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평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평군은 조선 정종과 성빈 지씨의 아들이다. 1439년 기생 첩을 사랑한 이유로 탄핵을 받았으나 세종의 비호를 받았고, 이후에도 여러 차례 고신을 박탈당했다. 예종 즉위년에 군호를 하사받았으며, 1470년 이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가족 관계로는 태조 이성계가 조부이며, 용인 이씨, 전주 최씨와 혼인하여 자녀를 두었다.

2. 생애

정종성빈 지씨(誠嬪 池氏)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아내로는 군부인 용인 이씨(郡夫人 龍仁李氏)와 계부인인 군부인 전주 최씨(郡夫人 全州崔氏)가 있다. 자녀로는 정부인 이씨가 낳은 장남 수성부정 창(壽城副正 昌)과 계부인 최씨가 낳은 장녀 이씨가 있다.

1439년(세종 21년) 기생 첩을 사랑한 이유로 헌사의 탄핵을 받았으나 세종이 비호하였는데, 경녕군 이비가 세종에게 정종의 서자 도평군, 임성군, 정석군이 미복차림으로 음란한 짓을 일삼고 여인들과 사통하고 다닌다고 아뢰자 세종이 왕명으로 고신을 거두고 구사를 빼앗았다.[1]

1443년(세종 25년)에는 정처를 소박하고 기첩만을 사랑하니 죄주기를 원한다는 종부시의 주청에 따라 다시 고신을 박탈 당하였다.

1468년(예종 즉위년) 도평군의 군호를 하사받았으며, 1469년(예종 1년) 영창전에서 삭제의식을 거행할 때에 내금위장으로서 행사준비를 소홀히 한 이유를 들어 문죄 당하였으나 곧 왕명으로 더 이상 죄를 추궁당하지 않게 되었다.[2]

사망 연대는 알 수 없으나 1470년 성종이 선정전에서 연을 베풀 때 참석했다는 기록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나오지 않기 때문에 1470년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측된다.

2. 1. 세종 시대

정종성빈 지씨(誠嬪 池氏)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아내로는 군부인 용인 이씨(郡夫人 龍仁李氏)와 계부인인 군부인 전주 최씨(郡夫人 全州崔氏)가 있다. 자녀로는 정부인 이씨가 낳은 장남 수성부정 창(壽城副正 昌)과 계부인 최씨가 낳은 장녀 이씨가 있다.

1439년(세종 21년) 기생 첩을 사랑한 이유로 헌사의 탄핵을 받았으나 세종이 비호하였는데, 경녕군 이비가 세종에게 정종의 서자 도평군, 임성군, 정석군이 미복차림으로 음란한 짓을 일삼고 여인들과 사통하고 다닌다고 아뢰자 세종이 왕명으로 고신을 거두고 구사를 빼앗았다.[1]

1443년(세종 25년)에는 정처를 소박하고 기첩만을 사랑하니 죄주기를 원한다는 종부시의 주청에 따라 다시 고신을 박탈 당하였다.

2. 2. 예종, 성종 시대

정종성빈 지씨(誠嬪 池氏)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아내로는 군부인 용인 이씨(郡夫人 龍仁李氏)와 계부인인 군부인 전주 최씨(郡夫人 全州崔氏)가 있다. 자녀로는 정부인 이씨가 낳은 장남 수성부정 창(壽城副正 昌)과 계부인 최씨가 낳은 장녀 이씨가 있다.[1]

1439년(세종 21년) 기생 첩을 사랑한 이유로 헌사의 탄핵을 받았으나 세종이 비호하였다. 경녕군 이비가 세종에게 정종의 서자 도평군, 임성군, 정석군이 미복차림으로 음란한 짓을 일삼고 여인들과 사통하고 다닌다고 아뢰자 세종이 왕명으로 고신을 거두고 구사를 빼앗았다. 1443년(세종 25년)에는 정처를 소박하고 기첩만을 사랑하니 죄주기를 원한다는 종부시의 주청에 따라 다시 고신을 박탈 당하였다.[1]

1468년(예종 즉위년) 도평군의 군호를 하사받았으며, 1469년(예종 1년) 영창전에서 삭제의식을 거행할 때에 내금위장으로서 행사준비를 소홀히 한 이유를 들어 문죄 당하였으나 곧 왕명으로 더 이상 죄를 추궁당하지 않게 되었다.[2]

사망 연대는 알 수 없으나 1470년 성종이 선정전에서 연을 베풀 때 참석했다는 기록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나오지 않기 때문에 1470년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측된다.

3. 가족 관계

태조 이성계가 도평군의 조부이며, 조모는 신의왕후 한씨이다. 아버지는 정종 이방과이다. 외조부는 지윤(池奫)이고, 어머니는 성빈 지씨(誠嬪池氏)이다. 형제로는 덕천군 후생(德泉君 厚生)이 있었다.

도평군은 군부인 용인 이씨(郡夫人 龍仁李氏)와 혼인하였는데, 그녀는 부사(府使) 증참판(贈參判) 이수강(李守綱)의 딸로 1432년에 사망하였다. 용인 이씨는 장남 수성부정 이창(壽城副正 李昌)을 낳았다.

도평군은 또한 군부인 전주 최씨(郡夫人 全州崔氏)와 혼인하였는데, 그녀는 문과(文科) 사직(司直) 최수(崔洙)의 딸이다. 전주 최씨는 장녀를 낳았으며, 장녀는 하동 정씨(河東鄭氏) 정여창(鄭汝昌)에게 출가(出嫁)하였다.

참조

[1] 서적 세종실록 1439-06-06
[2] 서적 예종실록 1469-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