의 일환으로 조성되어 국제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11] 하지만 같은 도시에 위치한 페드라 브랑카 주립 공원은 치주카 숲( 3953ha )보다 약 3배 더 넓은 12500ha 에 달하는 면적을 자랑한다.[12][8] 이들 숲은 리우데자네이루의 습한 기후를 조절하고 도시민들에게 중요한 휴식처를 제공한다. 또한, 이 숲들은 도시 내 다른 7개의 소규모 완전 보호 보존 구역과 함께 180km 길이의 트란스카리오카 트레일을 포함하는 광대한 자연 지역을 형성하고 있다.[13]
인도 마하라슈트라 주 뭄바이에 위치한 산자이 간디 국립 공원 역시 도시 숲의 중요한 사례이다. 이 공원은 뭄바이 도시 면적의 약 20%를 차지하며, 다양한 야생 동물이 자유롭게 서식하는 공간이다. 공원 내에는 칸헤리 동굴과 같은 중요한 고대 역사 유적지도 자리 잡고 있다.
미국에서는 네브라스카 주에 위치한 네브라스카 국유림이 미국에서 가장 큰 인공 숲으로 꼽힌다. 여러 카운티에 걸쳐 조성된 이 숲은 연중 많은 캠핑객들이 찾는 인기 있는 장소이다.[14]
이 외에도 미국 내 여러 도시들이 지역 사회의 복지와 경제적 향상을 목표로 도시 숲 조성 및 관리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15] 대표적인 도시로는 텍사스 오스틴, 조지아 애틀랜타, 뉴욕, 시애틀, 워싱턴 D.C. 등이 있다. 예를 들어, 뉴욕 시는 기후 변화 완화 노력의 일환으로 도시 전역에 수백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 계획을 추진했으며,[16] 오스틴에서는 민간 기업들이 환경 보호 및 에너지 절약 목적의 나무 심기 캠페인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17]
3. 2. 국내 사례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국내 사례'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4. 관련 자료
- 노왁, D. (2000). 공기 질 개선을 위한 수종 선택, 설계 및 관리 건설 기술. ''미국 조경가 협회 연례 회의록''(온라인, pdf 파일).
- 노왁, D. ''도시 나무가 대기 질에 미치는 영향'' 미국 농무부 산림청(온라인, pdf 파일).
- 노왁, D. (1995). 나무가 오염시킨다? "나무가 모든 것을 설명합니다". ''제7회 전국 도시 숲 컨퍼런스 회의록''(온라인, pdf 파일).
- 노왁, D. (1993). 식물 화학 물질 배출. ''미니어처 로즈월드'' 10 (1) (온라인, pdf 파일).
- 노왁, D. & 휠러, J. 프로그램 보조, ICLEI. 2006년 2월.
- 맥퍼슨, E. G. & 심슨, J. R. (2000). 도시 임업을 통한 대기 오염 감소. ''제48회 캘리포니아 해충 위원회 회의록''(온라인, pdf 파일).
- 맥퍼슨, E. G., 심슨, J. R. & 스콧, K. (2002). 주차장 그늘 규정을 통해 미기후 및 대기 질 개선 효과 실현. ''Wetter und Leben'' 4: 98 (온라인, pdf 파일).
참조
[1]
뉴스
The power of streetscape and how to protect it
https://www.newcastl[...]
2017-09-03
[2]
간행물
Sustaining America's urban trees and forests: a Forests on the Edge report
2010
[3]
간행물
Benefits of restoring ecosystem services in urban areas
2015-06-01
[4]
웹사이트
Johannesburg is the biggest urban forest in the world and it also has many parks and other public open spaces (GL)
https://www.southafr[...]
2024-01-16
[5]
웹사이트
Joburg. The Largest Man-Made Urban Forest in the World – Treeification
https://www.justtree[...]
2024-01-16
[6]
웹사이트
Urban Forestry & Nurseries
https://www.jhbcityp[...]
2024-01-16
[7]
웹사이트
These are the 19 cities with the most trees
https://www.weforum.[...]
2024-01-16
[8]
웹사이트
Conservation units
https://trilhatransc[...]
[9]
간행물
Fire and restoration of the largest urban forest of the world in Rio de Janeiro City, Brazil
2002-09-01
[10]
웹사이트
Contested understandings of the world's largest urban forest {{!}} Abstract Gallery {{!}} AAG Annual Meeting 2018
https://aag.secure-a[...]
2018-03-07
[11]
간행물
The Garden in the Machine: An Environmental History of Brazil's Tijuca Forest
1996
[12]
간행물
Participative mapping of cultural ecosystem services in Pedra Branca State Park, Brazil
2016
[13]
웹사이트
About the Transcarioca Trail
https://trilhatransc[...]
[14]
웹사이트
The Largest Man-Made Forest In The U.S. Is In Nebraska And It's A Unique Place To Visit
https://www.onlyinyo[...]
2019-11-08
[15]
웹사이트
The Best Urban Forests
https://www.american[...]
2019-11-08
[16]
웹사이트
NYC's 25-Year Plan for its Urban Forests
https://nysufc.org/n[...]
2019-11-08
[17]
뉴스
The Movement for Urban Tree Expansion Is Growing
https://psmag.com/en[...]
2019-11-08
[18]
웹사이트
Climate Change Management
https://www.planning[...]
2017-12-21
[19]
Webarchive
Effects of Tree Cover on Parking Lot Microclimate and Vehicle Emissions
http://www.fs.fed.us[...]
USDA Forest Service Pacific Southwest Research Station Western Center for Urban Forest Research and Education
2013-09-03
[20]
뉴스
Trees play key role in purifying our water
https://www.ajc.com/[...]
2019-11-04
[21]
간행물
The role of trees in urban stormwater management
2017-06
[22]
웹사이트
Losing Urban Trees—and the Wildlife that Depends on Them
https://www.nathab.c[...]
2019-11-08
[23]
간행물
Historical racial redlining and contemporary patterns of income inequality negatively affect birds, their habitat, and people in Los Angeles, California
https://academic.oup[...]
2023-10-11
[24]
웹사이트
How L.A.'s bird population is shaped by historic redlining and racist loan practices
https://www.latimes.[...]
2023-10-11
[25]
간행물
Assessing the benefits and costs of the urban forest
https://www.research[...]
1992-01-01
[26]
서적
Benefits and Uses of Urban Forests and Trees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05
[27]
간행물
Municipal Forest Benefits and Costs in Five US Cities
https://academic.oup[...]
2005-12-01
[28]
웹사이트
Urban & Community Forestry, a Guide for the Interior Western United States
http://www.fs.fed.us[...]
USDA Forest Service, Intermountain Region, Ogden, Utah
[29]
간행물
Property Prices and Urban Forest Amenities
2000-03-01
[30]
웹사이트
Local Economics :: Green Cities: Good Health
https://depts.washin[...]
2019-11-09
[31]
서적
Urban Forests and Trees
2005
[32]
간행물
Pollution mitigation and carbon sequestration by an urban forest
2002-03-01
[33]
뉴스
Trees play key role in purifying our water
https://www.ajc.com/[...]
2019-11-08
[34]
웹사이트
The Important Relationship between Forests and Water
https://www.american[...]
2019-11-08
[35]
간행물
Effect of Greening Vacant Land on Mental Health of Community-Dwelling Adults: A Cluster Randomized Trial
2018-07-06
[36]
기타
Professor Lord Winston captures carbon in Marylebone
https://www.youtube.[...]
2011-07-12
[37]
논문
The Benefits and Limits of Urban Tree Planting for Environmental and Human Health
2021
[38]
기타
Assessing net environmental and economic impacts of urban forests: An online decision support tool
https://doi.org/10.3[...]
2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