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의왕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의왕후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첫 번째 부인으로, 고려 시대에 태어나 조선 건국 전에 사망하였다. 그녀는 안변 한씨 한경과 삭녕 신씨의 딸로, 1351년 이성계와 혼인하여 6남 2녀를 낳았다. 위화도 회군 당시에는 가족과 함께 피신했으며, 1391년에 사망하여 개성 제릉에 묻혔다. 사후 아들 정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신의왕후로 추존되었으며, 태종에 의해 왕태후로 격상되었고, 대한제국 고종 때 신의고황후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변 한씨 - 한호
    한호는 1543년 개성에서 태어나 해서, 행서, 초서 등 모든 서체에 능했고, 독창적인 석봉 서체를 만들어 조선 서예 발전에 기여한 조선 시대의 서예가이다.
  • 안변 한씨 - 한설야
    한설야는 일제강점기부터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이자 평론가로, 카프 활동을 통해 계급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장편소설 《황혼》을 대표작으로 두고, 숙청 이후 사후 복권되어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대표적인 예로 평가받는다.
  • 1337년 출생 - 정몽주
    정몽주는 고려 말 성리학을 보급하고 이성계와 함께 왜구 및 여진족을 토벌했으나, 위화도 회군 이후 조선 건국을 반대하다 이방원에게 암살당한 고려의 문신이다.
  • 1337년 출생 - 충목왕
    충목왕은 충혜왕과 덕녕공주 사이에서 태어나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모후의 섭정 하에 폐정 시정과 민생 안정에 힘썼으며, 재위 기간 동안 편년강목 증수 및 선대왕들의 실록을 편찬하는 등 문화적 업적을 남긴 고려의 제29대 왕이다.
  • 1391년 사망 - 요안니스 5세
    요안니스 5세는 동로마 제국의 황제였으며, 긴 통치 기간 동안 내전과 오스만 제국의 세력 확대로 제국의 쇠퇴를 겪었고, 결국 오스만 제국의 속국이 되어 1391년에 사망했다.
  • 1391년 사망 - 트브르트코 1세
    트브르트코 1세는 14세기 보스니아의 반이자 왕으로 코트로마니치 왕조 출신이며, 보스니아를 발칸 반도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 중 하나로 성장시키고 세르비아 왕위 획득, 헝가리 및 오스만 제국과의 갈등 속에서 독립 유지, 달마티아 지역 공략을 통해 아드리아 해로 진출하는 데 기여했다.
신의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고려: 정경부인 한씨 (1351년)
종교한국 불교
왕조이씨 조선 (혼인)
가문청주 한씨 (출생)
전주 이씨 (혼인)
배우자
배우자이성계 (1351년 결혼, 1391년 사망)
자녀
자녀진안대군
정종
익안대군
경신공주
회안대군
태종
덕안대군
경선공주
출생 및 사망
출생일1337년 10월 6일
출생지고려 쌍성총관부
사망일1391년 11월 25일
사망지고려 동북면 이성계의 사저
묘소제릉, 개풍구역, 개성시, 북한
가계
아버지한경
어머니삭녕 신씨 신부인

2. 생애

1337년 안변 한씨 신의왕후는 고려 동북면 영흥 풍류산 아래 금리(琴理)에서 태어났다.[11] 1351년 15세 무렵 이성계와 혼인하여 6남 2녀를 낳았다. 1364년 이성계가 삼선, 삼개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봉익대부밀직부사에 오르고 단성양절익대공신의 호를 받자, 한씨도 원신택주(元信宅主)에 봉해졌다.[12]

한씨는 이성계가 전쟁터를 누비는 동안 고향 집에서 집안의 대소사를 도맡아 처리하며 내조하였다. 이성계는 개경에서 명문가 강윤성의 딸인 강씨를 경처(京妻)로 맞이하였고, 한씨는 이성계의 향처(鄕妻)로서 동북면에 거주하며 집안일을 살폈다. 1388년 위화도 회군 때에는 포천 재벽동에 머물다가 아들 이방원의 인솔하에 식구들과 함께 동북면으로 피신을 갔다.[13]

1391년(공양왕 3년) 8월 무렵 병을 앓기 시작하여 9월 23일에 사망하였다.[14] 향년 55세였다. 한씨의 능은 개성특별시 개풍군 대련리에 위치한 제릉이다.

2. 1. 출생과 가계

안변 한씨 신의왕후는 1337년(충숙왕 후5년) 9월 고려 동북면 영흥 풍류산 아래 금리(琴理)에서 아버지 한경(韓卿)과 어머니 삭녕 신씨의 딸로 태어났다. 한씨가 태어날 때 하늘에서 아름다운 음악소리가 들려오고 뒷산에는 오색 영롱한 구름이 감돌았다 하여 풍류산이라 이름 지었다고 한다. 1824년(순조 24년)에 태어난 마을에 기념비를 세웠다.[11]

한경과 삭녕 신씨 사이에서 태어난 열 자녀 중 다섯째였다. 일부 자료에서는 신의왕후를 한련(韓漣)의 후손으로 여기는데, 한련은 청주 한씨의 시조인 한란(韓蘭)의 9대손으로 안변 한씨를 창시했다고 한다.

2. 2. 혼인과 내조

1351년 15세 무렵 이성계와 혼인하여 6남 2녀를 낳았다.[11]

1364년(공민왕 13년) 이성계가 고종 사촌인 삼선(三善)과 삼개(三介)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12] 봉익대부밀직부사(奉翊大夫密直副使)에 오르며 단성양절익대공신(端誠亮節翊戴功臣)의 호를 받자, 부인 한씨도 원신택주(元信宅主)에 봉해졌다.

한씨는 이성계가 전쟁터를 누비는 동안 고향 집에서 집안의 대소사를 도맡아 처리하며 내조하였다. 이성계는 개경에서 명문가 강윤성의 딸인 강씨를 경처(京妻)로 맞이하였고, 한씨는 이성계의 향처(鄕妻)로서 동북면에 거주하며 집안일을 살폈다. 고려 시대에는 귀족 남성들이 두 명의 아내를 두는 것이 허용되었는데, 한 명은 ‘경처(京妻)’, 다른 한 명은 ‘향처(鄕妻)’라 불렸다.

1388년(우왕 14년), 위화도 회군 때에는 포천 재벽동에 머물다가 아들 이방원의 인솔하에 식구들과 함께 동북면으로 피신을 갔다.[13]

2. 3. 위화도 회군과 사망

1388년(우왕 14년), 위화도 회군한씨포천 재벽동에 머물다가 아들 이방원의 인솔하에 식구들과 함께 동북면으로 피신했다.[13] 이로 인해 한씨는 목숨에 위협을 느꼈다고 한다.

1391년(공양왕 3년) 8월 무렵 병을 앓기 시작하여 9월 23일에 사망하였다.[14] 향년 55세였다. 한씨의 능은 개성특별시 개풍군 대련리에 위치한 제릉이다.

3. 사후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하기 1년 전인 1391년에 사망하여, 조선 건국 후에는 신덕왕후가 조선의 첫 왕비가 되었다. 남편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고 왕위에 오른 후, 자녀들은 왕자와 공주가 되었다.

3. 1. 추존

1393년(태조 2년) 이성계가 절비(節妃)로 추증하였다.[8]

1398년(정종 즉위년) 정종이 즉위하여 '''신의왕후'''(神懿王后)로 추존하였고[8], 1408년(태종 8년) 9월 6일 태종이 '''승인순성신의왕태후'''(承仁順聖神懿王太后)로 추상하였다.[9]

1683년(숙종 9년), 송시열태종이 올린 왕태후의 작위가 예법에 어긋난다고 상소하여 '''승인순성신의왕후'''(承仁順聖神懿王后)로 개책되었다.[15]

1899년(광무 3년) 대한제국 고종에 의해 '''신의고황후'''(神懿高皇后)로 추존되었다.[10]

3. 2. 일화

태종 18년(1418년) 8월 8일, 태종이 세자 양녕에게 양위하려 하자, 꿈에 나타나 눈물을 흘리며 만류하였다는 기록이 태종실록 36권에 있다.

4. 가족 관계

아버지한경 (1300년-?)
어머니삼한국대부인 삭녕 신씨 (1303년-?)
배우자이성계 (1335년 10월 27일 - 1408년 6월 18일)
형제자매
자녀이방우, 이방과, 이방의, 이방간, 이방원, 이방연, 경신공주, 경선공주


4. 1. 자녀

신의왕후는 태조와의 사이에서 6남 2녀를 두었다. 아들은 이방우, 이방과(조선 제2대 국왕), 이방의, 이방간, 이방원(조선 제3대 국왕), 이방연이며, 딸은 경신공주, 경선공주이다.

4. 1. 1. 왕자

군호이름생몰년배우자비고
1진안대군방우1354년 - 1393년삼한국대부인 충주 지씨
2정종대왕
영안대군
방과1357년 - 1419년정안왕후 김씨제2대 국왕
3익안대군방의1360년 - 1404년삼한국대부인 동주 최씨
4회안대군방간1364년 - 1421년삼한국대부인 여흥 민씨
삼한국대부인 밀양 황씨
금릉부부인 김포 금씨
5태종대왕
정안대군
방원1367년 - 1422년원경왕후 민씨제3대 국왕
6덕안대군방연생몰년 미상미상


4. 1. 2. 왕녀

작호생몰년도배우자비고
경신공주? ~ 1426년이애
경선공주생몰년 미상심종


5. 기타

(원문 소스에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어 이전 결과와 동일합니다.)

신의왕후와 관련된 내용은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아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5. 1. 대중 매체

참조

[1] 서적 태종실록 1408-09-06
[2] 서적 숙종실록 1683-06-12
[3] 서적 고종실록 1899-12-07
[4] 웹사이트 신의왕후 (神懿王后)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3-26
[5] 서적 The Annals of Sunjo 1824-10-19
[6] 서적 태조실록
[7] 웹사이트 http://cheongjuhan.n[...]
[8] 서적 태조실록 1398-11-11
[9] 서적 태종실록 1408-09-06
[10] 서적 고종실록 1899-12-07
[11] 서적 순조실록 1824-10-19
[12] 문서 1364년 함주 점령 사건 1364-01
[13] 서적 태조실록
[14] 서적 승인순성 신의왕후 신도비명
[15] 서적 숙종실록 1683-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