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최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주 최씨는 전라북도 전주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로, 4개의 계파로 나뉘며 각 계파의 시조가 다르다. 완산 최씨를 포함하여 문열공 최순작, 사도공 최균, 문성공 최아, 문충공 최군옥을 시조로 한다. 조선 시대에 109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하여 최씨 중 가장 많은 문과 급제자를 냈으며, 최명길, 최석정, 최석항 등 정승 3명과 다수의 주요 인물을 배출했다. 전주 최씨는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으며, 전국 각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조사에서 458,191명으로 집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주 최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관향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
| 시조 | 최순작(崔純爵) 최아(崔阿) 최균(崔均) 최군옥(崔群玉) |
| 집성촌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봉동면 신후리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구면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삼기면, 왕궁면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 현화리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경기도 화성시 동탄동·정남면 |
| 주요 인물 | 최보순 최성지 최유경 휴정 최명길 최석정 최석항 최재유 최운열 최규성 최규식 |
| 2015년 인구 | 458,191명 |
| 인구 순위 | 19위 |
2. 역사
전주 최씨는 《전주최씨연원보(全州崔氏淵源譜)》와 각 계파의 족보 등에 따르면 여러 계파가 존재하며, 각 계파는 서로 다른 연원과 조상을 가지고 있다.
전주 최씨는 조선시대에 최씨 본관 중 가장 많은 숫자인 109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했다.
전주(全州)는 전북특별자치도 중앙에 위치한 지명이다. 마한의 원산성(圓山成)에서 유래하며 백제 시대에 완산(完山) 또는 비사벌(比斯伐), 비자화(比自火) 등으로 불리다가 555년에 완산주(完山州)로 하였다. 그 후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완(完)을 의역하여 전주(全州)로 고쳤고, 왕건이 후백제를 멸망시키고 한때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라 하다가 고려 공민왕이 완산부(完山府)로 하였다. 조선 태조 때는 선조의 고향이라 하여 완산 유수부(完山府留守)로 개칭하였다가 1895년(조선 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전주부 전주군이 되었고, 1896년 전라북도 전주군으로 개편되었다.
2. 1. 각 계파별 시조
《전주최씨연원보(全州崔氏淵源譜)》와 각 계파의 족보 등을 참고하면 전주 최씨 4개 계파는 서로 연원과 조상이 다르다.[2]- 최순작: 완산 최씨의 시조이기도 하다. 1968년 첨추공파보(僉樞公派譜)에는 최순작의 배우자가 평양 조씨(平壤趙氏)라고 기록되어 있다.
- 최군옥[3]을 시조로 하는 문충공계(文忠公系)는 전주의 토착 성씨지만[4], 일각에서는 동주 최씨(東州 崔氏)의 시조 최준옹의 후손으로 나타나 있다.
- 최균[5]을 시조로 하는 사도공계(司徒公系)는 전주 토착 성씨다. 하지만 경주 최씨 시조 최치원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 최아[6]를 시조로 하는 문성공계(文成公系)는 문성공 최아(崔阿)의 아버지 상호군공 최입평(崔立枰)이 문열공 최순작의 후손인건 분명하지만 최순작에서부터 최입평까지에 중간 계보를 찾을수 없어 문열공계랑 같은 집안임에도 불구하고 족보를 따로 분리한것이라고 주장하고있다.
완산 최씨의 시조는 문열공파 시조 최순작이므로 1명이고, 전주 최씨의 시조는 문열공 최순작, 사도공 최균, 문성공 최아, 문충공 최군옥이므로 총 4명이다.
2. 2. 조선시대
전주 최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09명을 배출했는데, 이는 최씨 본관 중 가장 많은 숫자다. 정승은 최명길, 최석정, 최석항 등 3명, 대제학은 최명길, 최석정 등 2명, 청백리는 최유경, 최사의, 최관 등 3명을 배출했다. 종묘 배향공신은 최석정 1명이다. 정승, 대제학, 청백리, 종묘 배향공신은 모두 문열공계에서 나왔다. 공신은 정사공신(靖社功臣) 최내길·최명길 형제(문열공계), 진무공신 최응일(문충공계), 영사공신 최산휘(문성공계) 등 4명이다.[2][3][4][5][6]3. 본관
전주(全州)는 전북특별자치도 중앙에 위치한 지명이다. 마한의 원산성(圓山成)에서 유래하며 백제 시대에 완산(完山) 또는 비사벌(比斯伐), 비자화(比自火) 등으로 불리다가 555년에 완산주(完山州)로 하였다. 그 후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완(完)을 의역하여 전주(全州)로 고쳤고, 왕건이 후백제를 멸망시키고 한때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라 하다가 고려 공민왕이 완산부(完山府)로 하였다. 조선 태조 때는 선조의 고향이라 하여 완산 유수부(完山府留守)로 개칭하였다가 1895년(조선 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전주부 전주군이 되었고, 1896년 전라북도 전주군으로 개편되었다.
4. 분파
《전주최씨연원보(全州崔氏淵源譜)》와 각 계파의 족보 등을 참고하면 전주 최씨 4개 계파는 서로 연원과 조상이 다르다.
- 문열공계(文烈公系)는 최순작[2]을 시조로 한다.
- 문충공계(文忠公系)는 최군옥[3]을 시조로 하며, 전주의 토착 성씨지만[4], 동주 최씨의 시조 최준옹의 후손으로 보기도 한다.
- 사도공계(司徒公系)는 최균[5]을 시조로 하며, 전주 토착 성씨다. 경주 최씨 시조 최치원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 문성공계(文成公系)는 최아[6]를 시조로 한다. 아버지 상호군공 최입평(崔立枰)이 문열공 최순작의 후손인 것은 분명하지만, 최순작에서 최입평까지의 중간 계보를 찾을 수 없어 문열공계와 같은 집안임에도 족보를 따로 분리했다고 주장한다.
전주 최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09명을 배출했다. 이는 최씨 중 본관별로 가장 많은 숫자다. 최명길, 최석정, 최석항 등 정승 3명, 최명길, 최석정 등 대제학 2명, 최유경, 최사의, 최관 등 청백리 3명을 배출했다. 최석정은 종묘 배향공신이다. 이들은 모두 문열공계에서 나왔다. 정사공신 최내길·최명길 형제(문열공계), 진무공신 최응일(문충공계), 영사공신 최산휘(문성공계) 등 공신 4명이 있다.
4. 1. 문열공파(文烈公派)
최순작(崔純爵)을 파조로 한다. 최순작은 고려 때 문과에 급제하여 좌복야(左僕射)로서 나라에 공을 세워 완산군(完山君)에 봉해졌고 문열(文烈)이라는 시호를 받았다.[1] 그의 후손들은 문열공파(文烈公派)를 이루어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2]문열공파는 9세손에서 다시 여러 분파로 나뉜다.[3]
| 분파 | 파조 (9세손) | 비고 |
|---|---|---|
| 안렴사공파(按廉使公派) | 최서 | 최사미의 장남 |
| 중랑장공파(中郞將公派) | 최원 | 최사미의 차남 |
| 별제공파(別堤公派) | 최의 | 최사미의 삼남 |
| 판윤공파(判允公派) | 최사위 | 최유경의 장남 |
| 양도공파(襄度公派) | 최사의 | 최유경의 차남 |
| 지평공파(持平公派) | 최사규 | 최유경의 삼남 |
| 경절공파(敬節公派) | 최사강 | 최유경의 사남 |
| 첨추공파(僉樞公派) | 최사용 | 최유경의 오남 |
| 감무공파(監務公派) | 최사흥 | 최유경의 육남 |
4. 2. 문성공파(文成公派)
문성공파(文成公派)는 최아(崔阿)를 파조로 한다. 최아의 4명의 아들 대에서 다시 분파되었다.| 이름 | 분파 |
|---|---|
| 최용생 (2세손) | 안렴사공파(按廉使公派) |
| 최용각 (2세손) | 대호군파(大護軍公派) |
| 최용갑 (2세손) | 판사공파(判事公派) |
| 최용봉 (2세손) | 중랑장공파(中郞將公派) |
4. 3. 사도공파(司徒公派)
최균(崔均중국어)을 시조로 하는 사도공계(司徒公系)는 전주 토착 성씨이다.[5] 하지만 경주 최씨 시조 최치원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사도공파(司徒公派) - 최균
- * 상호군파(上護軍派) : 최을의(9세손), 최사검의 장남
- * 판서공파(判書公派) : 최병례(9세손), 최사검의 차남
- * 총랑공파(摠郎公派) : 최정지(9세손), 최사검의 삼남
4. 4. 문충공파(文忠公派)
전주 최씨 문충공계(文忠公系)는 전주에 토착한 성씨로 시조는 최군옥(崔群玉)이다.[3][4] 일각에서는 동주 최씨 시조 최준옹의 후손으로 보기도 한다.문충공파(文忠公派)의 분파는 다음과 같다.
| 파명 | 파조(派祖) 및 비고 |
|---|---|
| 위정공파(威靖公派) | 최칠석 (6세손), 최선능(문하찬성사)의 차남 |
| 진사공파(進士公派) | 최지 (8세손), 최빈 (문하찬성사)의 차남 |
| 상호군파(上護公派) | 최진형(9세손), 최양 (문하찬성사)의 차남 |
| 군수공파(郡守公派) | 최여녕(10세손), 최진명(도승지)의 장남 |
| 도사공파(都事公派) | 최여정(10세손), 최진명의 차남 |
| 현감공파(縣監公派) | 최여관(10세손), 최진명의 삼남 |
| 판서공파(判書公派) | 최여달(10세손), 최진명의 사남 |
| 매촌공파(梅村公派) | 최식 (11세손), 최여정의 장남 |
| 훈도공파(訓導公派) | 최용 (11세손), 최여정의 차남 |
| 좌량공파(佐郞公派) | 최상 (11세손), 최여정의 삼남 |
| 비인공파(庇仁公派) | 최추 (11세손), 최여정의 사남 |
| 부안현감공파(扶安縣監公派) | 최위(11세손), 최여정의 오남 |
5. 주요 인물
전주 최씨는 각 계파별로 조선시대와 고려시대에 걸쳐 다양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전주최씨연원보(全州崔氏淵源譜)》와 각 계파의 족보 등에 따르면, 전주 최씨는 4개의 주요 계파로 나뉘며, 각 계파는 서로 다른 연원과 조상을 가지고 있다.[2]
- 문충공계(文忠公系): 시조는 최군옥[3]이며, 전주의 토착 성씨이다.[4]
- 사도공계(司徒公系): 시조는 최균[5]이며, 전주 토착 성씨이다.
- 문성공계(文成公系): 시조는 최아[6]이며, 최순작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전주 최씨는 조선시대에 모두 109명의 문과 급제자를 냈으며, 이는 최씨 중 본관별로 가장 많은 숫자이다. 최명길, 최석정, 최석항 등 3명의 정승과 최명길, 최석정 등 2명의 대제학, 최유경 등 3명의 청백리를 배출했다. 최석정은 종묘 배향공신이다. 공신은 4명으로 최내길, 최명길 형제, 최응일, 최산휘 등이 있다.
5. 1. 고려
| 이름 | 관직 |
|---|---|
| 최균 | 고려시대 충신 |
| 최양 | 문하찬성사 |
| 최재 | 전리판서 |
| 최문도 | 문관 |
| 최보순 | 수태사 판이부사 |
| 최성지 | 찬성사 |
| 최윤개 | 판추밀원사 어사대부 |
| 최칠석 | 경기도도수군절제사 |
5. 2. 조선
전주 최씨는 조선시대에 모두 109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했는데, 이는 최씨 본관별 문과 급제자 수 중 가장 많은 숫자다. 정승 3명(최명길, 최석정, 최석항), 대제학 2명(최명길, 최석정), 청백리 3명(최유경, 최사의, 최관)을 배출했다. 종묘 배향공신은 1명(최석정)이다. 정승, 대제학, 청백리, 배향공신은 모두 문열공계에서 나왔다. 공신은 정사공신(靖社功臣) 최내길·최명길 형제(문열공계), 진무공신 최응일(문충공계), 영사공신 최산휘(문성공계) 등 4명이다.[2]조선시대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이름 | 활동 분야 | 주요 관직 |
|---|---|---|
| 최하연(崔堈) | 무신 | 수군절도사 |
| 최우용(崔府) | 문인 | 공조판서 |
| 최안(崔安) | 의병 | - |
| 최유(崔濡) | 문인 | 첨지중추원사 |
| 최탁(崔濯) | 무인 | 죽산부사 |
| 최탁(崔琢) | 문인 | 보령현감 |
| 최현(崔晛) | 문인 | 강원도관찰사 |
| 최경행(崔敬行) | 의병 | - |
| 최광벽(崔光璧) | 문신 | 병조참판 |
| 최기남(崔起南) | 문신 | 대도호부사 |
| 최기필(崔琦弼) | 의병 | 병조참의 |
| 최내길(崔來吉) | 문신 | 공조판서 |
| 최덕지(崔德之) | 문신 | 남원부사 |
| 최명길(崔鳴吉) | 문신 | 영의정 |
| 최명룡(崔命龍) | 화가 | - |
| 최방언(崔邦彦) | 문인 | 지충주부사 |
| 최사강(崔士康) | 문인 | 이조판서 |
| 최산휘(崔山輝) | 문인 | 호조판서 |
| 최석정(崔錫鼎) | 문인 | 영의정 |
| 최석진(崔錫晋) | 문인 | 공조정랑 |
| 최석항(崔錫恒) | 문인 | 우의정 |
| 최순영(崔淳永) | 피리명인 | - |
| 최여신(崔汝信) | 승려 | 법명: 휴정 |
| 최욱영(崔旭永) | 의병 | - |
| 최유경(崔有慶) | 문인 | 한성부판사 |
| 최응룡(崔應龍) | 문인 | 형조참판 |
| 최익남(崔益男) | 문인 | 이조좌랑 |
| 최익수(崔益秀) | 문인 | 첨지중추원사 |
| 최창대(崔昌大) | 문인 | 부제학 |
| 최정길(崔廷吉) | 학자 | - |
| 최천건(崔天健) | 문인 | 이조판서 |
| 최철견(崔鐵堅) | 문인 | 호조참의 |
| 최팔용(崔八鏞) | 독립운동가 | - |
| 최혜길(崔惠吉) | 문인 | 개성부 유수 |
| 최후량(崔後亮) | 문인 | 청풍부사 |
| 최후상(崔後尙) | 문인 | 홍문관부제학 |
5. 3. 현대
6. 항렬자
17세
18세
19세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口환(煥)
중(中)
口용(鏞)
호(浩)
口식(植)
학(學)
口호(護)
백(百)
口진(振)
선(善)
口수(洙)
집(集)
口하(夏)
교(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